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쉬땅나무속(장미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Sorbaria (Ser.) A. Braun in Asch. (Ros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8 no.3, 2018년, pp.230 - 247  

송준호 (경희대학교이과대학생물학과) ,  홍석표 (경희대학교이과대학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쉬땅나무속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해 정량적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쉬땅나무속 분류군은 화서의 직립여부, 자방 및 골돌과 표면의 털 유무, 수술의 개수, 악편의 형태 등의 정성적 형질로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 결과, 소엽의 개수 및 크기, 화서의 너비, 악편, 화판, 골돌과, 종자의 크기 등의 정량적 형질 또한 이들 두 그룹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룹 내에서는 Sorbifolia group (S. grandiflora, S. sorbifolia complex)의 경우, 측소엽의 크기와 엽맥의 수, 소엽 하면 내 선점 및 성상모의 개수, 화판, 골돌과의 크기 등의 형질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으며, Kirilowii group (S. arborea complex, S. kirilowii, S. tomentosa complex) 내에서는 잎의 형질 중 정소엽과 측소엽의 크기 및 하면의 선점 및 성상모의 빈도 등이 분류군을 인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속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결과는 추후 종 하 분류군을 포함한 쉬땅나무속 전체의 분류학적 재검토 및 분류학적 한계 설정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using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Sorbaria to investigate and explore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The genus Sorbaria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erect or pendulous inflorescence, the existence of hairs o...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쉬땅나무속은 어디에 분포 및 재배하고 있는가? , 2003; Lee, 2007; Brouillet, 2015). 본 속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및 러시아 동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Purohit and Panigrahi, 1984; Ikeda, 2001; Gu and Alexander, 2003; Lee, 2007; Henrickson, 2015), 일부 분류군은 북미, 유럽 등지에 관상으로 도입되어 재배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Bailey, 1949; Ball, 1968; Tomaszewski, 2001; Henrickson, 2015).
쉬땅나무속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쉬땅나무속은 기준표본인 Spiraea sorbifolia L. (Linnaeus, 1753)을 기반으로 Spiraea L. sect. Sorbaria Ser. (Seringe, 1825)인 조팝나무속 내 하나의 절(section)로 인식되었고, 이후 Braun (1860)에 의해 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준종은 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in Asch.로 현재까지 인식되고 있다. 쉬땅나무속에 대한 첫 번째 종속지적 연구(monograph)로 Maximowicz (1879)는 본 속을 조팝나무과(Spiraeaceae (Juss.
쉬땅나무속은 무엇인가? Braun in Asch.)은 전통적인 장미과(Rosaceae Juss.) 분류체계에 따라 조팝나무아과 (Spiraeoideae Arn.)내 쉬땅나무족(Sorbarieae Rydb.)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낙엽성 관목이며, 기수우상복엽이고, 탁엽이 있으며, 심피가 5개이고, 기부에서 유합하는 등의 특징으로 과 내 다른 분류군과 구별된다(Lingdi et al., 2003; Lee, 2007; Brouillet,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iley, H. K. 1949. Sorbaria (Ser.) A. Br. In Manual of Cultivated Plants. Most Commonly Grown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and Canada. Revised ed. The Macmillan Company, New York. Pp. 501-502. 

  2. Ball, P. W. 1968. Sorbaria (Ser.) A. Br. In Flora of Europaea. Vol. 2. Tutin, T. G., V. H. Heywood, N. A. Burges, D. H. Valentine, S. M. Walt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4. 

  3. Braun, A. 1860. 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in Ascherson. In Flora der Provinz Brandenburg, der Altmark und des Herzogthums Magdeburg. Vol. 1. Ascherson, P. (ed.). Hirschwald, Berlin. P. 177. 

  4. Brouillet, L. 2015. Sorbarieae.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9.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392-397. 

  5. Chang, C. S. and H. Kim. 2002. Overlooked and invalidly published names of Korean woody plant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 363-371. (in Korean) 

  6. Ellis, B., D. C. Daly, L. J. Hickey, J. V. Mitchell, K. R. Johnson, P. Wilf and S. L. Wing. 2009. Manual of Leaf Architec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 216 pp. 

  7. Gu, C. and C. Alexander. 2003. Sorbaria. In Flora of China. Vol. 9. Wu, Z. Y., Raven, P. H.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75-76. 

  8. Henrickson, J. 2015. Sorbaria (Seringe) A. Braun in P. F. A. Ascherson.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9.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396-397. 

  9. Ikeda, H. 2001. Sorbaria (Ser.) A. Br. ex Aschers. In Flora of Japan. Vol. IIb. Angiospermae; Dicotyledoneae; Archichlamideae (b). Iwatsuki, K., T. Yamazaki,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Ltd., Tokyo. P. 102. 

  10. Judd, W. S., C. S. Campbell, E. A. Kellogg, P. F. Stevens and M. J. Donoghue. 1999.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576 pp. 

