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Klebsiella michiganensis Jopap-1의 식물생장촉진효과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of Klebsiella michiganensis Jopap-1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6 no.3, 2018년, pp.218 - 224  

김예슬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uxin-producing bacterium, Klebsiella michiganensis Jopap-1, was isolated from a button mushroom bed in Buyeo-Gun, Chungcheongnam-Do. The strain Jopap-1 was classified as a novel strain of K. michiganensis based on a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analysis. The isolated K. michiganensis Jopap-1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근권 미생물의 다기능을 이용해 작물 생육을 위한 생물학적 자원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양송이 배지로부터 식물생장촉진물질인 auxin의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분리균의 배양 조건별 auxin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Bio assay 실험법을 이용한 재배실험을 통해 작물의 생육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미생물 자원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근권 미생물의 다기능을 이용해 작물 생육을 위한 생물학적 자원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양송이 배지로부터 식물생장촉진물질인 auxin의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분리균의 배양 조건별 auxin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Bio assay 실험법을 이용한 재배실험을 통해 작물의 생육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미생물 자원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인 화학 비료의 공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은? 지속적인 화학 비료의 공급은 토양의 염류집적과 산성화 등을 초래하고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저하시키며, 나아가 부영양화 등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 비료의 사용을 줄이며 화학 비료를 대체할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Emmert et al.
식물성장촉진세균이 식물에있어서 하는 역할은? 식물의 근권에는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근권미생물 중 기능적으로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성장촉진세균(PGPR,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은 식물의 생장, 영양분 흡수의 촉진, 면역성 증대 및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길항작용으로 감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lick et al., 1999; Jung et al., 2006; Loon et al., 2007). 이와 같은 PGPR 세균은 식물생육 조절인자인 식물 호르몬(Phyto Hormone)을 생산함에 따라 나타나며, 식물 성장 관련 식물 호르몬들로는 auxin, gibberellin, cytokinin 등이 알려져 있다(Barea et al.
지속적인 화학 비료의 공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지속적인 화학 비료의 공급은 토양의 염류집적과 산성화 등을 초래하고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저하시키며, 나아가 부영양화 등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 비료의 사용을 줄이며 화학 비료를 대체할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Emmert et al., 1999; Park et al., 2008; Lee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ea JM, Navarro E, Montoya E. 1976. Produc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by rhizosphere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J Appl Bacteriol. 40:129-134. 

  2. Denvender KJ and David G. 1984. Characterization of a sub-stance produced by Azospirillum which causes branching of wheat root hairs. Can J Microbiol. 31:206-210. 

  3. Ezaki T, Hashimoto Y, Yabuuchi E. 1989. Flu orometric deoxy-ribonucleic acid-deoxyribonucleic acid hybridization in micro- dilution wells as an alternative to membrane filter hybridization in which radioisotopes are used to determine genetic relatedness among bacterial strains. Int J System Bacteriol. 39:224-229. 

  4. Emmert EAB and Handelsman J. 1999. Biocontrol of plant disease: A gram-positive perspective. FEMS Microbiol Lett. 171:1-9. 

  5. Glick BR, Patten CC, Holguin G, Penrose DM. 1999. Biochemical and genetic mechani sms used by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Imperial College Press, London. p1-3. 

  6. Glick BR. 1995. The enhancement of plant growth by free-living bacteria. Can J Microbiol. 41:680-685. 

  7. Jung YP, Kyung KC, Jang KY, Yoon MH.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rom waste mushroom bed from Agaricus bisporus. Kor J Soil Sci Fert. 44:866-871. 

  8.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2006.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 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rol activity.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94-100. 

  9. Kim TS, Ko MJ, Lee SW, Han JH, Park K, Park JW. 2011. Antifungal and proteolytic activity and auxin formation of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highland forest soils of halla mountain. Kor J Pesti Sci. 15:495-501. 

  10. Kwon HD, Song HG. 2014. Interactions between Indole-3-acetic acid and producing Acinetobacter sp. SW5 and Growth of Tomato Plant. Kor J Microbiol. 50:302-307. 

  11. Lee EY, Hong SH. 2013. Assessment of the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in alkaline soils using biolog ecoplate and DGGE. Kor Soc Biotechnol Bioeng J. 28: 275-281. 

  12. Loon LC van. 2007. Plant responses to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Eur J Plant Pathol. 119:243-254. 

  13. Lee KH, Madhaiyan M, Kim CW, Lee HS, Poonguzhali S, Sa TM.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AA producing methylotrophic bacteria from phyllosphere of rice cultivars. Korean J Soil Sci Fert. 37:235-244. 

  14. Leonid NT, Lee MJ, Lee MK, Park H, Yoon JH. 2000. Production of auxins and auxin-like compounds by ginseng growth- promoting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KGPP 207. Agric Chem Biotechnol. 43:264-268. 

  15. Lee CJ, Lee HH, Yoon MH. 2015.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of auxin 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soil of Oyster mushroom farmhouse. J Mush Rooms. 13:1-7. 

  16. Mehdipour Moghaddam MJ, Emtiazi G, Salehi Z. 2012. Enhanced auxin production by Azospirillum pure cultures from plant root exudates. J Agr Sci Tech. 14:985-994. 

  17. Ouzari H, Khsairi A, Raddadi N, Hassen A, Zarrouk M, Daffonchio D, Boudabous A. 2008. Diversity of auxin- producing bacteria associated to Pseudomonas savastanoi - induced olive knots. J Basic Microbiol. 48:370-377. 

  18. Park KS, Kim KJ, Shin YJ, Kim S, Cha JS. 2008.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increases on survival of non-pathogenic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9-3 during drying and storage. Kor J Pesticide Sci. 12:368-374. 

  19. Ravikumar S, Kathiresan K, Selvam MB, Shanthy S. 2004. Nitrogen-fixing azoto bacters from mangrove habitat and their utility as marine biofertilizers. J Exp Mar Biol Ecol. 312:5-17. 

  20. Spaepen S and Vanderleyden J. 2010. Auxin and plant-microbe ineractioncs.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doi: 10.1101/ cshperspect.a001438. 

  21. So JH, Kim DJ, Shin JH, Yu CB, Rhee IK.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A-139 producing auxin from ease coast sand dunes. Korean J Environ Agri. 28:447- 4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