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사회적경제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따복공동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upport Models for Invigoration of Local Socioeconomic Communities - Focused on Ddabok Communities in Gyeonggi Province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4 no.3, 2018년, pp.13 - 28  

장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김연복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  오민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년 확대되어 온 사회적경제활동이 지역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공공지원단체가 기본적으로 인식할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지원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정비한 경기도 지역을 사례로 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경기도민의 수요조사를 통하여 따복공동체 정책과 지역공동체활성화요인에 대하여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에서는 조사결과에 따라 경기도민의 요구의 특징과 지원의 과제를 밝히었고 과제에 따라서 6개의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과제는, 따복공동체에 대한 낮은 이해도, 저조한 공동체활동, 사회적경제의 실천의지의 취약성 점을 극복하고 주거지 근처의 공동체 활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다. 나아가 따복공동체사업에 참여한 지역민들과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따복공동체가 지역사회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통합화형과 개별화형, 수요대응형과 역량맞춤형, 자원집중형과 자원분산형의 지원모델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tasks which public support groups should fundamentally perceive and develop support models based on it so that socioeconomic activities, which have been spreading in recent years, can settle in local communities. For this aim, this study was proceeded based on Gyeong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지역사회보급을 위한 지원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초지자체 및 광역단체의 사회적경제 지원사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경제 공동체 및 지역민의 수요에 근거하면서도 지원의 중복성 등을 피하여 지역적 확산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가운데 지역화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지역사회보급을 위한 지원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초지자체 및 광역단체의 사회적경제 지원사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 설문 조사에서는 경기도의 대표적인 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 활성화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따복공동체에 대한 경기도민의 이해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나아가 따복공동체 사업경험자와 미경험자 간의 차이를 이해하여 사업 참여 경험이 지역화 동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하여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0월 14일부터 27일에 걸쳐 행하여졌다.
  • 또한 규범적으로는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이윤분배에서 자본보다는 사람들이나 노동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향을 실현하고자 한다(채종헌·최준규,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의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를 보급하는 광역차원의 지원조직인 따복공동체지원단의 사업에 대하여 일반시민과 따복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인지도 및 수요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원과제를 도출한 후 지역단위의 사회적경제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모델인 ‘지역화모델’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 넷째, 지역공동체활성화요인에서 중요시되는 마을인재와 지역공헌에 대한 지역민의 요구에 대하여 경기도 31개 시군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과 지원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궁극적인 성과로서 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의 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모델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경제의 지역에의 보급 활성화를 위하여 경기도 도민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경기도의 대표적인 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 활성화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따복공동체에 대한 경기도민의 이해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 구체적으로는 기초지자체 및 광역단체의 사회적경제 지원사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경제 공동체 및 지역민의 수요에 근거하면서도 지원의 중복성 등을 피하여 지역적 확산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가운데 지역화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지역화 모델이란 지역단위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사회적경제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하여 행하여야 할 지자체 단위의 중간 지원조직의 지원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 이상을 통하여 지역사회적경제의 지역에의 보급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제를 경기도민의 요구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 사회적경제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의 방향을 모델로 제시하면 크게 6개의 모델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김용문 외(2015)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 공동체들의 기술성 저조에 주목하여 우수사회적기업들의 시범사업을 통한 홍보 확산, 기술 및 그 적용분야에 대한 연구와 학습을 제언하였다. 셋째, 지역사회이해력이다. 이현주(2015)는 지역에서 공익성과 수익성에서 균형 있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지역적 모델의 차별화, 네트워크, 그리고 성과 측정 및 평가에 대한 이해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경제란? 이러한 가운데 지자체들은 공동체·연대를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사회적경제 등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지역 기반의 공동체활동과 사회적경제의 육성 과제를 사회적 합의로서 도출하여 마을만들기지원조례, 사회적경제육성조례 등을 만들어 내고 있다. 채종헌, 최준규 (2012)의 정리에 따르면,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는, ‘사회적 목적, 사회적 소유, 사회적 자본’을 구성요소로 하여, 시장이나 국가와는 다른 대안적인 자원 배분을 목적으로 하여 ‘시민사회 혹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그들의 요구와 사회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실천하는 자발적이고 호혜적인 참여경제방식’이다. 법제도적 차원에서는 ‘시장부문과 공공 부문사이에서 양자를 통해 만족되지 못한 필요를 채우기 위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영역’으로서 협동조합과 같은 다양한 비영리조직을 포함한다.
사회적경제를 실현하는 지역 공동체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이러한 가운데 사회적경제를 실현하는 지역 공동체가 증가하고 있고 그 조직도 다양화하고 있다. 인증예비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자활기업, 장애인생산판매시설,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기관,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마을기업, 농촌공동체회사 등 그리고 커뮤니티 비즈니스 조직, 마이크로 크레디트 등 대안금융기관, 공정무역, 공유경제 친환경 등 기타 사회문제해결기업, 사회적기업중간지원조직 등 다수의 조직이 사회적경제조직에 포함된다(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4). 2016년도 현재 기준으로 발표된 인증사회적기업은 1,937개에 이른다.
공동체 활동과 관련하여 경기도 전역에 ‘홍보’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둘째, 공동체 활동에 대하여는 전체적으로 반 이상이 공동체 경험이 없기 때문에 경기도 전역에 ‘홍보’전략이 필요하다. 나아가 활동내용도 교육이나 문화 활동에 국한되어 있어서 보다 다양성을 높이는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2016, 2015 경기도 따복공동체 백서. 