  11. Kaburaki, N. 1940. Chosen Sinrin Zumoku Yoran, Vol. 1. Mansen Zituyo Ringyo Binran, 141, Yogendo, Tokyo. P. 123. (in Japanese) 

  12. Kim, H., H. S. Lee, S. Park and C. S. Chang. 2005. Invalid names published by T. B. Le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 211-226. (in Korean) 

  13. Kitagawa, M. 1939. Sorbaria sorbifolia f. incerta (Schneider) Kitagawa. Lineam. Fl. Mansh. 275. 

  14. Lee, S. T. 2007. Spiraeoideae, Sorbaria.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n Editorial Committee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533, 540-541. 

  15.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Co., Seoul. P. 426. (in Korean) 

  16. Lingdi, L., G. Cuizhi, L. Chaoluan, C. Alexander, B. Bartholomew, A. R. Brach, D. E. Boufford, H. Ikeda, H. Ohba, K. R. Robertson and S. A. Spongberg. 2003. Rosaceae. In Flora of China, Vol. 9.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46-47. 

  17.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I. Stockholm. P. 490. 

  18. Mabberley, D. J. 1990. The Plant Book: a Portable Dictionary of the Higher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546. 

  19. Maximowicz, C. J. 1879. Sorbaria. Acta Horti Petropolitani 6: 222-225. 

  20. McNeill, J., F. R. Barrie, W. R. Buck, V. Demoulin, W. Greuter, D. L. Hawksworth, P. S. Herendeen, S. Knapp, K. Marhold, J. Prado, W. Prud'homme Van Reine, G. F. Smith, J. H. Wiersema and N. J. Turland. 2012.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adopted by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Melbourne, Australia, July 2011. Koeltz Scientific Books, Konigstein, 208 pp. 

  21. Pojarkova, A. I. 1971. Sorbaria. A. Br. In Flora of the U.S.S.R., Vol. IX. Komarov, V. L. and S. V. Yuzepchuk. (eds.), U.S. Department of Commerce, Springfield, VA. Pp. 240-243. (in English edition) 

  22. Purohit, K. M. and G. Panigrahi. 1984. Taxonomic studies on Sorbaria (Rosaceae) in India. Indian Journal of Forestry 7: 207-213. 

  23. Rahn, K. 1989. A survey of the genus Sorbaria (Rosaceae). Nordic Journal of Botany 8: 557-563. 

  24. Rehder, A. 1913. Sorbaria A. Br. In Plantae Wilsonianae. Vol. 1. Sargent, C. S. (ed.), Th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47-48. 

  25. Rehder, A. 1940. Sorbaria A. Br. In Manual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Macmillian Company, New York. Pp. 343-345. 

  26. Rudolf, P. O. 1974. Sorbaria sorbifolia (L.) A. Br. Ural False Spiraea. Agriculture Handbook No. 450.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 779. 

  27. Schneider, C. K. 1905. Illustriertes Handbuch der Laubholzkunde. Vol. 1. Verlag von Gustav Fisher, Jena. Pp. 486-491. 

  28. Schonbeck-Temesy, E. 1969. Sorbaria (Ser.) A. Br. In Flora Iranica. Vol. 66. Rechinger, K. H. (ed.), Akademische Druckund Verlagsanstalt, Graz. Pp. 10-12. 

  29. Seringe, N. C. 1825. Rosaceae. In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De Candolle, A. P. (ed.), Treuttel et Wurtz, Paris. Pp. 525-639. 

  30. Song, J.-H. and S.-P. Hong. 2014.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anatomy in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4: 119-131. (in Korean) 

  31. Song, J.-H. and S.-P. Hong. 2016a.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leaf micromorphology in the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6: 199-212. (in Korean) 

  32. Song, J.-H. and S.-P. Hong. 2016b. A study on the petal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ibe Sorbarieae (Ros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9: 376-384. (in Korean) 

  33. Song, J.-H. and S.-P. Hong. 2018. Comparative petiole anatomy of the tribe Sorbarieae (Rosaceae) provide new taxonomically informative characters. Nordic Journal of Botany 36: e01702. https://doi.org/10.1111/njb.01702. 

  34. Song, J.-H., C.-S. Chang and S.-P. Hong. 2010.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74-178. (in Korean) 

  35. Song, J.-H., H.-K. Moon and S.-P. Hong. 2016. Pollen morphology of the tribe Sorbarieae (Ros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302: 853-869. 

  36. Thiers, B. 2018. (continuously updated) Index Herbariorum: a global directory of public herbaria and associated staff. New York Botanical Garden's Virtual Herbarium. Retrieved Mar. 10, 2018, available from http://sweetgum.nybg.org/ih/. 

  37. Tomaszewski, D. 2001. Sorbaria species cultivated in Poland. Dendrobiology 46: 59-64. 

  38. Willis, J. C. 1948. A Dictionary of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6th ed. (Revis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614. 

  39. Yu T. T. and T. C. Ku. 1974. Sorbaria (Ser.) A. Br.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36. Yu, T. T., L. T. Lu, T. C. Ku, K. C. Kuau and W. F. Chiang (eds.), Institutum Botanicum Pekinense Academiae Sinicae, Peking. Pp. 75-80.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