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생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solidipes and A. gallic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6 no.3, 2018년, pp.255 - 269  

김진건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이화용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박용우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이희수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solidipes)과 곤봉뽕나무버섯(Armillaria gallica)의 형태적 특성, 자실체 발생지의 환경특성, 목재분해효소를 알아보았다. 잣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07~1,396 m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등 8종에서 발생하였고, 곤봉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19~556m에서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 3종에서 발생하여 잣뽕나무버섯이 곤봉뽕나무버섯보다 분포와 기주의 범위가 넓었다. 형태는 잣뽕나무버섯의 자실체는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나, 곤봉뽕나무버섯은 대에 황색 털이 있고, 기부모양이 곤봉형이었다. 목재분해효소 cellulase의 활성은 두 종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laccase의 활성은 잣뽕나무버섯($12.94{\pm}0.4U/mL$)이 곤봉뽕나무버섯($9.14{\pm}0.3U/mL$)보다 높았다. 따라서, 잣뽕나무버섯은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며, 곤봉뽕나무버섯과 구분하여 다양한 고도에서 넓은 기주범위를 보이고, 수목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millaria is a white-rot fungus that decomposes organics; it is also a root pathogen that kills trees. Recently, since the forest tending practice, the incidence of Armillaria infections on tree stumps has been increasing. Herein, we have examine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Armillaria solidipe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형태적 특성, 자실체 발생지의 환경특성, 목재분해효소 특성의 차이를 알고자 하였다.
  • 국내 자생하는 잣뽕나무버섯은 주로 잣나무와 참나무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9], 일부 지역에서는 잣나무림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5]. 본 연구에서는 잣뽕나무버섯이 산림 내에서 우점하고 있는 교목층에 대해 넓은 기주범위를 보였는데, 이는 산림에서 수관 면적이 넓은 교목층을 죽게 하여 빛과 물이 하층식생에 들어와서 자연천이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해발고도에 관계없이 저지대부터 고지대까지 발생하였는데, 잣뽕나무버섯의 최적 발생환경은 춥고 건조한 지역[16], 생장환경의 최적 해발고도는 1,000~1,600 m이다[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은 공통적으로 주로 어떤 장소에서 발생하는가?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발생 시기는 9월 중순부터 10월 초였다. 이들 버섯의 장소는 주로 계곡 주변의 습윤한 지역이었으며, 공통적으로 고사목 주변이나 수세가 약한 나무, 그루터기, 토양에서 발생하였다.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형태적 특성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두 종간의 형태적 특징 차이는 갓색, 직경, 주름살, 대의 털색과 기부 형태였다. 잣뽕나무버섯의 갓 색은 대부분 적갈색인 반면에, 곤봉뽕나무버섯은 황갈색이었고, 잣뽕나무버섯이 곤봉뽕나무버섯보다 갓 직경이 넓고 주름살은 촘촘했다. 대의 털색은 잣뽕나무버섯은 갈색~검은색인 반면에, 곤봉뽕나무버섯은 황색이었고 대의 기부가 곤봉형이었다.
잣뽕나무버섯은 어떤 나무를 기주식물로 하는가? 잣뽕나무버섯(A. solidipes)은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 굴참나무, 밤나무, 신갈나무, 개옻나무, 물박달나무, 상수리나무 등을 기주식물로 하여 사면, 능선, 산정 등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생 해발고도 107~1,396m로 조사되었다. 잣뽕나무버섯이 발생한 지역의 교목층은 잣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밤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은 밤나무, 개옻나무, 졸참나무, 잣나무, 전나무, 벚나무를 비롯하여 신갈나무, 낙엽송, 물푸레나무, 진달래 등이 분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oo CD, Kim JG, Lee HY, Park YW, Lee HS. Significance of Armillaria species in taxonomy, forest ecology and plant pathology. Kor J Mycol 2017;45:1-13. 

  2. Termorshuizen AJ. Ecology and epidemiology of Armillaria. In: Fox RT, editor. Armillaria root rot: biology and conrol of honey fungus. Andover: Intercept; 2000. p. 45-63. 

  3. Volk TJ, Burdsall HH Jr. A nomenclatural study of Armillaria and Armillariella species. Oslo: Fungiflora; 1995. 

  4. Seok SJ,Lim YW, Kim CM, Ka KH, Lee JS, Han SK, Kim SO, Hur JS, Hyun IH, Hong SG, et al. List of mushrooms in Korea. Seoul: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2013. 

  5. Koch RA, Wilson AW, Sene O, Henkel TW, Aime MC. Resolved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root pathogen Armillaria and its gasteroid relative, Guyanagaster. BMC Evol Biol 2017;17:33. 

  6. Yoo YB. Mushroom science. Seoul: Kyohaksa; 2015. 

  7. Strapac I, Baranova M, Smrcova M, Bedlovicova Z. Antioxidant activity of honey mushrooms (Armillaria mellea). Folia Vet 2016;60:37-41. 

  8. Korea Society of Forest Policy. A study on the statue and improvement of forest management for the professional forestry person.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2016. 

  9. Sung JM, Yang KJ, Lee HK, Harrigton TC. Studies on Korean species of Armillaria. Korean J Plant Pathol 1994;10:261-9. 

  10. Burdsall HH Jr, Volk TJ. Armillaria solidipes , an older name for the fungus called Armillaria ostoyae. N Am Fungi 2008;3:261-7. 

