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ADHD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자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Child with ADHD: Focused on Caregiver's Fact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9, 2018년, pp.335 - 345  

이종하 (인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지영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삶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자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297명의 초등학교 ADHD 아동과 아동의 양육자였으며, 전국의 소아정신과 병/의원과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이용자 중 연구에 동의한 경우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양육자에 대해서 아동의 ADHD 증상 심각도,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감이 측정되었고, ADHD 아동에 대해서 삶의 만족을 측정하였다. 결과로는 ADHD 증상의 심각도가 양육자의 자아존중감 저하와 우울을 경유하여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삶의 만족을 낮추는 요인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ADHD 아동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양육자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병행되어져야만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s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child with ADHD through path-analysis. 297 cases of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caregiver were select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ic clinic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Korea as the r...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ADHD 아동에 대해서 직접 주관적인 삶의 만족을 조사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ADHD 아동과 양육자에 대한 변인들을 구조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구조모형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 (Stress-Vulunerability Model)을 바탕으로 설명해보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ADHD 아동과 양육자에 대한 변인들을 구조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구조모형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 (Stress-Vulunerability Model)을 바탕으로 설명해보겠다.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은 취약성을 지닌 개인이 환경적 여건 특히 스트레스 사건에 직면하면 문제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20].
  • 본 연구모형에 대한 측정모형이 타당하였으므로, 변수들 간의 관계구조를 살펴보고자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ADHD를 가진 아동에 대해 양육자가 느끼는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저하, 그리고 우울감이 아동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양육자를 개입하고 궁극적으로 ADHD 아동의 삶의 만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 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2. 아동의 ADHD 증상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우울감, 양육스트레스를 통하여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StressVulunerability Model)을 바탕으로 아동의 ADHD 증상을 스트레스 요인 사건으로 가정하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스트레스에 취약한 양육자가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느낌으로서, 우울감을 많이 느끼게 된다고 설정하여 보았다. 이에 추가로, 양육자의 변인들이 아동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Disorder, 이하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하는 소아기 정신질환이며, 3-5%의 유병률을 갖는다[1]. ADHD 어려움을 가진 아동은 가정및 학교생활을 포함한 전반적 생활에 다양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ADHD 질환을 경험하는 것은 아동 의 건강한 성장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2-5].
ADHD는 아동들에게 무슨 문제를 일으키는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Disorder, 이하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하는 소아기 정신질환이며, 3-5%의 유병률을 갖는다[1]. ADHD 어려움을 가진 아동은 가정및 학교생활을 포함한 전반적 생활에 다양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ADHD 질환을 경험하는 것은 아동 의 건강한 성장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2-5].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양육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동의 ADHD 증상은 건강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뿐만 아니라 양육자의 삶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동의 ADHD 증상은 양육자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6-8], 우울감을 증가시키며[9], 자아존중감을 저하시킨다[10][11]. 게다가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다시 ADHD 아동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6][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Diagnostic and Statitical Menual of Mental Disorders - Fifth Edition: DSM-5.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2013. 

  2. J. Kendall, M. C. Leo, N. Perrin, and D. Hatton, "Service Needs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Family Nursing, Vol.11, No.3, pp.265-288, 2005. 

  3. H. Klasen and R. Goodman, "Parents and GPs at Cross-Purposes over Hyperactivity: A Qualitative Study of Possible Barriers to Treatment,"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50, pp.199-202, 2000. 

  4. 오원옥, 박은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 부모의 양육 경험: 정상에 다가가기,"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1호, pp.91-104, 2007. 

  5. 정영철, 이종범, 박형배, 정성덕, 성형모, 사공정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연령에 따른 특성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회, 제7권, 제1호, pp.137-146, 2001. 

  6. 이종하, "ADHD 아동의 학교적응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어머니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39-67, 2012. 

  7. V. M. Schroeder and M. L. Kelley, "Associ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Parenting Practices, and Executive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Journal of Family Study, Vol.18, pp.227-235, 2009. 

  8. D. B. Baker and K. McCal, "Parenting Stres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4, No.1, pp.57-68, 1995. 

  9. A. C. Gerdes, B. Hoza, L. E. Arnold, W. E. Pelham, J. M. Swanson, T. Wigal, and P. S. Jens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Parenting Behavior: Exploration of Possible Media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5, pp.705-714, 2007. 

  10. 장미경, 양숙미, "어머니의 장애인식,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1권, 제4호, pp.163-188, 2005. 

  11. C. E. Jenson, R. G. Green, N. N. Singh, A. M. Best, and C. R. Ellis, "Parental Attributions of the Causes of Their Children's Behavio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7, No.2, pp.205-215, 1998. 

  12. T. C. Chi and S. P. Hinshaw, "Mother-child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DHD: The Role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on-Related Distortion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0, No.4, pp.387-400, 2002. 

  13. Y. Eric, I. Carroll, and A. Brian, "Dysphoria-Related Bias in Maternal Ratings of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7, No.6, pp.905-916, 1999. 

  14. E. S. Segal, "Learned Mothering: raising a child with ADHD,"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Vol.18, No.4, pp.263-279, 2001. 

  15. 김세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30-339, 2012. 

  16. R. Finzi-Dottan, I. Manor, and S. Tyano, "ADHD, Temperament, and Parental Style as Predictors of the Child's Attachment Patterns,"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Vol.37, pp.103-114, 2006. 

  17. E. A. Hurt, B. Hoza, and W. E. Pelham, Jr. "Parenting, Family Loneliness, and Peer Functioning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35, pp.543-555, 2007. 

  18. G. H. Gudjonsson, J. F. Sigurdsson, G. A. Eyjolfsdottir, J. Smari, and S. You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ADHD symptoms, and associated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ttention Dissorders, Vol.12, No.6, pp.507-515, 2009. 

  19. 강민채,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의 지원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570-578, 2017. 

  20. 유수현, 천덕희, 이효순, 성준모, 이종하, 정신건강론(4판), 양서원, 2017. 

  21. C. L. Bagwell, B. S. G. Molina, W. E. Pelham, and B. Hoz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roblems in Peer Relations: Predictions from Childhood to a Adolesc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40, pp.1285-1292, 2001. 

  22. A. R. Colleen, ADHD and Teens : A Parent's Guide to Making it Through the Tough Years, Dallas, TX: Talyor Publishing Company, 1995. 

  23. 신민영, 김호영, 김지혜, "주의력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을 호소 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4호, pp.903-916, 2005. 

  24. 이인영, 이희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촉진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13-124, 1995. 

  25. 소유경, 노주선, 김영신, 고선규, 고윤주, "한국어판 부모, 교사 ADHD 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1권, 제2호, pp.283-289, 2002. 

  26.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1997. 

  27. 전병제, "자아개념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제11권, 1974. 

  28.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2007. 

  29.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0권, 제1호, pp.98-9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