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덕대왕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한 종각복원의 고찰
Restoration of the bell pavilion of King Song-Dok Bell with a view of its acoustic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7 no.5, 2018년, pp.378 - 386  

한찬훈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회유산인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 복원을 위하여 신종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문헌을 통한 자료조사와 더불어 음향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전통적인 한국종과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덕대왕 신종을 위한 종각의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종각은 종의 아래 움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 종의 고유진동수가 64 Hz대와 168 Hz에 분포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저주파수대역의 흡음이 많은 판재보다는 기둥과 보와 같은 각재 및 선재로 종각의 구조가 이루어 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동시대의 종각구조를 감안할 때, 직달일광과 해풍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방과 중방사이의 공간을 판재로 마감하는 형태도 제안되었으며 넷째, 종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전통적으로 종각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3칸이나 5칸의 홀수칸으로 된 정사각형 형태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가 가장 원형에 근접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e original form of the bell pavilion for the King Song-Dok bell which is one of the precious national treasure of Korea. In order to this, many literatures were reviewed including both historical and acoustical references. As the results, the model of the bell pavilion f...

주제어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을 복원함에 있어 역사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에서 음향적 측면에서의 접근은 복원에 대한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덕대왕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찰하고, 역사적으로 문헌에 나타난 신종의 자료와 한국종과 외국종의 특징에서 비롯된 종각의 특징을 분석하여 성덕대왕신종에 맞는 종각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 그 명성에 걸맞지 않게 종각과 함께 있어야 할 신종이 단지 하중만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지해 전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에 대하여 음향적 특성과 역사적 추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음향학적인 측면과 기존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세세한 영역까지 유추해 보고 이두 가지 접근 방법을 통하여 가장 원형에 가까운 종각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석불사형의 돔위에 가로들보를 걸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돔의 크기는 석불사 본존불과 천장 돔의 비율이 적당할 것이다. 또한 5세기말축조된 고구려 쌍영총 천정양식에서 보듯이 “평형 3각 고임식”으로 쌓는 방법도 생각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덕대왕 신종은 국보 몇호인가? 국보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는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또는 봉덕사종)은 한국 최대 크기의 종으로서 서기771년(혜공왕 7년)에 제작 되었으며 현재 국립 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신종에 대한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신종을 담고 있어야 할 종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학문적 근거가 없다.
성덕대왕 신종은 언제 제작되었는가? 국보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는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또는 봉덕사종)은 한국 최대 크기의 종으로서 서기771년(혜공왕 7년)에 제작 되었으며 현재 국립 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신종에 대한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신종을 담고 있어야 할 종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학문적 근거가 없다.
성덕대왕 신종은 현재 어떻게 전시되어 있는가? 신종에 대한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신종을 담고 있어야 할 종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학문적 근거가 없다. 그 명성에 걸맞지 않게 종각과 함께 있어야 할 신종이 단지 하중만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지해 전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에 대하여 음향적 특성과 역사적 추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 B. Hulbert, Passing of Korea (Doubleday, Page & Company, New York, 1906), pp. 13-14. 

  2. Y. B. Shin, Collapse of the Korea empire (PM Press, Seoul, 1973), pp. 25-26. 

  3. C. W. Nam, Rediscovery of Antiquity (Jeongeumsa, Seoul, 1987), pp. 36-37. 

  4. Y. H. Kim, "Sound of King Song-Dok bell : Experimental analysis based on acoustics and vibration measurement" (in Korean), J. Acoust. Soc. Kr. 16, 20-27 (1997). 

  5. Y. H. Yeom, Study of the Korean bell (Goryeowon, Seoul, 1988), pp. 30. 

  6. J . K. Gho and I. Y. Ham, "Art Literature" 8, 9 (1963). 

  7. D. B. Yun and Y. H. Kim, "Experimental analysis 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pipe of King Song-Dok bell" (in Korean), J. Acoust. Soc. Kr. 16, 19-24 (1997). 

  8. J. K. Ahn and Y. O. Jin, "A correlation between Emile sound and other waves" (in Korean), J. Acoust. Soc. Kr. 20, 30-35 (2001). 

  9. Y. H. Kim, Y. -K. Park, and Y. K. Kim, "3-dimensional vibr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King Song-Dok bell" (in Korean), J. Acout. Soc. Kr. 16, 41-47 (1997). 

  10. Y. H. Kim and S. M. Kim, "An analysis of the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ing Song-Dok bell using cylindrical acoustic holography" (in Korean), J. Acoust. Soc. Kr. 16, 94-100 (1997). 

  11. Y. O. Jin, B. R. Kim, and C. H. Haan,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explorer for the newly architectural acoustic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bell," Proc. Korean Bell Society, 31-40 (2007). 

  12. M. J. Seong and C. H. Haan, "Restoration of the Bell Pavilion of King Song-Dok Bell with a view of Acoustics," J. Acoust. Soc. Kr. Suppl.1(s) 26, 101-10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