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구적 장루보유자와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unmet need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ermanent ostomates and temporary ostomat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374 - 383  

김진미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영구적 장루보유자와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비교하고, 어떤 미충족 요구가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장루보유자의 특성에 맞는 자가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직장 결장암이나 다른 진행성 암에 대한 치료적 혹은 고식적 목적으로 장루 형성술을 시행한 장루보유자 128명으로써, 일시적 장루보유자 64명, 영구적 장루보유자 64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2월 1일부터 4월 5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과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암환자 미충족 요구사정도구인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r(CNAT)를 수정 보완하였고, 장루보유자 삶의 질 측정도구는 The City of Hope Quality of Life(COH-QOL) ostomy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자가 보고 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가 영구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t=-2.284, P=.024).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가 더 많은 영역은 정보 및 교육 영역(t=-2.747, p=.007), 심리적 문제(t=-2.578, p=.011), 의료진 영역(t=-2.599, p=.010)이었다. 또한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은 영구적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보다 더 낮은 편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64, P=.0175).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시적 장루보유자들에게 적절한 정보와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일시적 장루보유자를 위한 퇴원 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unmet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permanent and temporary ostom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28 ostomates with colorectal cancer or other advanced cancer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completion of the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구적 혹은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장루보유자의 특성에 맞는 자가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루유형에 따른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루 보유자의 장루유형 즉 영구적 장루인지 일시적 장루인지에 따른 퇴원 후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비교해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일시적 장루보유자들이 미충족 요구가 영구적 장루보유자보다 높았고, 삶의 질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영구적 혹은 일시적 장루 형태에 따른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비교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비교 조사연구(cross-sectional descriptive comparative study)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적 장루보유자와 일시적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비교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루란? 장루는 대장암 등의 하부 소화기계 암, 비뇨기계 암, 사고 등으로 인해 배변 및 배뇨경로의 전환이 필요할 때 만드는 인공 누공이다[1]. 우리나라의 대장암 발생 건수는 220,653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3.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는 어느 부분에서 높은가? 미충족 요구를 조사하여 대상자의 요구 중에 이미 충족된 요구를 제외함으로써, 우선적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한정된 의료자원을 분배하는데 있어서 중요도와 시급성을 판단하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10]. 장루 유형을 구분하지 않은 일 연구에서 장루보유자의 미충족 요구는 치료지시 이행, 치료 기구 및 장비사용, 개별 상담의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6], 다른 연구에서는 정보 및 교육영역, 심리적 문제 영역, 의료진 영역에서 미충족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
장루보유자를 복원여부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장루보유자는 장루 유형에 따라 미충족 요구나 불편감이 상당히 달라질 수 있으므로[11] 장루 유형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여 적절한 맞춤형 자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복원 여부에 따라 장루의 유형을 분류하면 영구적 장루와 일시적 장루로 나눌 수 있다. 영구적 장루는 항문과 그 주위 구조물을 제거하는 복회음절제술과 하트만 수술 등을 시행한 후 평생 장루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것이고, 일시적 장루는 게실염, 크론병, 천공이나 복막염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 수술 후 장루를 가지고 있다가 3-7개월 후 장루 복원수술을 하여 이전처럼 항문으로 대변을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I. S. Zang, S. M, Park, "Ostomate ostomy management and welfare need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 Vol.22, pp.77-85, 2014.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on Korea in 2015. http://ncc.re.kr/cancerStatsList.ncc?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accessed. April, 24, 2018.) 

  3. Statistics Korea.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tatistical table: Numbe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istered.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cd2768, 2017. 

  4. J. W. Yeom, S. Shin, "Factors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among Older Adults with an Ostom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9, No.1, pp.39-47, 2017. DOI: https://dx.doi.org/10.17079/jkgn.2017.19.1.39 

  5. S. M. Park, K. S. Kim, "Model construction of sexual satisfaction on patents with a colos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 Vol.39, No.4 pp.539-548, 2009. 

  6. E. G. Oh, J. H. Sung, Y. S. Park, H. J. Lee, Y. K. Kim,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s of Unmet Care Needs after Discharge in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Colorectal Cancer, and Strok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2, No.2, pp.194-204, August 2016. 

  7. E. J. Lee, The effects of development of an ostomy self-care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 in patients on ostomy,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2007. 

  8. S. M. Von-Klaassen, H. M. de Vocht, E. M. den Ouden, E. H. Eddes, M. J. Schuurmans, "Ostomy-related problem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colorectal cancer ostomate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5, No.1, pp.125-133, 2016. DOI: https://dx.doi.org/10.1007/s11136-015-1050-3 

  9. E. H. Mo, Unmet needs of couples with colorectal cancer, symptom experience and activation of patients. Master thesis, Chung-An University school, 2017. 

