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오별업(嘉梧別業)의 복원 설계를 위한 공간구성 및 정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Formation and Garden Characteristics of Garden Remains, Gao-Byeoleop for Restoration Design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3, 2018년, pp.58 - 74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김순기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 말기 대표적 정치인이며 경세가, 그리고 다인이었던 귤산 이유원의 은거 유적인 남양주 천마산 기슭에 위치한 가오별업의 공간구성과 정원 특성을 고구함으로서 향유 별서원림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문헌고찰과 시문 분석 그리고 현장조사와 주민인터뷰를 결과를 종합해 얻은 가오별업의 정원 모습은 다음과 같다. 종남산을 상징하는 '귤산'이라 자호한 이유원은 왕유의 망천별업과 서계 박세당의 은거 및 별서 경영을 동경하고 이를 스스로 실현하기 위해 선영이 있는 양주 가오곡에 별업을 조성하였다. 천마산 아래 가오곡을 중심으로 조성한 가오별업은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구성되며 별업공간의 영역은 '가오복지' 바위글씨 표식으로부터 시작된다. 가오별업의 내원은 사시향관, 오백간정, 임하려, 퇴사담 등의 건물과 행랑채 주변의 채원과 후원의 과원을 주요 정원구성요소로 하였으며 내원으로부터 약 850m 떨어진 상부에 조성된 영귀정은 별업 속에 또 다른 별서로서의 이중적 공간구성을 보인다. 가오별업의 내원은 장서각이자 고동서화의 보관소로서 사랑채 역할을 한 사시향관과 익랑 형태로 연결된 작은 사랑채 오백간정이 있었으며 주변에는 유상곡수거가 시설되었다. 또한 서재이자 벽려원(??園)이라 편액한 임하려는 별업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한 서옥이자다실이었다. 방지원도형의 연당 퇴사담에 도입된 태호석 이외에도 가오별업에는 여러 기의 태호석이 도입되었으며 내원에는 다양하고 희귀한 정원 식물들이 식재되었는데 이는 이 시기 원예취미 사조 및 이유원의 재력과 고동서화 수집과도 무관하지 않다. 한편 별업에서 만회암으로 이르는 가오천계곡에 세운 영귀정 일원은 이유원 시기 이후 옥산 또는 우암이란 호를 가졌던 또 다른 인사가 향유했던 명소 '우암폭'이었던 곳으로 보인다. 이유원은 우암폭을 제삼폭으로 규정하고 '귤산'이라 새김으로서 이곳이 자신의 별업 영역임을 알렸으며 이곳에 영귀정을 세우고 주변에는 다수의 복사나무를 심어 도화경을 재현하였다. 영귀정 상부에는 만회정에 이르는 교량 앞에 새겨진 벽파동천 바위글씨는 가오복지 속에 형성된 또 다른 선계로 가름된다. 이유원은 그가 중창에 큰 역할을 한 사찰 만회암 후면 계곡의 거대한 바위에는 제일산이라 바위글씨를 새겨 이곳이 가오별업 외원의 종국임을 알렸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연구에 의해 가오곡 일대의 별업 흔적을 추정한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현장 유적에 의해 추정된 결과이다. 제일산과 제삼폭 사이의 제2의 경물이나 바위글씨를 확인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시굴조사 등을 통해 가오별업의 정확한 배치특성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가오별업 복원을 위한 남양주시의 관심과 역할이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pose baseline data for designing restoration of Gaobyulup, researching spac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rdens of Gaobyulup, which located in the foot of Cheonmasan Mountain in Namyangju. Gaobyulup is a remain in retirement of Gyulsan Yu-Won Lee, a representative polit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훼손에도 불구하고 가오별업의 정원적 면모를 살피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의 정원적 면모를 살피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다. 주민들의 전언에 따르면 약 40년 전만 하더라도 몇 채의 가옥과 지당, 그리고 돌다리 등이 남아있었다고 하며 지금도 그 위치를 증언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고종 초에 좌의정과 영의정을 지낸 조영자의 경력과 그가 이곳 별업 임려하에서 저술한 이 『임하필기(林下筆記)』와 『가오고략(嘉梧藁略)』 등에는 가오별업의 정원요소의 내용이 매우 상세히 묘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오실 일대에 전하는 바위글씨 등도 그의 원림경영과 향유의 기록을 대변하고 있다. 더하여 귤산 이유원은 조선 말기 대표적인 다인(茶人)으로 가오별업을 다옥으로 전제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연구논문은 가오별업 정원 분야 연구의 필요성과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온전히 보전된 별업 정원 유적이 희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단지 이름만 문헌에 전하거나 바위글씨 등으로 구거지가 전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별서 또는 별업은 전장(田莊)의 소유권이 바뀌거나 관리주체의 소홀과 부재가 있을 경우, 그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온전히 전하는 별업 정원 유적은 그 자체가 희소하다. 조선조 선비의 은거를 통해 구축된 별서 및 산수경관은 한국전통정원의 진수(眞髓)이자 정원조성의 철학과 의미가 농축된 문화유산이다.
별서란 무엇인가? 특히 관리되지 못하고 전국에 산재된 별서원림 유적의 조사는 매우 긴요하다. 별서는 본제(本第)와는 구분되는 일정한 장소에 마련된 건물을 의미하는 용어로 조선시대에는 주거지에서 벗어난 별장형의 가옥을 별서(別墅), 별저(別邸), 별업(別業), 별제(別第) 등으로 불렀으며 이들 공간은 주인의 식견에 따라 그 규모와 형식 그리고 공간의 용도 또한 변화해 왔다. 별서 또는 별업은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하기 어려우며, 특히 당대 이덕유(李德裕, 787~849)의 ‘평천장(平泉莊)’이나 왕유(王維,699~759)의 종남산 ‘망천별업(輞川別業)’의 영향 또한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Daniel(2011). Linguistic & Literature: A Study on the Expression and Imagery of Gardening Villas in Tang Dynasty Poetry. Chinese Studies 51(-): 47-66. 

