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considering hydrological chang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5 no.3, 2018년, pp.521 - 532  

Kim, Deasik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An, Hyunuk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Jang, Minw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Engineering, Gyeogsang National University) ,  Kim, Seongjoo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decades, the dry stream phenomena of small and medium sized rivers have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o prevent dry stream phenomena,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manages river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rogress of dry stream phenom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건천화 해결을 위한 정책과 사업의 추진 시에 합리적 의사결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도구로서 유역 수문변화를 고려한 장단기 분포형 수문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이용변화, 지하수 양수, 하천정비 등을 모두 반영하여 유역을 물수지 및 건천화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건천화 연구의 기초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역수문변화를 고려한 분포형 수문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기존의 모형들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시초로 지표수흐름, 지표하흐름, 지하수흐름을 물리적으로 고려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지표수 수심, 토양수분량, 지하수 수위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하지만 전술하였듯이 중소하천의 자료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하천건천화의 원인은 복합적으로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 지하수 개발, 하천정비 등의 영향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건천화 해결을 위한 정책과 사업의 추진 시에 합리적 의사결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도구로서 유역 수문변화를 고려한 장단기 분포형 수문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이용변화, 지하수 양수, 하천정비 등을 모두 반영하여 유역을 물수지 및 건천화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상기에 서술한 연구들은 과거에 관측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건천화의 진행을 파악하고자 하거나, 지하수 양수의 영향만을 고려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건천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전술하였듯이 중소하천의 자료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하천건천화의 원인은 복합적으로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 지하수 개발, 하천정비 등의 영향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는 지표하 토양수분층 깊이(m)이다. 단, Hs가 Ds보다 작을 때는 지표하 흐름층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로 지표하 흐름률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지표하 흐름률을 0으로 산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kan AO. 1993. Urban stormwater hydrology: A guide to engineering calculations. Technomic Publishing Co., Inc., Lancaster, PA, USA. 

  2. Carsel RF, Parrish RS. 1988.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24:755-769. 

  3. Huggins LF, Monke EJ. 1968. A mathematical model for simulating the hydrotogic response of a watershed. Water Resources Research 4:529-539. 

  4. Jun S, Park J, Park C. 2012. Application of technique for evaluating streamflow depletion in the urbanized small and midium watershed: Gyeongancheon, Wangsukcheon.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8:67-81. 

  5. Jung K, Cho H, Kim J, Shim M. 2003. Analysis of drying streams characteristics using a G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1083-1095. [in Korean] 

  6. Jung C, Kim S. 2018. Dry stream phenomenon monitoring research using UAV stream monitoring an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Rural resource 59:60-69. [in Korean] 

  7. Lee J, Kim N, Chung I. 2013. Assessment of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from a we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079-1088. [in Korean] 

  8. Lee K, Chung E, Shin M. 2006. Effects of changes of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on total flow during dry peri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923-934. [in Korean] 

  9. Lee H, Koo M, Lim J, Yoo B, Kim Y. 2016. Impacts of seasonal pumping on stream depletio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20:61-71. [in Korean] 

  10. McCuen RH. 1998. Hydrologic analysis and design 2nd ed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1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 Technology of sustainable surface water Development. [in Korean] 

  12. Kim D. 1995. Development of GIS application model for spatial simulation of surface drainage from a small watershe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in Korean] 

  13. Kim D, Chung H. 1995. GIS application model for spatial simulation of surface runoff from a small watershed(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ell water balance model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7:23-33. [in Korean] 

  14. Kim G, Son Y, Lee S, Jeong A, Cha E, Ko M. 2012a. Understanding of surface water-groundwater connectivity in an alluvial plain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207-221. 

  15. Kim N, Lee J, Chung I, Kim C. 2012b. Change of groundwater-streamflow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abstraction in a greenhouse la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051-1067. [in Korean] 

  16. Kim S, Kim G, Jung C. 2017. Cause tracking and impact assessment technology of dry stream phenomenon. Rural resource 50:8-14. [in Korean] 

  17. Kim T, Kim Y, Ha G, Kim K, Koh D, Yang I, Hong S. 2004, Study on the induced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due to the tunnel construc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4:81-91. [in Korean] 

  18. Park J, Cho Y. 2018, Establishing indicators and stream depletion potential index (SDPI) for stream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285-29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