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체형지수와 체질량지수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Body Shape Index and Body Mass Index and Suicidal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251 - 260  

부유경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의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반적 특성들과 동시에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통제함으로써 체형지수(A Body Shape Index, ABSI)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질병관리본부의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정보가 없는 자들을 대상에서 제외한 총 13,155명을 대상으로 카이제곱검정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BMI에서 '비만'에 해당하는 자들이 BMI에서 '표준'에 해당하는 자들보다 자살생각과 자살시도가 높았고, ABSI에서는 Q3에 해당하는 그룹이 Q1에 해당하는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았다. 자살시도는 ABSI에서 Q3에 해당하는 그룹이 Q1 그룹에 비해 3.623배(95% CI 1.027-12.772) 높았으며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BMI와 비교하여 ABSI가 높이 나타나면 단순히 자살생각보다는 자살시도라는 더욱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사회는 ABSI가 높은 자에 대해 사회적인 관심과 적절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the Body Shape Index (ABSI) with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controlling the body mass index (BMI), as well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may affect suicide. The study has used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ABSI와 BMI는서로 독립적인 개념으로 ABSI와 BMI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자료를 활용하여 ABSI와 BMI와 자살생각 및 자살행위와의 연관성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체형지수는 체질량지수와 독립적으로 복부 비만과 임상적인 결과에 대한 허리둘레(WC)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통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BSI의 값과Z점수를 계산하여 같은 성별, 나이의 대상기리 비교할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세 개의 그룹으로 부류하여 사망에 대한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반적특성들과 동시에 BMI를 통제함으로써 ABSI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메커니즘은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해 볼 수 있다. 첫째, 비만으로 인해 생긴 우울증이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BMI가 ‘비만’인 집단이나 ABSI가 높은 집단은 우울증에 걸리게 될 위험이 크다.
  • 첫째, 비만으로 인해 생긴 우울증이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BMI가 ‘비만’인 집단이나 ABSI가 높은 집단은 우울증에 걸리게 될 위험이 크다. 실제로 미국의 과체중, 비만인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허리둘레는 우울증을 진단받거나 중등도에서 중증의 우울증의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복부비만 또한 우울증을 진단받거나 중등도에서 중증의 우울증상을 유발하는것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23, 24].
  • 과체중은 게으르거나 자기관리가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회적인 편견과 비만인구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사회적인 시선이 존재하며[35-37],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에 압박을 느낀 비만 인구의 자존감은 낮아질 수 있다[7]. 사회적인압박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고 삶에 만족하지 못하며 우울증을 동반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자살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선행연구에서BMI와 자살생각은 저체중이나 비만 인구 사이에서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U자형의 관계임을 보여주고 있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야기하는 정신질환은? 자살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제적 요소, 가족환경, 스트레스, 약물 남용 뿐만 아니라우울증, 불안, 인격장애, 식이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 또한 자살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또한 체중이 우울증, 자살시도,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는데, 특히 비만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비만인구는 표준 체중의 인구보다 우울증에 걸릴 위험과 자살에 대한 생각을 가질 위험이 높다[7-10].
ABSI가 BMI보다 우수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까닭은? 허리둘레는 복부 지방 축적의지표로 사용되며, WC가 BMI보다 모든 원인과 심혈관질환에서의 사망률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4]. 또한 ABSI는 BMI만 사용했을 때와 비교해서 낮은 저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이하 HDL), triglycerides, 높은 공복혈당, 두꺼운 내장지방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21].
BMI의 한계점은? BMI는 개인의 체중과 신장의 비율에 따른 체질량을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보편적인 척도이다[7]. 하지만BMI는 체중을 지방의 무게와 근육의 무게로 구별하지않으며[14, 17, 18], 말초 지방과 복부 지방을 구별하지못한다[15, 19]. 이러한 한계점에 기초하여 신장, 체중,BMI보다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이하 WC)와의 상관관계를 더 반영한 새로운 인체 계측 매개변수인ABSI가 개발되었다[16,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 I. Lee, "Style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Relation between BMI and Suicide Ideation in Adult : Using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2009-2013",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8, No.2, pp.616-625.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8.18.02.616 

