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 관절 가동술(Angular Joint Mobilization)이 어깨 유착성 관절주머니염 환자의 통증, 관절 가동 범위,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례 보고-
Effects of Angular Joint Mobilization on the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Case Report-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2, 2018년, pp.169 - 178  

이승후 (경남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과) ,  윤지현 (경남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과) ,  김영훈 ,  이규창 (경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gular joint mobilization (AJM) on the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Methods: The patient diagnosed with right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by an orthopedic surgeon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근법인 각 관절 가동술을 적용해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을 가진 환자의 어깨 통증, 관절 가동 범위,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관절 가동술 개념인 각 관절 가동술을 이용해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을 가진 환자의 어깨 통증, 관절 가동 범위,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중재의 목표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절 가동 범위를 증진시켜 기능을 향상시킨 다음 장기적으로 직장에서 일을 할 때 무리가 없고 이전 수준의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것이다. 초기 검사 후, 각 관절 가동술을 8주 동안 주1∼2회, 총 12회 실시하였고 각 관절 가동술을 굽힘, 벌림, 가쪽 돌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칼텐본이 제안한 관절 가동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관절면의 움직임 기전을 지렛대 법칙으로 단순하게 묘사하며(Kaltenborn, 2002) 구름과 글라이딩을 설명하였지만 인체의 다축관절인 어깨의 움직임을 충분히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다고 하였다(Baeyens et al., 2000). 또한, 위팔뼈의 회전과 위팔뼈머리 중심의 병진 움직임과 관련하여 오목위팔 관절(glenohumeral joint)의 수동 치료 기술을 재정의 할 것을 제안하였다(Baeyens et al., 2000; Schomacher, 2009). 칼텐본은 인체의 뼈 운동학(osteokinematic) 움직임 제한 시 관절 운동학(arthrokinematic) 관점에서 글라이딩의 움직임 제한으로 구름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고, 만약 글라이딩 없이 구름만 일어나면 운동 축이 비정상적 위치로 이동된다고 하였다(Kaltenborn,1980). 그리고 칼텐본 컨셉은 3차원 검사 기기인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으로 증명한 연구를 찾기 어렵다. 어깨 관절에 적용하는 칼텐본의 볼록 오목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고(Brandt et al., 2007), 이 개념(볼록 오목 규칙)은 관절 내 운동학 연구로 검증 된 적이 없기에(Baeyenset al., 2000) 볼록 오목 규칙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Schomacher, 2009). 또한 뼈 운동학의 굽힘, 폄, 벌림 등의 회전적 움직임(rotational motion) 제한을 구름과 글라이딩의 관절 운동학으로만 접근하는 것부터 다시 생각 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구름과 글라이딩 컨셉을 대처할 관절 운동학적 회전을 제안 하였고, 관절 운동학적 회전은 관절의 오목면의 한 점이 움직일 때 관절의 부합성에 관계없이 볼록면의 여러 점과 만난다고 정의 하였다(Kim & Lee, 2017).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은 임상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어깨 질환 중 하나이며(Do et al., 2015), 이 질환의 주된 특징은 어깨의 통증과 제한된 관절 가동 범위 또는 뻣뻣함이다(Do et al., 2015; Paul et al.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의 관절 가동 범위 제한은 어떤 순으로 심해지는가? , 2014)).관절 가동 범위 제한은 가쪽 돌림(external rotation)이 가장 심하며, 다음으로 벌림(abduction)과 안쪽 돌림(internal rotation) 순으로 제한이 심해진다(Brumitt &Jobst,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yens JP, Van Roy P, Clarys JP. Intra-articular kinematics of the normal glenohumeral joint in the late preparatory phase of throwing: Kaltenborn's rule revisited. Ergonomics. 2000;43(10):1726-1737. 

  2. Brandt C, Sole G, Krause MW, et al. An evidence-based review on the validity of the Kaltenborn rule as applied to the glenohumeral joint. Manual therapy. 2007; 12(1):3-11. 

  3. Brumitt J, Jobst EE. Physical therapy case files: orthopaedics.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Medical. 2013. 

  4. Buchbinder R, Youd JM, Green S, et al. Efficacy and cost­effectiveness of physiotherapy following glenohumeral joint distension for adhesive capsulitis: a randomized trial. Arthritis Care & Research. 2007;57(6):1027-1037. 

  5. Chen SK, Simonian PT, Wickiewicz TL, et al. Radiographic evaluation of glenohumeral kinematics: a muscle fatigue model.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999;8(1):49-52. 