  2. Kim et al.,(2007). Ideal World and Management at Park Se-dang(朴 世堂)'s Suckchundong(石泉洞). Journal of Korean Tradit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1-12. 

  3. Yoo, Y. H.(2007). A Study on Gyulsan Lee Yu-Won: With a Focus on His Tastes in Culture and Arts.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Ewha Womeans University. 

  4. Yoo, Y. H.(2009).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of Study on the Kaogoryak. Korean for Cultural Studies, 17(-): 297-307. 

  5. Yoo, Y. H.(2008). The Lifetime and Companionship of Yi, Yuwon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42(-). Thaehaksa Pajoo: 66-82. 

  6. Lee, Yun Gyeong(2012). A Study on the Tea-related activity by Gyulsan Lee Yu-won: Focused on 'Limhapilgi' and 'Kaogoryak'. Major in Propriety and Tea Culture Dept. of Cultural Industry Graduate School of Cultural Industry Sungshin Women's University. Recite. 

  7. http://db.itkc.or.kr 

  8. http://people.aks.ac.kr 

  9. Yimhaphigi(林下筆記) 

  10. Kaogoryak(嘉梧藁略) 

  11. Park, E. S.(2005). Seeking for the Spirit of an Ancestor. The Art History Journal 24(-): 163. 

  12. Seogyejib(西溪集) 

  13. Yoon, K, B.(1982). A Study on the Garden Terms in Goryeo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Tradit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28-40. 

  14. Kim, Y. B., Ahn, G. B.(1985). A Study on Byulseo (I): Concept and Meaning of Byulseo through Reference Review. Research Journal 30(1): 685-706. 

  15. Yoon, Y. H.(1986). Gardens in Goryo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onal Landscape Architecture 5(1): 53-65. 

  16. Yoo, B. R., Hwang, K. W. and Park. J. H.(1989), A Study on the Prototype of Joseon Garde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Min, K. H.(1991). Korea Garden Culture, Seoul: Yekyong Publishing. 

  18. Kim, Y. K. and Lee, J. G.(1992) A Study on the Local Characterisics of the Arbour Grove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with Priority Given to the "Byeol Seo" Garden in the Young, Honam Districts, The Journal of Korean Traditonal Landscape Architecture 10(1): 15-32. 

  19. Kim, S. J., Kim, T. S. and Sim, W. K.(2007). Ideal World and Management at Park Se-dang(朴世堂)'s Suckchundong(石泉洞). J.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1-12. 

  20. Kim, T. S.(2009). Ideal World and Nature Management at Hemits of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of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1. Seo, D. I. and Lee, J. G. (2011). A Basic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Gang-jin Nongsanbyeoleop, The Journal of Korean Tradit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64-71. 

  22. Yoo, Ka-Hyun(2012). A Study on the 'Dong' as Scholer's Landscape Garden in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of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Lim, H. S.(2016). A study on Mu-Gi-Yeon-Dang in Chirwon: History of Family and Construction of Garden.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4. Kim, Y. B.(2009). A Study on Lee Youwon's Aesthetic Consciousness about Calligraphies and Paintings: Focusing on Linxiabiji.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5. Lee, Y. K.(2015). Artistic Taste of Gyulsan Yuwon Lee(1814-1888) for Collecting Classical Works and His View of Painting: With a Focus on Yimhaphigi(林下筆記).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Duksung Womean's University. 

  26. Jung, E. H.(2006). A Study on the 19th Century Tea Culture in the Literary Collections of Lee, Yu-won: Focusing on Yimhaphigi and Linxiabiji. The Journal of Tea Culture & Industry Studies) 2(2): 200-223. 

  27. Jung, Min(2011). New Writing Tea Culture of Chosun. Pajoo: Gmmyoungsa 

  28. Lee, Yeun-Kyung(2012). Study on the Tea-related Activity by Gyulsan Lee Yu-won: Focused on 'Limhapilgi' and 'Kaogoryak' .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an's University 

  29. Lee, S. W.(2001), Beyond the Poetry of Aporia Beyond the Poetry of Aporia. Seoul: Irum publisher 

  30. GyulsanMoongo(橘山文稿) 

  31. Lee, M. H.(1999). Theory of Gyulsan(橘山) Lee, Yu-won(李裕元).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24(-): 327-360. 

  32. http://www.nyj.or.kr 

  33. http://news.khan.co.kr 

  34. http://cafe.daum.net/ilsokwon 

  35. Bonchogangmog(本草綱目) 

  36. Yoon, J. I., Im, B. K. and Min, K. J.(2008). History Travel to the Namyangju 1. Dasan Culture Series 6. Paju : Kyungin Publishing 

  37. http://www.daljin.com 

  38. Compilation Committee of Namyangju City Magazine(2000). Namyangju City Magazine 2: Cultural Properties and People. 

  39. http://map.daum.net 

  40. https://www.nyj.go.k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