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재식 행단(杏壇)의 원형과 세종리 은행나무의 천연기념물적 가치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Planting Prototype of Haengdan(杏壇) and Natural Monumental Value of Ginkgo Tree in Sejong-ri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36 - 44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최병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재식의 하나인 행단의 원형과 천연기념물 식물의 가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은행나무의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행나무는 높은 환경 적응력과 실용성, 관상용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유교 및 불교사상과 관련이 깊은 다수의 수목들이 그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은행나무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살펴본 결과, 은행나무는 공자의 유교사상을 상징함으로써 행단, 행정의 장소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불교에서는 사찰의 창건이나 고승의 업적, 민간에서는 자손의 번영과 가풍의 계승을 염원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행단은 1024년 공자의 손자인 공도보가 사당 개축 가운데 단을 설치하고 은행나무를 식재하고 "행단"이라 명명한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명대 왕재진의 행단시(杏壇詩)에 행단의 수목을 홍행(紅杏)으로 기록하여 살구나무로 변용하였으나 이는 은행나무와 한자의 독음이 같은 이유에서 온 오류와 도교사상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으나 한국은 최초의 은행나무를 사용한 행단을 고수해왔다. 넷째, 생물학적으로 세종리 은행나무는 암수 한 쌍의 구성이 특징적이며, 경관적으로도 용트림 형상의 수나무와 수직형태의 암나무가 대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에서 고려시대 충신 임난수 장군과 은행나무의 관련성이 여러 문헌에서 확인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lanting Prototype of Haengdan(杏壇)is the One of the traditional planting techniques and the value of natural monument plant and derived the value of the ginkgo tree in Sejong-ri as a natural monu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nkgo trees have high environmental ad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전통수목 식재와 관련하여 그동안 논란이 제기되어 온 행단의 유래와 그 재식원형을 명확히 규명하고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고려충신 임난수 장군의 숭모각 앞에 위치한 암수 은행나무 한 쌍을 사례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생물학적·역사적·경관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유산적 진정성과 완전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행단의 전통조경 재식의 특성과 세종리 은행나무 노거수의 가치를 규명하여 천연기념물 지정을 위한 제반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통수목 식재와 관련하여 그동안 논란이 제기되어 온 행단의 유래와 그 재식원형을 명확히 규명하고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고려충신 임난수 장군의 숭모각 앞에 위치한 암수 은행나무 한 쌍을 사례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생물학적·역사적·경관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유산적 진정성과 완전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행단의 전통조경 재식의 특성과 세종리 은행나무 노거수의 가치를 규명하여 천연기념물 지정을 위한 제반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New Types and Revision of the Designation Criteria of Natural Monument Plant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 Jung, G., Seo, J. Y. and Lee, J. G.(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Growth of Ginkgo and Pine Trees for Environmental Circumstance Improvement for Old Big Tre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1): 57-65. 

  3. Kim, S. H. and Kim, S. H.(1995). A study on the protection trees concern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citizen's consciousness in Pusan. Research Report. 18(1): 121-140. 

  4. Na, M. H.(2010).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Doctorial Thesis of Sangmyung University. 

  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9). Improving the Designation System of Natural Monuments (Plants) and Discovering Excellent Resourc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08). A Study on the Designation Criteria of Natural Monuments and Municipal Monuments by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 of Old Tre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7.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Author) Forest for Life (Translate)(2007). Forest in Joseon. Seoul; Geobook. 

  8. 孔府?案, 嘉靖十三年(公元1534年) / 曲阜縣志. 淸代(乾隆) 

  9. 王在晋(明朝). 杏壇詩:松柏鬱交翠, 紅杏倚孤亭 

  10. 司馬相如(BC179-BC118). 上林賦. 西漢 

  11. 李延壽(659).南史.券79 

  12. Cran, P. P.(2019). An evolutionary and cultural biography of ginkgo. Plants People Planet. 1(-): 32-37. 

  13. Cran, P. P.(2013). Ginkgo: The Tree That Time Forgot. Yale University Press. 

  14. Chungnam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reau(2001). Application for designation of Ginkgo Tree in Nammyeon, Yeongi-gun for Provincial Cultural Herit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