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에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사 제조업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Knowledge and Proficiency Level on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Manufacturing Employees in the S Compan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9, 2018년, pp.217 - 230  

조환철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엄재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조업의 기술고도화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과거의 숙련도 중심에서 전문기술과 지식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인력과 역량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해야 경쟁력 유지와 안정적인 조직 운용이 가능한 상황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역량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지만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자들의 시각은 숙련도에 국한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의 확장된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 환경의 변화가 빠른 S기업의 가전제품 조립 공장의 생산직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지식, 숙련도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변화된 제조업 생산 조직의 역할을 배경으로 그 구성원들의 직무지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제조 근무자들의 직무역량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ficiency-centered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the past is now expanding into that focused on expertise and knowledge. So the paradigm shift about human resources and management of them is required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nd run the organization in a stable way.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1.연구">1.연구 가설과 연구 모형

    본 논문에서는 제조업의 생산직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종속 변수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후)따라">따라 직무지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생산직 종사자의 직무지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최근 점차 증대하고 있는 제조업 생산 특히 제조 현장의 변화가 빠른 기업에서는 오히려 직무숙련 도보다는 직무지식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 로 조직의 경쟁력 유지 및 강화를 위해 구성원들의 직 무지식의 향상을 지향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요성에 대한 이해가 직무만족을 높이고 있다고 유추 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 이것을 실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1. 직무지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 직무지식은 직무숙련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
  • 3. 직무숙련도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전체 산업 종사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분야는? 국내 전체 산업 종사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는 분야는 제조업으로서[1] 제조업의 경쟁력은 국가 경 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2].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 제조업 경쟁력은 꾸준히 하락세에 있고 노동생산성 또한 외국의 경쟁 국가들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상황이다[3].
국내 제조업 경쟁력 추세는? 국내 전체 산업 종사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는 분야는 제조업으로서[1] 제조업의 경쟁력은 국가 경 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2].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 제조업 경쟁력은 꾸준히 하락세에 있고 노동생산성 또한 외국의 경쟁 국가들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상황이다[3]. 또한 최근 비정규직 문제가 사회 이슈화가 되면서 정부에서는 정규직 전환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노동 시장의 유연성 또 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4].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에 게 요구되는 직무역량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6]. 외주 인력 투입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체 작업 인력이 감소하 고 이로 인해 개인이 수행해야 할 역할의 총량이 증가 하게 되었으며 공정이 점차 시스템화가 되고 자동화 설 비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의 역할은 단순 조립 등의 단 순 노동에서 생산 중 설비 운용, 시스템 관리 등 숙련도 이상의 기술과 지식을 요하는 업무로 확장되어가고 있 다. 이전까지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에게 요구되던 가 장 중요한 직무역량은 숙련도였지만 점차 생산 시스템, 설비, 물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중요해지고 있 으며 최근 생산직 근무자들의 업무 영역은 단순 생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고용노동부, 18.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2018. 

  2. 현대경제연구원, 제조업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 결정한다, 경제주평, 제555호, 2013. 

  3. 현대경제연구원, 한국 주력산업의 위기와 활로, 경제주평, 제789호, 2018. 

  4. 한국노동연구원, 비정규직 대책의 현황과 과제, 2018. 

  5. 김철식,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 황해문화, 제96호, pp.240-259, 2017. 

  6. M. Russmann, M. Lorenz, P. Gerbert, M. Waldner, J. Justus, P. Engel, and M. Harnisch, Industry 4.0: The Future of Productivity and Growth in Manufacturing Industries, Boston Consulting Group, 2015. 

  7. D. W. Sullivan, "Manufacturing hiring trends: employers seeking more diverse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Vol.16, No.3, pp.247-254, 2012 

  8. A. S. Boyatzis,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 Inc, 1982. 

  9. D. Dubois, Competency-based HR Management, Black Well Publishing, 1998. 

  10. 한예림, 이웅희, "기업의 경쟁전략 및 직무역량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교육훈련투자의 조절효과," 경영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pp.229-248, 2017. 

  11. 김기태, "교육훈련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 직무능력 향상, 종업원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2권, 제4호, pp.29-57, 2008. 

  12. J. D. Waldman, F. Kelly, S. Aurora, and H. L. Smith, "The shocking cost of turnover in health care,"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Vol.29, No.1 pp.2-7, 2004. 

  13. 옥지호, "자발적 이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직무순환제도의 보완적 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14권, 제1호, pp.69-92, 2014. 

  14. 조상미, 최미선, "조직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직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상사-부하교환관계를 중심으로 -," 인적자원 관리연구, 제17권, 제2호, pp.1-27, 2010. 

  15. 이기태, 백인흠, 박종운, "선박수리업 종사자의 개인역량과 직무만족,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542-555, 2018. 

  16. 최경진, 직무특성이 개인역량에 직무특성이 개인역량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오인수, 김광현, T. C. Darnold,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 의도 간의 관련성: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인사 조직연구, 제15권, 제4호, pp.43-86, 2007. 

  18. 하나선, 최정, "간호사의 간호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86-294, 2010. 

  19. 서명선, 유정선, "객실승무원의 개인역량이 직무 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9호, pp.139-160, 2014. 

  20. 황창환, 문종범, "영업직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업역량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3호, pp.49-71, 2009. 

  21. J. Bound and G. Johnson, "What are the causes of rising wage in 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Economic Policy Review, Vol.1, No.1, pp.9-17, 1995. 

  22. L. F. Katz and K. M. Murphy, "Changes in relative wage 1963-1987: Supply and demand factor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07, No.1, pp.35-78, 1992. 