  6. Do Moon G, Lim JY, Da YK, et al. Comparison of Maitland and Kaltenborn mobiliz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shoulder pain and range of motion in frozen shoulder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5): 1391-1395. 

  7. Donatelli R. Orthopedic physical therapy.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 1989. 

  8. Doner G, Guven Z, Atalay A, et al. Evaluation of Mulligan's technique for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3;45(1):87-91. 

  9. Dundar U, Toktas H, Cakir T, et al. Continuous passive motion provides good pain control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09;32(3):193-198. 

  10. Fahndrich E, Linden 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uthor's transl). Pharmacopsychiatria. 1982;15(3):90-94. 

  11. Farrell JP, Jensen GM. Manual therapy: a critical assessment of role in the profession of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1992;72:843-852. 

  12. Graichen H, Hinterwimmer S, von Eisenhart-Rothe R, et al. Effect of abducting and adducting muscle acitivity on glenohumeral translation, scapular kinematics and subacromial space width in vivo. Journal of biomechanics. 2005;38(4):755-760. 

  13. Hing W, Bigelow R, Bremner T.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2009;17(2):39E-66E. 

  14. Johnson AJ, Godges JJ, Zimmerman GJ, et al. The effect of anterior versus posterior glide joint mobilization on ex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7;37(3):88-99. 

  15. Johnston ER, Cornwell PJ. Vector mechanics for engineers: dynamics. New York. McGraw-Hill. 2013. 

  16. Kaltenborn FM. Manual therapy for the extremity joints. Oslo. Olaf Norlis Bokhandel. 1980. 

  17. Kaltenborn FM. Manual mobilization of the joints. In: the extremities. Oslo Norlis. 2002. 

  18. Kaltenborn FM, Evjenth O. Manual mobilization of the extremity joints. Basic examination and treatment techniques (I), 4th ed. Oslo. Olaf Norlin Bokhandel. 1989. 

  19. Kim Y, Lee G. Immediate effects of angular joint mobilization (a new concept of joint mobilization) on pain, range of motion, and disability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case report. The American journal of case reports. 2017;10(18):148. 

  20. Kumar A, Kumar S, Aggarwal A, et al. Effectiveness of Maitland techniques in idiopathic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ISRN Rehabilitation. 2012;2012:8. 

  21. Lee SH, Kim Y, Lee DG, et al. Osteokinematic analysis during shoulder abduction using the C-arm.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2017;6(4):208-213. 

  22. Levangie P, Norkin C.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5th ed. Philadelphia Pennsyvania, FA Davis Company. 2011. 

  23. Levy O, Rath E, Atar D. Combined treatment for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Harefuah. 1997;133(9): 357-359. 

  24. MacConaill MA. Movement of bones and joints: 5. The significance of shap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1953;35(2):290-297. 

  25. Mangus BC, Hoffman LA, Hoffman MA, et al. Basic principles of extremity joint mobilization using a Kaltenborn approach.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002; 11(4):235-250. 

  26. Matsuki K, Matsuki KO, Yamaguchi S, et al. Dynamic in vivo glenohumeral kinematics during scapular plane abduction in healthy shoulder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12;42(2):96-104. 

  27. Novotny JE, Nichols CE, Beynnon BD. Normal kinematics of the unconstrained glenohumeral joint under coupled moment loads.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998;7(6):629-639. 

  28. Paul A, Rajkumar JS, Peter S, et al. Effectiveness of sustained stretching of the inferior capsule in the management of a frozen shoulder.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R). 2014;472(7):2262-2268. 

  29. Riddle DL,, Rothstein JM, Lamb RL. Goniometric reliability in a clinical setting: shoulder measurements. Physical therapy. 1987;67(5):668-673. 

  30. Roh YH, Noh JH, Kim W, et al.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xford shoulder score.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 2012;132(1):93-99. 

  31. Roubal PJ, Dobritt D, Placzek JD. Glenohumeral gliding manipulation following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1996;24(2):66-77. 

  32. Schomacher J. The convex-concave rule and the lever law. Manual therapy. 2009;14(5):579-582. 

  33. Soslowsky LJ, Flatow EL, Bigliani LU, et al. Quantitation of in situ contact areas at the glenohumeral joint: a biomechanical study. Journal of Orthopedic Research. 1992;10(4):524-534. 

  34. Yang JL, Chang CW, Chen SY, et al. Mobilization techniques in subjects with frozen shoulder syndrome: randomized multiple-treatment trial. Physical therapy. 2007;87(10):1307-13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