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 공동체 거점공간으로 활용되는 커뮤니티 센터 및 이용현황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Research on Community Centers Used as Hub Spaces of Communities and Their Utilization Status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in Daegu -

大韓建築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計劃系, v.34 no.9 = no.359, 2018년, pp.31 - 42  

이현진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  김영화 (경북대학교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이상홍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apid progress of urbanization today, communities among members of society have collapsed. For dealing with the collapse of communities, special laws regarding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were enforced and each local government founded community centers to revitalize urban...

주제어

참고문헌 (14)

  1. Kim, S. M. (2016). Resident' Autonmy and Collaborative Community-Building :From a perspective of Collaborative Community, Governance, Journal of public society, 22(1), 181-209. 

  2. Kang, S. J., Lee, B. B., Kim, J. Y., & Lee, J. S. (2014). A Typological Approach to the Community Manage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2), 109-120 

  3. Shin, H. K., & Jo, I. S. (2012).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al Systems of Community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ation,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2), 47-57. 

  4. Ju, S. R., Park, Y. S., Park, K. O., & Zchang, S. S. (2002). Space Programing of Community Center in Multi-Fanily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3) 33-43 

  5. Shin, B. H. (2007).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Community Complex Facilities. 

  6. Mun. S. K. (2015). Exploring neighborhood facilities as local community anchor spaces. -A case study of Sungdaegol Village in Sando-dong, Seoul-. 

  7. Hwang, Y. S., Byun, H. R., Lee, S. H., & Eo, S. S. (2010). A Case Study of Layout Plan and Use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99-109 

  8. Lim, H. J. (2013). A study on Community Design for Community Activation-A Study on the Map-gu, Community Project in Seoul. 

  9. Lee, W. H., & Kang, S. J.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nse of Community for Apartment and Non-apartment Residents. 27(2) 329-334 

  10. Yeo, K. H. (2013). A study on the Growth of Community through Maeul-mandeulgi-Focused on the Jangsu Village, Deonbuk-gu,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1) 53-87 

  11. Park, B. C. (2012). Reginal development and local communities-Focusing on the madel and basic policy direction for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2) 1-26 

  12. Jo, S. K. (1996). Urban Housing. Dong Meong Sa, 53-87 

  13. http://kosis.kr/index/index.do 

  14. http://www.daegu.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