  2. 김항집, 2011,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 pp.123-148. 

  3. 김경희, 2013,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3(2), pp.126-150. 

  4. 김용문.정윤재.이형신.이상동, 2015,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생태계 조성을 위한 성남시 지식 산업과 사회적경제 연계방안연구, 성남시 연구보고서. 

  5. 김현호, 2013,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6. 남승균, 2015, 사회적 경제와 지역내발적 발전에 관한 연구, 인천학 연구, 23, pp.85-124. 

  7.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 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pp.1-26. 

  8. 박봉원.유영심, 2016, 리빙랩(Living Lab)와 지역사회개선,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메모. 

  9. 박소연.박인권, 2013, 마을기업에 의한 전통시장활성화 메커니즘 분석: 통인시장 사례, 공간과 사회, 23(3), pp.87-96. 

  10. 박경민, 2016, 마을교육공동체구축을 위한 실천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양병찬, 2007, 학습도시에서의 주민교육공동체운동의 전개, 평생교육학연구, 13(4), pp.173-201. 

  12. 양병찬, 2015,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가능성 탐색 시흥시 '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21(3), pp.1-23. 

  13. 여관현, 2015, 주민학습과 실천을 통한 마을만들기의 지속 가능성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pp.29-51. 

  14. 이기태.하현상, 2016,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 조직의 역할-거래비용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보, 25(1), pp.455-490. 

  15. 이현주, 2015, 마을기업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과 정책연구, 4(2), pp.61-89. 

  16. 이왕건, 2012, 주민중심의 커뮤니티를 도시.지역 재생방안, 국토, 363, pp.22-29. 

  17. 전지훈.최문형.정문기, 2015, 지역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및 지역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코인스트리트, 나가하마, 삼덕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1), pp.87-114. 

  18. 정병흠, 2016,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지역문화역량 강화 방안-전통문화유산교육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0(4), pp.161-180. 

  19. 최인수.김건위, 2015, 리빙랩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6(4)(2015. 12), pp.83-101. 

  20. 최영출, 2004,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AHP방법론의 적용, 지방행정연구, 18(1), pp.19-50. 

  21. 채종헌.최준규, 2012,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이 역할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pp.196-225. 

  22. 최준규, 2016, 경기도 따복공동체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5년도 경기도 따복공동체지원센터 기본연구사업 결과보고서. 

  23. 황익주.정헌목, 2012, 도시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지역 공동체형성의 과제: 4개 도시 사례의 비교연구, 정신문화연구, 35(2), pp.101-128. 

  24. 한상일.정무권.박문수.윤성국, 2013, 지방자치단체의 비형식학습에 대한 비교 사례 분석: 한국과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1), pp.367-392. 

  25.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 2014, 사회적 기업 개요집. 

  26. 金子郁容, 2004, それはコミュニティからはじまった. 本間正明他(2004).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の時代-NPOが?える産業, 社?, そして個人, 岩波書店. 

  27. 宮本 憲一.中村 剛治?.?田 茂, 1990, 地域???, 有斐閣ブックス.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