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금(Curcuma longa L.)의 용매 별 추출물이 생리활성 및 산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Oxidation Inhibitory Action of Turmeric (Curcuma longa L.) by Various Solven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3, 2018년, pp.622 - 632  

오다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금(Curcuma longa L.)사포닌 함량과, 증류수(distilled water,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산화억제 효과를 통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확인한 결과, 총 사포닌 함량은 $7.506{\pm}0.349mg\;SE/g$ dry weight으로 확인되었다. 추출 수율은 DW (17.11%), 70% 에탄올(15.26%), 노르말 부탄올(4.12%)로 DW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르말 부탄올 추출물에서 낮은 수율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DW, 70% 에탄올, 노르말 부탄올 순으로 각각 8.57, 41.01, 119.11 mg GAE/g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노르말 부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관찰되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DW, 70% 에탄올, 노르말 부탄올 순으로 확인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또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ferrous ion 킬레이트 능은 노르말 부탄올(15.87~21.17%), 70% 에탄올(26.10~50.76%), DW(44.47~84.24%) 순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울금은 산화억제 및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of turmeric (Curcuma longa L.)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oxidation inhibitory action. The effects of various solvents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and n-butanol) on the total phenolics content (TPC) of turmeric and their corresponding bi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울금의 총 사포닌, 페놀 함량과 증류수(distilled water,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의 세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ferrous ion 킬레이트 능 등을 측정하여 울금의 생리활성 성분 및 산화억제 효과를 산업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실험을 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은 무엇인가? 최근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물인 식물의 잎, 열매, 뿌리 등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 물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Phytochemical 구성 성분 중의 생리활성물질은 산화적 스트레스 조절과 연관되어 있으며[2],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치료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3]. 유리기(free radical)는 높은 반응성과 함께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DNA 등의 세포에 손상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4], 여러 질병의 주된 원인으로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등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중 페놀성 물질은 어디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몇 개의 물질로 존재하는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카로티노이드, 페놀성 물질, 알칼로이드, 질소 함유 화합물 및 함황 화합물 등이 있으며[6], 항암[7], 항균[8], 항산화[9] 및 항면역활성[10]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수천 가지의 화합물 중 페놀성 물질은 식물체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8,000개 이상의 물질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 총 페놀은 화학 구조에 따라 페놀산, 스틸벤(stilbene), 리그난(lignan)및 플라보노이드 등이 있으며, 환원성, 수소공여체 및 일중항 산소분자 제거 작용이 있다고 한다[11,12].
유리기는 어떻게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가? Phytochemical 구성 성분 중의 생리활성물질은 산화적 스트레스 조절과 연관되어 있으며[2],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치료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3]. 유리기(free radical)는 높은 반응성과 함께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DNA 등의 세포에 손상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4], 여러 질병의 주된 원인으로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등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카로티노이드, 페놀성 물질, 알칼로이드, 질소 함유 화합물 및 함황 화합물 등이 있으며[6], 항암[7], 항균[8], 항산화[9] 및 항면역활성[10]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 Y. Lee, J. Y. Shon, K. O. Kang,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 buckthron (Hippophae rhamnoides L.) leaf and berry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28, No.1 pp. 31-39, (2018). 

  2. D. Huang, B. Ou, R. L. Prior,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Vol.53, No.6 pp. 1841-1856, (2005). 

  3. K. Kowalska, A. Olejnik, "Beneficial effects of cranberry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and related complications: Metabolic syndrome and diabetes-A review", J. Funct. Foods, Vol.20, pp. 171-181, (2016). 

  4. T. Bahorun, M. A. Soobrattee, V. Luximon-Ramma, O. I. Aruoma,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cardiovascular health and disease", Int. J. Med. Update, Vol.1, No.2 pp. 25-41, (2006). 

  5. S. S. Gill, N. Tuteja,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machinery in abiotic stress tolerance in crop plants", Plant Physiol. Biochem., Vol.48, No.12 pp. 909-930, (2010). 

  6. R. H. Liu,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J. Nutr., Vol.134, No.12 pp. 3479S-3485S, (2004). 

  7. C. T. Ho, T. Ferraro, Q. Chen, R. T. Rosen, M. T. Huang, "Phytochemicals in teas and rosemary and their cancer-preventive properties", In ACS symposium series (USA), pp. 1-19, (1994). 

  8. M. M. Cowan,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Clin. Microbiology Rev., Vol.12, No.4 pp. 564-582, (1999). 

  9. D. P. Tomer, L. D. McLeman, S. Ohmine, P. M. Scherer, B. K. Murray, K. L. O'Neill, "Comparison of the 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tioxidant assays", J. Med. Food, Vol.10, No.2 pp. 337-344, (2007). 