  23. D.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No.1, pp.1-14, 1973. 

  24. L. M. Spencer and S. M. Spencer, Competencies at work New York, Wiley, 1993. 

  25. 박희천, 산업계 인력현황 및 질적평가에 대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보고서, pp.25-57, 1994. 

  26. 김종인, "역량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인적자원 개발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임금연구, 제13권, 제3호, pp.33-48, 2005. 

  27.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역량중심의 교육과정개발," 직업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09-128, 2001. 

  28.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pp.1297-1343, 1976. 

  29. P. C. Smith, L. M. Kendall, and C. L.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1969. 

  30. R. H. Hoppock,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 Brothers, 1977. 

  31. R. Lichtenstein,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ian's in Organized Setting," Medical Care, Vol.22, No.1, 1984. 

  32. J. P. Campbell and V. Scarpello, "Job satisfaction and the fit between industrial needs and organizational reward,"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6, No.4, pp.315-328, 1983. 

  33. T. A. Beehr, Basic organization psychology, Boston, MA: Allyn and Bacon, 1996. 

  34. S. W. Davis and W. J. Wasmuth, "Managing employees leave," The Cornell Hotel & Restaurant Adminstration Quarterly, Vol.23, No.4, pp.15-22, 1983. 

  35. 정명화, 사회적 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6. J. Price, The study of turnover,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37.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No.2, 1977. 

  38. T. W. Lee and T. R. Mitchell, "An alternative approach: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9, No.1, pp.51-89, 1994. 

  39. W. H. Mobley, R. W. Griffeth, H. H. Hand, and B. M. Meglino,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86, No.3, pp.493-522, 1979. 

  40. A. C. Bluedorm, "A Unf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anizations," Hunam Relations, Vol.35, No.2, 1982. 

  41. J. Sutherland, "Job­to­job turnover and job to non­employment movement: A case study investigation," Personnel Review, Vol.31, No.6, pp.710-721, 2002. 

  42. J. D. Phillips, "The price tag on turnover," Personal Journal, pp.58-61, 1990. 

  43. C. M. Gustafson, "Staff turnover: Retention" International j. contemp. Hosp. Manage, Vol.14, No.3, pp.106-110, 2002. 

  44. 이전마, 강인순, 유수정, "간호정보역량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9권, 제1호, pp.109-122, 2015. 

  45. 안현영, "문화관광해설사의 자원해설 서비스를 위한 의사소통 역량과정서적 표현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8권, 제4호, pp.217-236, 2013. 

  46. 오세숙, 김의진, 김종순, "어르신전담 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 직무역량이 조직충성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재14권, 제3호, pp.43-56, 2016. 

  47. 김봉기, "의료관광 전문인력의 직무역량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거리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20권, 제5호, pp.61-82, 2016. 

  48. 이창근, 이희옥, "인적역량이 직무성과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은행의 PB를 대상으로-," 산업혁신연구, 제33권, 제1호, pp.177-201, 2017. 

  49. 서명선,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이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41-173, 2016. 

  50.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p.83-101, 2006. 

  51. 성행남, 조동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의 관계 -중소건설업 IT종사자의 직무만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제32권, 제2호, pp.339-357, 2013. 

  52. 배하영, 박세영, "직장인의 전공-직무 일치 여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지역과 세계, 제42권, 제1호, pp.99-125, 2018. 

  53. 박득,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만족요인,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209-218, 2011. 

  54. 유주연,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종사원의 직무특 성,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광주지 역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2-32, 2016. 

  55. 임창호, "경찰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경찰학회보, 제18권, 제3호, pp.173-204, 2016. 

  56. 정용주, IT인력의 역량개발환경이 직무만족 및 정보시스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7. 이수진,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58. 김보현, 이진구, "직무순환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K사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제20권, 제1호, pp.43-63, 2017. 

  59. 김갑식, 안태호, 이현기, 최대량, 백인섭, "ICT 프로젝트 구성원의 개인 직무역량과 역할갈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로젝트 관리자 역량을 조절 효과로," 기업경영연구, 제62권, pp.137-159, 2015. 

  60. J. D. Cook, S. J. Hepworth, T. D. Wall, and P. B. Warr, The experiment of work, New York Academic Press, 1981. 

  61. 박상수, 직무관련변수가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2. M. G. Morris and P. L. Ackerman, "A longitudinal field study of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technology adoption decision making processes," Organ. Behavior Human Decision Processes, Vol.83, No.1 pp.33-60, 2000. 

  63. C. Fo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64. D. Gefen, D. W. Straub, and M. 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 Vol.4, No.1, pp.7-24, 2000. 

  65. 장석인,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직무제조특성과 조직 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남동 및 반월 공단을 중심으로-," 산학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pp.23-46, 2006. 

  66. 장석인, "제조업에 종사하는 2교대근무 작업자의 직무만족도 평가,"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6권, 제1호, pp.55-61, 2007. 

  67. 이종구, 곽원섭, "중소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원, 직무 스트레스 및 조직 성과간의 관계,"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6권, 제1호, pp.55-61, 2007. 

  68. 이경아, 이재희, 오세진, "제조업 근로자의 지각된 안전 분위기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전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02-108, 2013. 

  69. A. Skevi et al., "Current Skills Gap in Manufacturing: Towards a New Skills Framework for Factories of the Future," Ajaccio, s.n., pp.175-183, 2014. 

  70. G. Chryssolouris, D. Mavrikios, and D. Mourtzis, "Manufacturing Systems: Skills & competencies for the Future," Procedia CIRP, Vol.7, pp.17-2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