  2. D. K. Kim, H. J. Song, E. K. Lee, J. W. Kwon, "Effect of sex and ag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behaviour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a cross-sectional nationwide study", BMJ Open, Vol.6, Article ID e010183, 2016. DOI: https://dx.doi.org/10.1136/bmjopen-2015-010183 

  3. K. J. Inder, T. E. Handley, A. Johnston, N. Weaver, C. Coleman, T. J. Lewin, T. Slade, B. J. Kelly,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parallel cross-sectional analyses examining geographical location", BMC Psychiatry, Vol.14, No.1, Article ID 208, 2014. DOI: https://dx.doi.org/10.1186/1471-244X-14-208 

  4. B. Schneider, K. Lukaschek, J. Baumert, C. Meisinger, N. Erazo, K. H. Ladwig, "Living alone, obesity, and smoking increase risk for suicide independently of depressive mood findings from the population-based MONICA/KORA Augsburg cohort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52-154, pp.416-21,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jad.2013.10.007 

  5. D. N. Juurlink, N. Herrmann, J. P. Szalai, A. Kopp, D. A. Redelmeier, "Medical Illness and the Risk of Suicide in the Elderl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4, No.11, pp.1179-84, 2004. DOI: https://dx.doi.org/10.1001/archinte.164.11.1179 

  6. N. M. Petry, D. Barry, R. H. Pietrzak, J. A. Wagner, "Overweight and Obesity Are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sorder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Psychosom Medicine, Vol.70, No.3, pp.288-297, 2008. DOI: https://dx.doi.org/10.1097/PSY.0b013e3181651651 

  7. H. Kim, H. J. Jeon, J. N. Bae, M. J. Cho, S. J. Cho, H. Lee, J. P. Hong,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Suicide Behaviors, Perceived Stress, and Life Dissatisfaction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5, No.3, pp.272-278, 2018. DOI: https://dx.doi.org/10.30773/pi.2017.06.28 

  8. C. Dong, W. D. Li, D. Li, R. A. Price, "Extreme obesity is associated with attempted suicides: results from a famil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30, pp.388-390, 2006. DOI: https://dx.doi.org/10.1038/sj.ijo.0803119 

  9. D. Lester, M. Pompili, P. Girardi,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Obese Patients", Psychological Reports, Vol.108, No.2, pp.367-68, 2011. DOI: https://dx.doi.org/10.2466/06.09.12.15.PR0.108.2.367-368 

  10. K. M. Carpenter, D. S. Hasin, D. B. Allison, M. S. Faith,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SM-IV major depressive disorder,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results from a general popul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0, No.2, pp.251-257, 2000. DOI: https://dx.doi.org/10.2105/AJPH.90.2.251 

  11. K. J. Mukamal, M. Miller, "BMI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Why Is BMI Inversely Related to Suicide?", Obesity (Silver Spring), Vol.17, No.3, pp.532-538, 2009. DOI: https://dx.doi.org/10.1038/oby.2008.538 

  12. K. J. Mukamal, E. B. Rimm, I. Kawachi, E. J. O'Reilly, E. E. Calle, M. Miller, "Body Mass Index and Risk of Suicide Among One Million US Adults", Epidemiology, Vol.21, No.1, pp.82-6, 2010. DOI: https://dx.doi.org/10.1097/EDE.0b013e3181c1fa2d 

  13. Y. Sato, S. Fujimoto, T. Konta, K. Iseki, T. Moriyama, K. Yamagata, K. Tsuruya, I. Narita, M. Kondo, M. Kasahara, Y. Shibagaki, K. Asahi, T. Watanabe, "Body shape index: Sex-specific differences in predictive power for all-cause mortality in the Japanese population", PLoS One, Vol.12, No.4, Article ID e0177779, 2017.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77779 