  10. H. J. Kim, Relationship between unmet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in Kore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11. G. Hubbard, C. Taylor, B. Beeken, A. Campbell, J. Gracey, C. Grimmett, A. Fisher, G. Ozakinci, S. Slater, T. Gorely, "Research priorities about stoma-related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a stoma: A pilot survey", Health Expectations, Vol.20, No.6, pp.1421-1427, 2017. DOI: https://dx.doi.org/10.1111/hex.12585 

  12. Severance Ostomy-Urostomy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Principle and practice of stoma. Fornurse, 2016. 

  13. H. K. Kim, H. Kim, "Influences of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Revers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7, No.4 pp.306-314, 2015. DOI: https://dx.doi.org/10.7586/jkbns.2015.17.4.306 

  14. K. S. Hong, Psychological attitude to self-appraisal: Permanent versus Temporary stoma patients.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2. 

  15. E. H. Oh, S. J. Hong, M. H. Mo, M. Y. Woo, S. J. Kim, B. Y. Chung, "Distress of the patients with ostom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11, No.1, pp.9-19, 2011. DOI: https://dx.doi.org/10.5388/jkon.2011.11.1.9 

  16. M. S. Yoo, Being reborn as me with a gold pouch: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with ostom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17. J. H. Hwang,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ostomate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13. 

  18. S. Y. Nam, H. Lee, S. Kim, R. A. Lee,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and Sexual Life for the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Asian Oncology Nursing, Vol.18, No.1, pp.1-10, 2018. DOI: https://dx.doi.org/10.5388/aon.2018.18.1.1 

  19. S. M. Park, C. H. kim, H. K. Hur, G. Y. Kim, "A Descriptive Study on Development of an ALARM Sexual Counsel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Ostomy",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1, No.1, pp.46-56, 2007. 

  20. J. S. Park.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re of the elderly having colostomy. Hanyang University, 2012. 

  21. P. S. Lee,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aha Woman University. Vol.20, No.2 pp.37-49, 2008. 

  22. J. Y. Koo,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colorectal cancer patient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08. 

  23. H. M. Park, N. S. Ha, "Influencing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 with Colostom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2, No.2, pp.123-131, 2006. 

  24. Y. J. Lee,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06. 

  25. J. D. Harrison, J. M. Young, M. A. Price, P. N. Butow, M. J. Solomon, "What are the unmet supportive care needs of people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17, No.8, pp.1117-1128, 2009. DOI: https://dx.doi.org/10.1007/s00520-009-0615-5 

  26. D. W. Shin, J. H. Park, E. J. Shim, J. H. Park, J. Y. Choi, S. G. Kim, E. C. Park,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ncer-caregivers in patient-caregiver dyads", Psycho-Oncology, Vol.20, No.12, pp.1342-1352, 2011. DOI: https://dx.doi.org/10.1002/pon.1857 

  27. M. Grant, B. Ferrell, G. Dean, G. Uman, D. Chu, R. Krouse, "Revision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ity of Hope Quality of life-Ostomy Questionnaire", Quality of Life Research, Vol.13, No.8, pp.1445-1457, 2004. DOI: https://dx.doi.org/10.1023/B:QURE.0000040784.65830.9f 

  28. A. R. Jung, Anxiety, Depression, Physical symptom, and supportive care need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29. Y. H. Ham, Supportiv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Master thesis, Sengkyunkwan University, 2009. 

  30. J. H. Lee, Quality of life for the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reliability an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for the EORTC QLQ C-30 and gastric cancer module.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03. 

  31. J. M. Park, A study on lower tract symptoms, discomfort of life and quality of life in male patients with genitourinary cancer.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6. 

  32. P. Gervaz, P. Bucher, B. Konrad, P. Morel, S. Beyeler, L. Lataillade, A. Allal, "A prospective longitudinal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after abdominoperineal resectio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Vol.97, No.1, pp.14-19, 2008. DOI: https://dx.doi.org/10.1002/jso.20910 

  33. A. Tsunoda, Y Tsunoda, K. Narita, M. Watanabe, K. Nakao, M. Kusano, "Quality of life after lower anterior resection and temporary loop ileostomy", Diseases of the Colon & Rectum, Vol.51, No.2, pp.218-222, 2008. DOI: https://dx.doi.org/10.1007/s10350-007-91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