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중 유해물질 과학적 관리: 잔류농약을 중심으로
Scientific manage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foods: Focusing on pesticide residue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1 no.3, 2018년, pp.218 - 228  

김은주 (사단법인 한국국제생명과학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internationally harmonious regulations for effective import and export of necessary resources to other countries. However, the use and the number of pesticides used for the same purpose on same crops are depending on the soil and the climate where the crops are gr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덧붙여 식품 중 잔류농약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시, 관련부처의 올바른 대처와 소비자의 올바른 인식이 병행되어야만 비로소 과학적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문헌연구에서는 식품 위해요소 중 유해물질로써 소비자에게 깊게 인식이 되어있는 잔류농약을 중심으로 현재의 관리 현황 및 향후 관리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올바른 소통을 통한 과학적 관리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은 식품 위해요인 중 어떠한 것에 해당 하는가? 식품의 위해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포장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로서 인체의 건강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식품위생법 제 2조에서 정의하고 있다. 식품 위해요인을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관리요소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농약은 사용 목적에 따라 대상 농산물에 안전하게 사용을 하고 대상 농산물에 잔류하는 양을 안전한 수준으로 설정하고 관리를 하여야하는 화학적 관리요소에 해당된다(표 1).
현대 소비자는 식품을 소비할 때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소에 민감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된 국내 연구조사를 보더라도, 현대 소비자는 식품을 소비할 때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소로 잔류농약, 항생물질, 식품첨가물 등화학적 위해물질을 주요한 식품 중 위해요소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2). 이는 먹거리와 관련한 화학적 유해물질 사건·사고가 발생하기만 하면 늘 큰 사회적 뉴스로 대서특필이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식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수 적임과 동시에 건강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식품관련 위해 사건은 상시 발생 가능적이고 발생 대상도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식품의 위해란 무엇인가? 식품의 위해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포장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로서 인체의 건강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식품위생법 제 2조에서 정의하고 있다. 식품 위해요인을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관리요소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농약은 사용 목적에 따라 대상 농산물에 안전하게 사용을 하고 대상 농산물에 잔류하는 양을 안전한 수준으로 설정하고 관리를 하여야하는 화학적 관리요소에 해당된다(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SEAE(아시아경제, 박혜정 송고). 식품 생산부터 식탁까지...유해물질 조사로 안전 관리 강화한다. Available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60508364500611 Accessed: July. 30. 2018. 

  2.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Guidance on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Chemicals That Have a Common Mechanism of Toxicity. (2002) 

  3.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umulative Assessment of Risk from Pesticides. Available from:https://www.epa.gov/pesticide-science-and-assessing-pesticide-risks/cumulativeassessment-risk-pesticides. Accessed: August 1, 2018 (2018) 

  4. EU(European Union). Regulation (EC) No 1107/2009. Concerning the placing of plant protection products on the market and repealing council directives 79/117/EEC and 91/414/EEC. (2009) 

  5. FAO/WH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Pesticide residues in food 2007. Joint FAO/WH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Geneva, Switzerland. (2007) 

  6. Jung GH. Strengthening the Risk Communication of Food Safety. 보건복지포럼 196:73-87 (2013) 

  7. Juraske, R, Mutel CL, Stoessel F, Hellweg S. Life cycle human toxicity assessment of pesticides: comparing fruit and vegetable diets in Switzerland and the United States. Chemosphere 77(7):939-945 (2009) 

  8. Kennedy, MC, van der Voet H, Roelofs VJ, Roelofs W, Glass R, de Boer WJ, Kruisselbrink, JW, Hart, ADM. New approaches to uncertainty analysis for use in aggregate and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79(5):54-64 (2015) 

  9. KHIDI(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한국인 맞춤형 총식이조사체계 구축 방안-한국식생활안전조사센터 설립.운영. (2015) 

  10. Kim HJ, Kim MR. Concerns about Hazardous Elements on Foods and Recognition of the Roles of Government, Food Producers, and Consumers in Securing Food Safe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3): 401-417 (2011) 

  11. Kim NH, Park KA, Jung SY, Jo SA, Kim YH, Park HW, Lee JM, Lee SM, Yu IS and Jung K. Meta-analytic approach to the effects of food processing treatment on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Pestic. Sci. 20(1):14-22 (2016) 

