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 선행연구단계에서 안전분석 기법 FTA/FMEA의 활용을 통한 핵심요소의 결정
Determination of Key Elements Using FTA/FMEA Safety Techniques for Precedent Research Stage of Defense R&D Program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50 - 61  

최세근 (아주대 시스템공학과) ,  김영민 (아주대 시스템공학과) ,  이재천 (아주대 시스템공학과)

초록

방위력개선사업의 선행연구는 소요가 결정된 무기체계의 효율적인 획득방법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사업초기 단계에 수행되고 있다. 사업 초기단계의 선행연구는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소홀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한 성능 미충족 및 비용증가 등의 사업추진간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제한된 시간내 많은 항목의 선행연구를 수행한 결과, 핵심검토항목을 깊이 있게 검토하지 못함으로써 사업추진간 예상되는 위험을 식별하고 감소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위력개선사업 선행연구 단계에서 수행시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시스템안전 분석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FTA/FMEA 기법의 활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행방안 도출시 FTA/FMEA 기법의 적용에 대한 착안점 및 주어진 조건에 부응하도록 개선을 통해 핵심검토 항목 도출을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방위력개선사업 선행 연구단계에서 핵심 수행요소 재정립을 통해 향후 방위력 개선사업의 사업관리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성 및 예상되는 위험을 제거함에 따라,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위험감소를 통한 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recedent defense project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to support efficient determination of the acquisition method of the determined weapons system. A precedent study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has been neglected, but lack of performance and increased costs a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된 연구로는 국방 분야에서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반으로 무기체계 연구개발 단계 개선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는 시스템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언급하는 개발 생명주기에 따라, 기존의 선행연구 단계에서 요구되는 항목에 대해 재구분(할당) 관점에서 수행을 하였다.
  • 따라서, 평가요소에 대한 평가기준의 정립이 요구되었다. 기존 방위사업청 위험관리 가이드북 기준에 따르면 사업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사업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로 일정/성능/비용을 기준으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최근 무기체계의 안전성 중요도 증대 및 사업관리 관점의 위험 영향이 반영될 필요가 있어, 추가적으로 제시 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2와 같이, 선행연구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할 핵심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을 바탕으로 수행절차를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위력 개선사업 선행연구단계에 대하여, 기존 산출물 및 활동에 대한 객관화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기반 구축을 수행하기 위해 FMEA(Failure Mode Effects Analysis)[4]와 FTA(Fault Tree Analysis)[5]의 안전분석 기법을 사업관리 측면에서 활용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해당연구는 사업관리의 품질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수행했다는 점에서 객관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분석 기법의 사업관리 관점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선행연구단계의 수행되어야 할 핵심요소 식별 및 핵심요소 기반의 수행방안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 FMEA 기법은 의도한 기능의 추적 및 기능의 오류가 미치는 영향성 및 추적성 확립이 요구되는 기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하는 핵심지표가 연동하고 있는 핵심지표 요소와의 연동성 확립을 통해, Fig. 8과 같이, 어떠한 범주의 핵심요소와의 연동이 있는지에 대한 추적성 정보 확립을 수행하였다. 이는 향후, 사업관리의 위험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따라서, 수많은 사업관리 요소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접근법의 이슈를 해결하고자 위험도·신뢰도를 기반한 선행연구단계의 방위력 개선사업 사업관리의 수행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FTA/FMEA 안전분석 기법을 국방 무기체계 선행연구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관점에서 수행되었다. FTA와 FMEA 기법의 상호보완 요소라는 측면의 특성을 활용해, 보완요소를 식별하여 기존의 무기체계 개발사업, 특히, 선행연구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핵심요소에 대한 분석 및 도출을 수행하였다.
  • 무기체계 사업의 특성상 사업전체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전문가의 전문성 분야별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기체계 사업의 전체의 관점에서 활용 가능한 접근 방법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체계적 접근 방법론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공학분야 안전분석 기법을 활용해 무기체계 관련 사업관리 요소를 체계적 관점에서 접근 가능한 방법론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특히, 방법론적으로 시스템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설계적 결함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접근 방안으로 FTA-FMEA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는 추세이다[5]. 차량의 구조적/기능적 관점에서 분석을 통해 유발 가능한 영향 및 위험원 인자를 식별하는데 목적을 두는 두 기법은 서로 정반대의 접근 메카니즘을 바탕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기능적/영향/원인 관점을 사업 관리적 관점에서 착안하여 두 기법의 연계성을 확보 기반으로 선행연구 단계의 수행방안에 대해서 연구하는데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MEA 기법이란? 기존의 핵심지표는 해당 범주 내에서의 활동에 머물렀다. FMEA 기법은 의도한 기능의 추적 및 기능의 오류가 미치는 영향성 및 추적성 확립이 요구되는 기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하는 핵심지표가 연동하고 있는 핵심지표 요소와의 연동성 확립을 통해, Fig.
구축된 방법론의 장점은? 핵심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무기체계 개발 선행연구단계 특성을 반영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기준 지표를 중심으로 핵심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방법론은 기존의 사업관리 기법에서 제시하지 못하는 중요요소에 대한 평가 및 상호연동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제시된 방법론은 향후, 타 산업 분야에서도 확산/보급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FTA와 FMEA 기법의 접근형태는 어떻게 수행되는가?  선행연구단계의 핵심요소를 도출하는데 직관에 기반한 접근한 수행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안전분석을 위해 수행되는 FTA와 FMEA 기법을 활용하였다. 두 기법의 접근형태는 구조(Structure)와 영향(Effects) 및 사고(Event) 측면에서 서로 상반된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통상 병행 활동을 통해, 상호간에 식별되지 못한 요소를 찾는데 역할을 함으로 상호보완적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struction for Defense Project management, DAPA, 2018. 

  2. Y.S. So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E-based weapons system R & D", Thesis(Master of Engineering), Weapon Systems, KNDU, Seoul, Dec. 2015. 

  3. M.D. Han, C.H. Son, "Application of systems engineering to the adveance study for weapons systems development project", Korea Third Military Academy, 2007. 

  4. Glancey, Jim. "Failure Analysis Methods-What, Why and How." Special Topics in Design. MEEG 466 (2006). 

  5. S. Mergen, W.J. Schreiber-Prillwitz, P. Schmidt-Webe, "An Overview of System Safety Assessment Merging FMEA and FTA for safety analysis of sensors for automotive application", TDK-EPC, Sep. 2016. 

  6. ISO. "26262-Road vehicles-Functional safety." International Standard ISO/FDIS 26262 2011. 

  7. B. Ward, "Modeling and simulation for mission-based test and evaluation (MBT&E)", in Proc. 27th Annual National Test & Evaluation Conference, March. 17, 2011. 

  8. L. Grello, "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 (mbse) and modeling and simulation (m&s) adding value to test and evaluation (t&e)," in Test and Evaluation Conference, March, 2011. 

  9. T.K. Kim, K.S. Lee, K.B. Wig, K.Y. Kim, J.Y. 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ecedent Study Evaluation Standard", KDIA, 2016. 

  10. S.Y. Yun, S.H. Lee, J.H. Park, "Study on the promotion method of the precedent study specialization", SMI, 2014. 

  11. S.Y. Kim, "A Study on the Strategic Priority for Defense Quality Management Factors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Sep,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