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포커스 X-ray CT를 이용한 콘크리트 손상균열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ncrete Damage by X-ray CT Method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8 no.3, 2018년, pp.455 - 463  

정자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치핑작업중에 콘크리트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균열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X-ray CT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핑작업을 수행한 후,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 블록을 코어링하여 직경 50 mm, 길이 100 mm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 포커스 X-ray CT 촬영을 하여 얻은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재구성(reconstruction)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D CT 이미지에 3DMA (3 Dimensional Medial axis Analysis)법을 적용하여, 손상 평가 파라메타로 시편의 위치에 따라 균열의 성질을 평가하여 손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치핑에 의한 손상은 치핑 표면으로부터 3 cm 깊이까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T이미지 공간분석법에서 사용되는 여러 파라메타 중 공극률 지표(Porosity index), Burn number 그리고 Medial axis 의 파라메타를 이용해 치핑표면 근처의 손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방법은 내부구조에 변화가 발생한 암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비파괴 상태로 내부의 균열 평가, 가시화에 적용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size of cracks in concrete using X-ray CT images. We prepared samples with a diameter of 50 mm and a length of 100 mm by coring cracked concrete block that was obtained by chipping. We used a micro-focus X-ray CT, then applied the 3DMA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치핑 작업을 하기 전의 열화한 콘크리트의 열화정도나 열화심도 등을 조사하는 방법도 충분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의 취성재료의 손상을 평가하는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성재료의 손상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들 취성재료의 손상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AE (Acoustic Emission), 형광법(Fluorescent), 탄성파속도측정, X-racy CT 이미지 분석 등을 이용한 여러 연구(Ohust et al., 1998; Abdelrahman et al.
형광법은 무엇인가? 형광법은 암석이나 콘크리트의 미세균열에 형광제를 주입하여 화상해석을 하는 것으로 균열의 정량적 평가를 하는 방법이다. Wajima et al.
취성재료의 손상을 평가하는 방법 중 AE (Acoustic Emission)은 무엇인가? , 2014)들이 시도되었다. 손상평가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AE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편의 표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미세균열에 의해 야기된 탄성파에너지와 그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재료내부에 발생한 균열의 위치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균열의 폭이나, 길이, 연속 등의 정량적인 평가를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bdelrahman, M., Elbatanouny, M.K., Ziehl, P.H., 2014, Acoustic emission based damage assessment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Modified index of damage, Engineering Structures, 60, 258-264. 

  2. Adelinet, M., Fortin J., GueGuen, Y., Schuvnel, A., Geoffroy L., 2010, Frequency and fluid effects on elastic propertied of basalt: experimental investig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2), https://doi.org/10.1029/2009GL041660. 

  3. Byun, J.H., Lee, J.S., Park, K.B., Yoon, H.K., 2015, Prediction of crack density in porous-cracked rocks from elastic wave velocities,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115, 110-119. 

  4. Chen, Y., Nahaya, Y., Ishida T., 2015, Observations of fractures induced by hydraulic fracturing in anisotropic granite,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gn, 48(4), 1455-1461. 

  5. Fortin, J., Stanchits, S., Vinciguerra, S., Gueguen Y., 2010, Influence of thermal and mechanical cracks on permeability and elastic wave velocities in a basalt from Mt. Etna volcano subjected to elevated pressure, Tectonophysics, 503, 60-74. 

  6. Jeong, G.C., Takahashi, M., 2010, Analysis of porosity and distribution of pores in rocks by micro focus X-ray CT, The Journal of Engineerign Geology, 20(4), 461-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wamoto, N., 2011, Visualization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ternal structure of concrete by X-ray CT method, Bachelor Thesis, Kumamoto University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8. Lindquist, W.B., Lee, S.-M., Coker, D.A., Jones, K.W., Spanne, P., 1996, Medial axis analysis of void structure in three-dimensional tomographic images of porous med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1(B4), 8297-8310. 

  9. Lindquist, W.B., Venkatarangan, A., 1999, Investigating 3D geometry of porous media from high resolution image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5, 593-599. 

  10. Obara., Y., Tanikura, I., Jung J., Shintani, R., Watanabe, S., 2016, Evaluation of micro-damage of concrete specimens under cyclic uniaxial loading by X-ray CT method,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14, 433-443. 

  11. Ohust, M., Okamoto, T., Yuyama, S., 1998, Moment tensor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for cracking mechanisms in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95(2), 87-95. 

  12. Otani, J., Obara, Y., 2003, X-ray CT for Geo materials, Soils, Concrete, Rocks. A.A. Balkema Publishers, Lisse. 343. 

  13. Wajima, T., Okuda, S., Chen, Y., Bessho, M., Nishiyama, T., 2000, Observation of pore spaces and microcracks using a fluorescent technique in some reservoir rocks of oil, gas and geothermal fields in the green tuff region, Japan, Resource Geology, Short communication, 50(3), 191-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