$\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motivating efficacy scale for mathematics teacher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6 no.2, 2023년, pp.159 - 184  

김소민 (고려대학교) ,  김희정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을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 측정 도구인 Motivating Efficacy Scale for Mathematics Teachers(MESMT)의 초안을 개발하고, 이 측정 도구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초·중등 수학교사 347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초기 42개 설문문항에서 17개 문항이 삭제되고, 4개 요인(성공경험 제공, 주의집중 및 참여 유도, 수학 사례기반 관련성 생성, 외재적 보상 제시), 25개 문항의 최종 MESMT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MESMT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 측정 도구로써, 수학 학습동기 유발 효능감에 대한 이해와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유발 역량 증진을 위한 많은 후속 연구들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fter defining motivating efficacy operationally, we developed a draft of the Motivating Efficacy Scale for Mathematics Teachers (MESMT), a measure of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ng efficac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Delphi survey, and conducted the exploratory fa...

주제어

참고문헌 (59)

  1. 강문봉, 김정하(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519-537. 

  2. 강정원(2002). 교사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분석 연구. 열린교육연구, 10(2), 43-60. 

  3.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강민경, 박효희, 정송(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4. 김부미(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5. 김아영(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학습, 16(1), 1-39. 

  6. 김은주, 홍세희, 김주환(2006). 자기결정성이 내재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선호도와 경쟁학습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4(4), 271-300. 

  7. 김정화, 김언주(2006). 아동이 지각한 교사신뢰 및 학습동기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교육, 15(2), 117-129. 

  8. 도금혜(200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139-155. 

  9. 류지헌, 임지현(2008).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2(1), 219-238. 

  10. 서원진, 이수민, 김미리혜, 김제중(2018).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의 현황과 제언: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1), 177-193. 

  11. 원미연(2016). 교사효능감 및 교사-아동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12. 이기돈(2016).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9(1), 21-41. 

  13. 이영준(2002). 요인분석의 이해. 서울: 석정. 

  14. 이종학, 김소민(2020).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특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23(4),?491-508. 

  15. 이종희, 김부미(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413-444. 

  16. 옥보명, 이창연, 고상숙(2021). 고등학생용 축약형 수학불안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31(2), 211-230. 

  17. 전상훈, 조흥순, 이일권(2014). 교사의 직무동기와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수업전문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0(3), 5-30. 

  18. 정숙영, 허난(2017).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논문집, 31(3), 291-312. 

  19. 조일현, 김연희(2014). 대학생의 학습동기,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 45(2), 77-98. 

  20. 조한익(2004). HLM을 이용한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간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18(2), 

  21. 추미애, 박아청(2006).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아동교육, 15(2),?271-288. 

  22. 허혜민, 조한익(2019). 사범대학생들의 지루함 대처전략 잠재집단 유형과 자기조절학습, 자기결정성동기, 일반적 지루함, 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7(4), 219-244. 

  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Review, 84(2), 191-215. 

  2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5. Barr, L. C. (2005). The effects of parent and teacher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motivation of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ake Forest University. 

  26. Biddle, B. J., & Anderson, D. S. (1986). Methods, knowledge, and research on teaching. In M. C.?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ew York: Macmillan. 

  27. Costello, A. B.,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Evaluation, 10(7), 131-146. 

  28. Deci, E. L., Vallerand, R. J., Pelletier, L. G., & Ryan, R. M. (1991). Motivation and education: The?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25-346. 

  29. Dolezal, S. E., Welsh, L. M., Pressley, M., & Vincent, M. M. (2003). How nine third-grade?teachers motivate student academic engag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3),?239-267. 

  30. Ferguson, E. & Co , T. (19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users' guide. International Journal of?Selection and Assessment, 1(2), 84-94. 

  31. Geijsel, F. P., Sleegers, P. J., Stoel, R. D., & Kruger, M. L. (2009). The effect of teacher?psychological and school organizational and leadership factors on teachers' professional?learning in Dutch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4), 406-427. 