  14. M. Fujita, Y. Sato, K. Nagashima, S. Takahashi, A. Hata, "Predictive Power of a Body Shape Index for Development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in Japanese Adult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PLoS One, Vol.10, No.6, Aritlce ID e0128972, 2015.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28972 

  15. M. Fujita, Y. Sato, K. Nagashima, S. Takahashi, A. Hata, "Predictive Power of a Body Shape Index for Development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in Japanese Adult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PLoS One, Vol.10, No.6, Aritlce ID e0128972, 2015.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28972 

  16. N. Y. Krakauer, J. C. Krakauer, "A New Body Shape Index Predicts Mortality Hazard Independently of Body Mass Index", PLoS One, Vol.7, No.7, Article ID e39504, 2012.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039504 

  17. A. M. Nevill, A. D. Stewart, T. Olds, R. Holder, "Relationship between adiposity and body size reveals limitations of BMI",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Vol.129, No.1, pp.151-156, 2006. DOI: https://dx.doi.org/10.1002/ajpa.20262 

  18. J. Gomez-Ambrosi, C. Silva, J. C. Galofre, J. Escalada, S. Santos, D. Millan, N. Vila, P. Ibanez, M. J. Gil, V. Valenti, F. Rotellar, B. Ramirez, J. Salvador, G. Fruhbeck, "Body mass index classification misses subjects with increas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related to elevated adipo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36, No.2, pp.286-94, 2012. DOI: https://dx.doi.org/10.1038/ijo.2011.100 

  19. C. E. Ruhl, J. E. Everhart, "Trunk Fa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in the United States", Gastroenterology, Vol.138, No.4, pp.1346-1356, 2010. DOI: https://dx.doi.org/10.1053/j.gastro.2009.12.053 

  20. S. He, Y. Zheng, H. Wang, X. Chen,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body shape index and mortality in a group of middle-aged men", Clinical Nutrition, Vol.36, No.5, pp.1355-1359,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clnu.2016.09.003 

  21. S. Bertoli, A. Leone, N. Y. Krakauer, G. Bedogni, A. Vanzulli, V. I. Redaelli, R. De Amicis, L. Vignati, J. C. Krakauer, A. Battezzati, "Association of Body Shape Index (ABSI)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 cross-sectional study of 6081 Caucasian adults", PLoS One, Vol.12, No.9, Article ID e0185013, 2017.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85013 

  22. K. J. Mukamal, I. Kawachi, M. Miller, E. B. Rimm. 2007, "Body Mass Index and Risk of Suicide Among 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7, No.5, pp.468-75, 2007. DOI: https://dx.doi.org/10.1001/archinte.167.5.468 

  23. G. Zhao, E. S. Ford, C. Li, J. Tsai, S. Dhingra, L. S. Balluz, "Waist circumference, abdominal obesity, and depression among overweight and obese U.S. adul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6", BMC Psychiatry, Vol.11, No.1, Article ID 130, 2011. DOI: https://dx.doi.org/10.1186/1471-244X-11-130 

  24. S. K. Garg, H. Maurer, K. Reed, R. Selagamsetty, "Diabetes and cancer: two diseases with obesity as a common risk factor",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Vol.16, No.2, pp.97-110, 2014. DOI: https://dx.doi.org/10.1111/dom.12124 

  25. J. D. Ribeiro, X. Huang, K. R. Fox, J. C. Frankli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s risk factors for suicide ideation, attempts and death: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212, No.5, pp.279-286, 2018. DOI: https://dx.doi.org/10.1192/bjp.2018.27 

  26. M. H. Ahn, S. Park, H. B. Lee, C. M. Ramsey, R. Na, S. O. Kim, J. E. Kim, S. Yoon, J. P. Hong, "Suicide in cancer patients within the first year of diagnosis", Psychooncology, Vol.24, No.5, pp.601-607, 2015. DOI: https://dx.doi.org/10.1002/pon.3705 

