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손상 특성 연구
Studies on Damage Characteristics of Gyeongju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1 no.3, 2018년, pp.149 - 159  

도진영 (경주대학교 고고인류미술사학과) ,  김정진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석탑이다. 석탑에서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백색피각, 흑색피각, 변색, 토양흡착 등의 오염물, 생물서식, 보수물질 등이다. 구조적 요인에 의한 손상양상으로 배부름 현상이 나타난다. X-선 회절분석 결과에 의하면 백색피각의 주 구성광물은 방해석($CaCO_3$)과 서모나트라이트($Na_2CO_3{\cdot}H_2O$)로 자연 상태에서 쉽게 나타나는 증발잔류광물이다. 석탑에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각 부위별로 상당히 다르다. 생물서식은 기단, 사자상, 1층과 2층의 옥개석에서, 보수물질은 기단에서 확인된다. 배부름 현상은 1층 탑신에서 나타난다. 전체적인 손상 유형별 점유율은 생물서식, 오염물, 보수물질이며 그외 배부름 현상, 박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인 개별 손상양상은 흑색미생물(39.3%)이며, 다음은 지의류(17.9%), 변색(8.0%), 백색피각(5.5%), 시멘트 모르타르(5.1%), 배부름 현상(3.9%), 박리(3.1%)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yeongju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which was built with bricks of andesite, is the oldest brick stone pagoda of Silla period. The damage patterns in the stone pagoda are pollutants such as white crust, black crust, discoloration, soil adsorption, and microorganisms, and repair material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보 제30호인 분황사 모전석탑에 대한 현장 조사를 통하여 석탑에 발생된 손상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복원이나 정비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재의 내부 조사가 불가능하고 접근에 어려움이 있어 표면에 드러난 양상만 조사하여 입면도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조사결과는 표면적만을 고려하여 표시한 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황사의 지리적 위치는? 분황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구황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좌표상으로 E129°14’20”, N35°50’20”지점에 해당한다.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탑으로 경주시 구황동의 분황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탑이 세워진 것은 분황사 창건과 같은 신라 선덕여왕 3년(634)으로 보고 있다.
분황사 모전석탑이 세워진 시기는? 분황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구황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좌표상으로 E129°14’20”, N35°50’20”지점에 해당한다.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탑으로 경주시 구황동의 분황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탑이 세워진 것은 분황사 창건과 같은 신라 선덕여왕 3년(634)으로 보고 있다. 3층으로 되어있는 지금의 모습은 1915년 일본인에 의해 수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선고적도보와 유리원판 사진에 의하면 수리 전에도 3층의 모습으로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의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분황사 모전석탑에 확인된 손상양상은 무엇인가? 오염물은 석재 이외의 물질이 화학적, 물리적 작용에 의해 다른 물질이 부착되거나 광물이 변화하는 손상양상을 뜻한다. 본 조사에서는 백색피각, 흑색피각, 변색, 흡착된 토양 등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o, J.Y. (200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Salts in the Black Surface Layer of Stone Monument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2, 15-25. 

  2. Do, J.Y. (2005) Deterioration of grinite in Bunhwangsaseoktap (Stone pagoda of Bunhwnagsa Temple). Joumal of Conservation Science, 17, 73-82. 

  3. Do, J.Y. and Lim, K.W. (2008) Influence of the Soluble Salt on the Exfoliation of the Stone Monu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121-134. 

  4. Fidler, J. (2002) Stone building, construction and associated component system: their decay and treatment. English Heritage Research Transactions, 2, 1-104. 

  5. Jwa, Y.J., Kim, J.H., and Park, S.C. (2008) A study on the Surface Cracks in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Site, Gyeongju, Korea: Examples from the second story stone body and the third story capston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7, 238-244. 

  6. Jwa, Y.J., Kim, J.H., and Park, S.C. (2008) A study on the Surface Cracks in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Site, Gyeongju, Korea: Examples from the second story stone body and the third story capston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7, 238-244. 

  7. Jwa, Y.J., Kim, K.K., Ko, S.S.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128-138. 

  8. Kim, J.H. and Jwa, Y.J. (2010) A Study on the Provenance of the Stones and the Surface Cracks in the Suljeongri East Three-story Stone Pagoda, Changnyeong,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283-292. 

  9. Kim, Y.T., Lee, C.H., and Lee, M.S. (2005) Deterioration Assessment for Conservation Scienc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Economic Environmental Geology, 38, 675-687. 

  10. Lee, C.H. and Suh, M.C. (2002) Petrological and Geological Safety Diagnosis of Multi-storied Stone Pagoda in the Daewonsa Temple, Sancheong, Korea. Economic Environmental Geology, 35, 355-368. 

  11.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12. Lee, C.H., Yi, J.E, Shin, E.J., and Kim S.D. (2008) Deterioration degre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10th storied Stone Pagoda in Gyeongchensa Templ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4, 765-779. 

  13. Lee, M.H. and Lee, C.H. (2009) Transportation Route, Provenanc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Seongju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725-739. 

  14. Lee, S.M., Lee, M.S., Jo, Y.H., Lee, C.H., Jeon S.W., Kim, J.O., and Kim, S.D. (2007)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the Cheongryongsa Temple, Anseong, Korea. Economic Environmental Geology, 40, 661-673. 

  15. Lim, K.W. and Do, J.Y. (2009) Study on the Change of Strength and Water Vapour Diffusion Resistant of Stone by Soluble Sal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147-154. 

  16. Suh, M.C., Choi, H.S., Lee, C.H., and Oh, J.Y. (2003) Geophysical exploration for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three-story stone pagoda in Gameum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6, 39-46. 

  17. Suh, M.C., Oh, J.Y., and Choi, H.S. (2002) Geophysical exploration for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s in Bulkuk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5, 143-151. 

  18. Yang, H.J., Lee, C.H., Choi, S.W., and Lee, M.S. (2006)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293-306. 

  19. Yun, Y.K., Do, J.Y., Kim, T.H., Seong, H.J., and Choi, J.S. (2007)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 and Soluble Salts on Surface Layer of Stone Monu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1, 5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