  32. Hair, J., Anderson, R., Tatham, R., & Black, W.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New?Jersey: Prentice Hall. 

  33. Hardre', P. L. (2001). Questions beyond context: Facilitating intentional, autonomous rehearsal,?practice, and application. Teacher Education & Practice, 14(3), 53-71. 

  34. Hardre, P. L., Huang, S., Chen, C, Chiang, C., Jen, F., & Warden, L. (2006). High school teachers'?motivational perceptions and strategies in an east asian nation. Asia-Pacific Journal of?Teacher, 34(2), 199-221. http://doi.org/10.1080/13598660600720587 

  35. Hardre, P. L. & Sullivan, D. W. (2008). Teachers' perceptions and individual differences: How they?influence teachers' motivating strategies. Journal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7), 1-17. 

  36. Hardre, P. L. & Sullivan, D. W. (2009). Motivating adolescents: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and classroom practices. Teacher Development, 13(1), 1-16. http://doi.org/10.1080/13664530902858469 

  37. Herman, P. (2000). Teacher experience and teacher efficacy: Relations to student motivation and?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38. Hidi, S., & Harackiewicz, J. M.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for the twenty-fir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2), 151-179. 

  39. Ismail, B., & Hayes, K. (2005). Factors that affect student motivation in a dairy products elective?course. Journal of Food Science Education, 4(1), 15-17. 

  40. Keller, J. M. (2010).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In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and Performance, 43-74, Boston: Springer. 

  41. Keller, J. M. & Song, S. H. (2014). Charming Instruction Design. Kyoukkwahaksa: Seoul, Korea. 

  42. Leimeister, S. (2010). IT outsourcing governance: Client types and their management strategies.?IT Outsourcing Governance: Client Types an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http://doi.org/10.1007/978-3-8349-6303-1. 

  43. Liu, C. Y. (2002).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motivations, learning strategies, help-seeking?behavior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thesis, National Changhua University of Education, Taiwan, ROC. 

  44. Mullis, I. V. S., Martin, M. O., Ruddock, G. J., O'Sullivan, C. Y., Arora, A. & Erberber, E. (2005). TIMSS 2007 Assessment Framework.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45. Mojavezi, A. & Tamiz, M. P. (2012). The impact of teacher self-efficacy on the students'?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2(3), 483-491. 

  46. Nelson, S. L. (2007). Teacher efficacy and student motivation: A link to achievement in elementary?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Dakota. 

  47.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Paris: OECD?Publications. 

  48. Palmer, D. (2007). What is the best way to motivate students in science? Teaching Science, 53(1),?38-42. 

  49. Peng, I. N. (2001). EFL motivation and strategy use among Taiwanese senior high school?learn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Taiwan, ROC. 

  50. Reeve, J. (1996). Motivating others. Boston: Allyn & Bacon. 

  51. Reeve, J., Jang, H., Hardre', P., & Omura, M. (2003). Providing a rationale for an uninteresting?activity as a motivating strategy to support another's self-determined extrinsic motivation.?Motivation & Emotion, 26(3), 183-207. 

  52. Rosenholtz, S. J. (1989). Workplace conditions that affect teacher quality and commitment:?Implications for teacher induction program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9(4), 421-439. 

  53. Schunk, D. H., & Zimmerman, B. J. (1996). Modeling and self-efficacy influences on children's?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J. Juvonen, & K. Wentzel (Eds.), Social motivation:?Understand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Thoonen, E. E., Sleegers, P. J., Peetsma, T. T., & Oort, F. J. (2011). Can teachers motivate?students to learn? Educational Studies, 37(3), 345-360. 

  55. Tschannen-Moran, M., & Hoy, A.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 

  56. West, S., Finch, J., & Curran, P.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57. Wheatley, K. F. (2002). The potential benefits of teacher efficacy doubts for educational reform.?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 5-22. 

  58. Worthington, R. L. & Whittaker, T. A. (2006). Scale development research: A content analysis and?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4(6), 806-838. 

  59.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3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