  11. Yoo YB, Oh JA, Oh YL, Moon J, Shin PG, Jang KY, Kong WS. Investigation on ecological habitats in Armillaria gallica mushrooms. J Mushroom Sci Prod 2013;11:36-40. 

  12. Shaw CG Jr, Kile GA. Armillaria root disease: agricultural handbook no. 691.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1991. 

  13. Ghose T. Measurement of cellulase activities. Pure Appl Chem 2009;59:257-68. 

  14. Haileka VL. Screening,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case enzymes from Namibian Termitomyces Schimperi and Kalaharituber Pfeilii [dissertation]. Windhoek: University of Namibia; 2015. 

  15. Ji K. Development of Armillaria root rot in Korean pine forests and mycological characterisics of Armillaria ostoyae [dissertation].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16. Bendel M, Kienast F, Rigling D.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three Armillaria species at the landscape scale: a case study from Swiss Pinus mugo forests. Mycol Res 2006;110:705-12. 

  17. Keca N, Solheim H. Hosts and distribution of Armillaria species in Serbia. In: Proceedings from the SNS meeting in Forest Pathology; 2005 Aug 28-31; Biri, Norway: Skogbrukets Kursinstitutt; 2006. p. 28-31. 

  18. Guillaumin JJ, Mohammed C, Anselmi N, Courtecuisse R, Gregory SC, Holdenrieder O, Intini M, Lung B, Marxmuller H, Morrison D.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ecology of the Armillaria species in Western Europe. Eur J Forest Pathol 1993;23:321-41. 

  19. Tomsovsky M, Antonin V, Sedlak P, Jankovsky L. Species delimitation of Armillaria cepistipes and A. gallica in Central Europe. In: XIII Conference Root and Butt Rot of Forest Trees IUFRO working party 7.02.01; 2011 Sep 4-10; Firenze, Italy; Firenze University Press; 2013. p. 71-3. 

  20. Redfern D. Growth and behaviour of Armillaria mellea rhizomorphs in soil. Trans Br Mycol Soc 1973;61:569-81, IN16. 

  21. Morrison DJ. Vertical distribution of Armillaria mellea rhizomorphs in soil. Trans Br Mycol Soc 1976;66:393-9. 

  22. Uhm YG.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bark. Korea Wood Newspaper. 2013 Aug 6. 

  23. Yafetto L. Biomechanics of rhizomorph development in Armillaria mellea [dissertation]. Oxford, OH: Miami University; 2008. 

  24. Bisaria VS, Ghose TK. Biodegradation of cellulosic materials: substrates, microorganisms, enzymes and products. Enzyme Microb Technol 1981;3:90-104. 

  25. Canevascini G, Coudray MR, Rey JP, Southgate RJ, Meier H. Induction and catabolite repression of cellulase synthesis in the thermophilic fungus Sporotrichum thermophile. J Gen Microbiol 1979;110:291-303. 

  26. Deacon JW. Fungal biology. 4th ed. Oxford: Blackwell; 2006. 

  27. Kawai S, Okoshi H, Ozaki K, Shikata S, Ara K, Ito S. Neutrophilic bacillus strain, KSM-522, that produces an alkaline carboxymethyl cellulase. Agric Biol Chem 1988;52:1425-31. 

  28. Baumgartner K, Coetzee MP, Hoffmeister D. Secrets of the subterranean pathosystem of Armillaria. Mol Plant Pathol 2011;12:515-34. 

  29. Smith-White JL, Summerell BA. Armillaria root rot. Microbiol Aust 2003;24:31-2. 

  30. Knogge W. Fungal infection of plants. Plant Cell 1996;8:1711-22. 

  31. Worrall JJ, Chet I, Huttermann A. Association of rhizomorph formation with laccase activity in Armillaria spp. J Gen Microbiol 1986;132:2527-33. 

  32. Leatham GF, Stahmann MA. Studies on the laccase of Lentinus edodes: specificity, localization and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fruiting bodies. J Gen Microbiol 1981;125:147-57. 

  33. Nun NB, Tal Lev A, Harel E, Mayer AM. Repression of laccase formation in Botrytis cinerea and its possible relation to phytopathogenicity. Phytochemistry 1988;27:2505-9. 

  34. Mayer AM, Staples RC. Laccase: new functions for an old enzyme. Phytochemistry 2002;60:551-65. 

  35. Williamson PR. Laccase and melanin in the pathogenesis of Cryptococcus neoformans. Front Biosci 1997;2:e99-107. 

  36. Cotter T. Organic mushroom farming and mycoremediation: simple to advanced and experimental techniques for indoor and outdoor cultivation. White River Junction: Chelsea Green Publishing; 2015. 

  37. Couteaux M, Bottner P, Berg B. Litter decomposition, climate and liter quality. Trends Ecol Evol 1995;10:63-6. 

  38. Gartner TB, Cardon ZG. Decomposition dynamics in mixed-species leaf litter. Oikos 2004;104:230-46. 

  39. Aber JD, Melillo JM. Terrestrial ecosystems. Philadelphia: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91. 

  40. Schlesinger WH. Biogeochemistry: an analysis of global change. 2n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