  12. KNCCO(Korean National Council of Consumer Organization). Developing an education and publicity program with a focus on risk communication cases, together with a consumer organization. (2010) 

  13. Lee GO. Food Risk Communication and Media. Safe Food 2:19-27 (2007) 

  14. Lee, GS, Kim YS, Kim PG, Kim JG, Song JJ. 주요국 사례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잔류농약을 중심으로. (2017) 

  15. LEE JK, Woo HD. Current Status for management of pesticide maximum residue limits in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3(2):2-23 (2010) 

  16. Lee, MG, Shim JH, Ko SH, C HR.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evidence on the domestic maximum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Food Science and Industry 43(2):41-66 (2010) 

  17. Lee YG. 엄격한 농약 잔류허용기준과 안전 인식 개선. Available from: http://www.hemophilia.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78. Accessed: July. 30, 2018 (2018) 

  18. Li Z, Nie J, Lu Z, Xie H, Kang L, Chen Q, Li A, Zhao X, Xu G, Yan Z.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the exposure to pyrethroids through fruits consumption in China-Based on a 3-year investigation.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96(10):234-243 (2016) 

  19.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위해평가보고서작성 가이드라인. (2015) 

  20.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식품 등 기준설정 원칙. (2017) 

  21.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mendment No. 2018-18 on criteria and standard for food. (2018a) 

  22.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잔류농약 안전관리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residue/contents/view do?contentsKey4 Accessed: August 2, 2018 (2018b) 

  23.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년 04월 03일 농약잔 류허용기준 및 PLS 설명회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docviewer/skin/doc.html?fne8e46c5ee4b940cbcaa9376b6dccdbd7&rs/docviewer/result/data0014/32236/1/201808. Accessed date: July 30, 2018 (2018c) 

  24.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년도 수입식품등 검사연보 (2016년도 실적). (2018d) 

  25.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ment No. 2018-33. Amendment on criteria and standard for food. (2018e) 

  26. MHW(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mendment No. 88-60 on criteria and standard for pesticide residues. (1988) 

  27. Nam, SH, Kwak JI, Kim DS, An YJ. A comparative study of management system of unregulated agricultural pesticides in Korea, the European Union,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 review. J Appl Biol Chem. 61(2), 195-204 (2018) 

  28. NewsAM(농기자재신문, 전빛이라 송고) 농식품 안전 기준, 과학자.소비자 인식 격차 해소해야. Available from: http://www.newsam.co.kr/news/article.html?no11903. Assessed date: July 29, 2018 (2018) 

  29. NIFDS(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총식이 조사를 위한 유해물질 분석법 안내서. (2017) 

  30. Park BI(대전인터넷신문, 최대열 송고). 우리나라 소비자들 잔류농약에 너무 과민하다.-PLS제도와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고(小考). Available from: http://daejeonpress.co.kr/ArticleView.asp?intNum26378&ASection001013. Accessed: July. 30, 2018 (2018) 

  31. Quijano L, YusaV, Font G, Pardo O. Chronic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the exposure to organophosphorus, carbamate and pyrethroid and pyrethrin pesticides through fruit and vegetables consumption in the region of Valencia (Spain).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89(3):39-46 (2016) 

  32.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LS 전면시행(19.1월) 대비 소면적 작물용 농약 직권등록 등 추진사항(제5회 식품의약품 안전 열린포럼 발표자료, 2018. 7.20)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docviewer/skin/doc.html?fne66743b07a754535a1a155a502188148&rs/docviewer/result/cmnt0019/388/2/201808 Accessed date: August 1, 2018 (2018) 

  33.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predicting dietary intake of pesticide residues(revised). GEMS/Food in collaboration with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WHO/FSF/FOS/97.7). Geneva, Swaziland. (1997) 

  34. Woo HD, Lee JG, Han GD. Consumer awareness survey on safety management of pesticide residue. Food Sc. Industry. 43(2): 24-40 (2010) 

  35. Yoo HJ, Joo SH. Development of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measurement. J. Consumer Studies. 23(4): 79-104 (2012). 

  36. Yoon YY, Kim KG. A Qualitative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afety risk factors.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4):15-31 (2013) 

  37. You SY, Park JH. An. Analysis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cerns and changed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food safe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residue, microorganism, growth hormone, irradiation, food additives. J.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18(6): 2841-2858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