  27. S. Sarkar, Y. P. Balhara, "Diabetes mellitus and suicide", Indian Journal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pp.468-474, 2014. DOI: https://dx.doi.org/10.4103/2230-8210.137487 

  28. A. Barracca, O. Ledda, B. Michittu, G. F. Pili, O. Manca, A. Pani, P. Altieri, "Acute renal failure after massive ingestion of gliclazide in a suicide attempt", Renal Failure, Vol.20, No.3, pp.533-537, 1998. DOI: https://dx.doi.org/10.3109/08860229809045142 

  29. N. G. Rao, R. G. Menezes, K. R. Nagesh, G. S. Kamath, "Suicide by combined insulin and glipizide overdose in a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hysician: a case report", Medicine, Science and the Law, Vol.46, No.3, pp.263-269, 2006. DOI: https://dx.doi.org/10.1258/rsmmsl.46.3.263 

  30. Y. U. Soyoral, H. Begenik, H. Emre, E. Aytemiz, M. Ozturk, R. Erkoc, "Dialysis therapy for lactic acidosis caused by metformin intoxication: presentation of two cases", Human & Experimental Toxicology, Vol.30, No.12, pp.1995-1997, 2011. DOI: https://dx.doi.org/10.1177/0960327111403177 

  31. M. A. von Mach, O. Sauer, L. Sacha Weilemann, "Experiences of a poison center with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Experimental and Clinical Endocrinology & Diabetes, Vol.112, No.4, pp.187-190, 2004. DOI: https://dx.doi.org/10.1055/s-2004-817931 

  32. C. T. Chang, Y. C. Chen, J. T. Fang, C. C. Huang,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IN SUICIDE: DON'T FORGET METFORMIN INTOXICATION-TWO PATIENTS' EXPERIENCES", Ren Fail, Vol.24, No.5, pp.671-675, 2002a. DOI: https://dx.doi.org/10.1081/JDI-120013973 

  33. C. T. Chang, Y. C. Chen, J. T. Fang, C. C. Huang,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case reports and literature review", J Nephrol, Vol.15, No.4, pp.398-402, 2002b. 

  34. P. W. Yang, K. H. Lin, S. H. Lo, L. M. Wang, H. D. Lin, "Successful treatment of severe lactic acidosis caused by a suicide attempt with a metformin overdose",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25, No.2, pp.93-97, 2009. DOI: https://dx.doi.org/10.1016/S1607-551X(09)70047-6 

  35. B. S. Kim, S. M. Chang, S. J. Seong, J. E. Park, S. Park, J. P. Hong, J. N. Bae, S. J. Cho, B. J. Hahm, D. W. Lee, J. I. Park, J. Y. Lee, H. J. Jeon, M. J. Cho, "Association of Overweight with the Prevalence of Lifetime Psychiatric Disorders and Suicidality: General Population-based Study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1, No.11, pp.1814-1821, 2016. DOI: https://dx.doi.org/10.3346/jkms.2016.31.11.1814 

  36. R. M. Puhl, K. D. Brownell, "Psychosocial origins of obesity stigma: toward changing a powerful and pervasive bias", Obesity Reviews, Vol.4, No.4, pp.213-227, 2003. DOI: https://dx.doi.org/10.1046/j.1467-789X.2003.00122.x 

  37. E. Y. Chen, M. Brown., "Obesity stigma in sexual relationships", Obesity Research, Vol.13, No.8, pp.1393-1397, 2012. DOI: https://dx.doi.org/10.1038/oby.2005.168 

  38. S. A. Lee, S. Y. Jang, J. Shin, Y. J. Ju, J. Y. Nam, E. C. Park, "The Association between Inappropriate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Suicide Ideation and Attempt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1, No.10, pp.1529-1537, 2016. DOI: https://dx.doi.org/10.3346/jkms.2016.31.10.152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