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유역의 유출량 변화율 분석
Analysis of Rate of Discharge Change on Urban Catch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5, 2018년, pp.645 - 654  

김호성 (인덕대학교 토목공학과) ,  황정윤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안정환 (인덕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창삼 (인덕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강우사상은 과거와는 다른 양상의 강우사상으로 도심지역에 내수침수로 인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의 증가는 설계홍수량의 변화를 초래하여 이로 인한 홍수 위험도 증가와 치수안전도 감소 등 수공구조물 설계기준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및 기후시나리오의 한계로 인해 정량적 분석결과가 제시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광천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출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까운 미래인 S1 기간에서도 14.2%의 유출량이 증가하여 하수도설계 기준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rainfall events caused severe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due to the inundation in major urban areas.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causes changes in the design flood discharge. As a result, it causes uncertainty in the design criteria 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A1 시나리오는 고도성장과 신기술 개발로 인한 에너지 효율향상을 가정한다. A1 시나리오는 주로 사용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A1F1 (화석에너지), A1T (비화석에너지), A1B (균등) 등 3개 그룹으로분류된다.
  • A2 시나리오는 인구의 계속된 증가, 환경 무관심, 인력 및 기술의 지역간 이동 제한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A1F1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도출된 시나리오로 그 수치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B1 시나리오는 지속 발전 시나리오로 환경을 중시하며 지역별 격차가 작은 것으로 가정한 시나리오이다. B2 시나리오는 환경을 중시하는 지역 공존형 시나리오로 지역내 환경오염을 자체 해결한다는 가정으로 2100년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B1 시나리오보다 높게 예측된 시나리오이다.
  • B1 시나리오는 지속 발전 시나리오로 환경을 중시하며 지역별 격차가 작은 것으로 가정한 시나리오이다. B2 시나리오는 환경을 중시하는 지역 공존형 시나리오로 지역내 환경오염을 자체 해결한다는 가정으로 2100년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B1 시나리오보다 높게 예측된 시나리오이다.
  • 5 W/m2씩 증가한다는 가정으로 두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도가 실현되었을 때의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RCP 2.6은 지구의 복원력이 인간활동에 의한 영향을 상회한다는 가정으로 복사에너지가 3.0 W/m2 이하로 증가하는 시나리오이다. 다음 Table 2는 각 RCP 시나리오별 2100년도의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 SRES 시나리오는 사회경제모델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지만, RCP 시나리오는 온실가스에 의해 복사되어 증가되는 태양에너지 양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온실가스에 의한 복사강제력이 8.5 W/m2, 6.0 W/m2, 4.5 W/m2, 3.0 W/m2 씩 증가한다고 가정하여 4가지(RCP 8.5, RCP 6.0, RCP 4.5, RCP 2.6)의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폭우, 폭염, 폭설, 한파 등의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심각한 사회문제를야기하기도 한다.
도시지역에서 침수위험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도 가뭄과 홍수의 발생 주기가 빈번해지고 있다.특히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개발행위에 의한 불투수층 증가가 맞물린 홍수 유출량 증가로 인해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지역은 해를 거듭할수록 침수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9월 11일에는 부산지역에264.
가장많은 강우는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나? 특히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개발행위에 의한 불투수층 증가가 맞물린 홍수 유출량 증가로 인해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지역은 해를 거듭할수록 침수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9월 11일에는 부산지역에264.1mm / day의 일강우가 발생하여 1934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많은 강우로 기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J. H., Yoo, C. S. and Yoon, Y. N. (2001). "An analysis of hydrologic changes in daechung dam basin using GCM simulation results due to global warm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4, pp. 335-345 (in Korean) 

  2. Cameron, D. (2006). "An application of the UKCIP02 climate change scenarios to flood estimation by continuous simulation for a gauged catchment in the northeast of Scotland, UK (with uncertainty)." Journal of Hydrology, Vol. 328, pp. 212-226. 

  3. Ekstrom, M., Fowler, H. J., Kilsby, C. G. and Jones, P. D. (2005). "New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extreme rainfall across the UK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integration. 2. Future estimates and use in impact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Vol. 300, pp. 234-251. 

  4. Frei, C., Scholl, R., Fukutome, S., Schmidli, J. and Vidale, P. L. (2006). "Future change of precipitation extreme in Europe: Intercomparison of scenarios from regional climate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1, D06105. 

  5. Gupta, V. K. and Waymire, E. (1990). "Multiscaling properties of spatial rainfall and river flow distribu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5(D3), pp. 1999-2009. 

  6. Hsu, M. H., Chen, S. H. and Chang, T. J. (2000). "Inundation simulation for urban drainage basin with storm sewer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234, pp. 21-37.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AR4)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8.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fifth assessment report (AR5)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9. Kim, B. S., Kim, B. K., Kyung, M. S. and Kim, H. S. (2008).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extreme rainfall and I-D-F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4, pp. 379-394 (in Korean). 

  10. Kim, S. G. (2014). A study on the extraction method of rainfall event for estimating annual maximum peak discharg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Design standards of drainage system." (in Korean). 

  12. Nam, W. S., Ahn, H. J., Kim, S. H. and Heo, J. H. (2015).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ub-daily extreme rainfall of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ol. 8, No. 1, pp. 21-17 (in Korean). 

  13. Phillips, B. C., Yu, S., Thompson, G. R. and Silva, N. de. (2005). "1D and 2D modelling of urban drainage systems using XPSWMM and TUFLOW."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Drainage, Copenhagen, Denmark, August 2005, pp. 21-26. 

  14. Seoul Metropolitan city (2012). "Research on river management with university." 

  15. Shin, H. J., Kang, S. M., Kwon, H. J. and Kim, S. J. (2005). "Snowmelt impact on watershed hydrolog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 Chungju-dam watersheds -." Proc. of the 2005 KSCE Conf, pp. 221-224. 

  16. Smith, J., Phillips, B. C. and Yu, S. (2006). "Modelling overland flows and drainage augmentations in dubbo." 46th Floodplain Management Authorities Conference, March 2006. 

  17. Yoon, Y. N., Yoo, C. S., Lee, J. S. and Ahn, J. H. (1999).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 2. estimation of the change in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global warm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2, No. 6, pp. 627-63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