  10. M. Serafini, I. Peluso, "Functional foods for health: the interrelat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ole of fruits, vegetables, herbs, spices and cocoa in human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Vol.22, No.44 pp. 6701-6715, (2016). 

  11. M. Palermo, N. Pellegrini, V. Fogliano, "The effect of cooking on the phytochemical content of vegetables", J. Sci. Food Agric., Vol.94, No.6 pp. 1057-1070, (2014). 

  12. C. K. Lim, W. N. Tiong, J. L. Loo,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varieties of portulaca grandiflora", Int. J. Phytoph., Vol.4, No.1 pp. 1-5, (2014). 

  13. C. A. C. Araujo, L. L. Leon, "Bi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Mem. Inst. Oswaldo Cruz, Vol.96, No.5 pp. 723-728, (2001). 

  14. R. Mohebbati, A. Anaeigoudari, M. R. Khazdair, "The effects of Curcuma longa and curcumin on reproductive systems", Endocrine Regulations, Vol.51, No.4 pp. 220-228, (2017). 

  15. S. Senan, D. Kizhakayil, T. E. Sheeja, B. Sasikumar, A. I. Bhat, V. A. Parthasarathy, "Novel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Zingiberaceae)", Acta Bot. Croat., Vol.72, No.2 pp. 407-412, (2013). 

  16. S. J. Hewlings, D. S. Kalman, "Curcumin: A Review of Its' Effects on Human Health", Foods, Vol.6, No.10 pp. 92-102, (2017). 

  17. M. Saladini, S. Lazzari, F. Pignedoli, R. Rosa, F. Spagnolo, E. Ferrari, "New Synthetic Glucosyl-Curcuminoids, and their 1 H and 13 C NMR Characterization, from Curcuma longa L.", Plant Foods Hum. Nutr., Vol.64, No.3 pp. 224-229, (2009). 

  18. B. Xu, S. K. Chang, "Phytochemical profiles and health-promoting effects of cool-season food legumes as influenced by thermal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Vol.57, No.22 pp. 10718-10731, (2009). 

  19. D. Huang, B. Ou, R. L. Prior,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istry, Vol.53, No.6 pp. 1841-1856, (2005). 

  20.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No.4617 pp. 1199-1200, (1958). 

  21.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Medic., Vol.26, No.9-10 pp. 1231-1237, (1999). 

  22. K. Thaipong, U. Boonprakob, K. Crosby, L. Cisneros-Zevallos, D. H. Byrne,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i. Anal., Vol.19, No.6-7 pp. 669-675, (2006). 

  23. S. I. L. V. I. A. Robu, A. C. Aprotosoaie, A. Miron, O. A. N. A. Cioanca, U. R. S. U. L. A. Stanescu, M. O. N. I. C. A. Hancianu,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some Lavandula species cultivated in Romania", Farmacia, Vol.60, No.30 pp. 394-401, (2012). 

  24. M. Singhal, A. Paul, H. P. Singh, "Synthesis and reducing power assay of methyl semicarbazone derivatives", J. Saudi Chem. Soc., Vol.18, No.2 pp. 121-127, (2014). 

  25. S. Sparg, M. E. Light, J. Van Staden, "Biological activities and distribution of plant saponins", J. Ethnopharmacology, Vol.94, No.2-3 pp. 219-243, (2004). 

  26. V. A. Motz, C. P. Bowers, A. R. Kneubehl, E. C. Lendrum, L. M. Young, D. H. Kinder, "Efficacy of the saponin component of Impatiens capensis Meerb. in preventing urushiol-induced contact dermatitis", J. Ethnopharmacology, Vol.162, No.13 pp. 163-167, (2015). 

  27. G. Y. Nam, S. R. Go, G. J. Choe, "Relationship of saponin and non-saponin for the quality of ginseng", J. Ginseng Res., Vol.22, No.4 pp. 274-283, (1998). 

  28. H. D. Hess, M. Kreuzer, T. E. Diaz, C. E. Lascano, J. E. Carulla, C. R. Soliva, A. Machmuller, "Saponin rich tropical fruits affect fermentation and methanogenesis in faunated and defaunated rumen fluid", Animal Feed Sci. Technol., Vol.109, No.1-4 pp. 79-94, (2003). 

  29. S. Chirumbolo, "Plant phytochemicals as new potential drugs for immune disorders and cancer therapy: really a promising path?", J. Sci. Food Agric., Vol.92, No.8 pp. 1573-1577, (2012). 

  30. M. E. Cartea, M. Francisco, P. Soengas, P. Velasco, "Phenolic compounds in Brassica vegetables", Molecules, Vol.16, No.1 pp. 251-280, (2010). 

  31. J. A. Vinson, Y. Hao, X. Su, L. Zubik,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Vol.46, No.9 pp. 3630-3634, (1998). 

  32. M. N. Alam, N. J. Bristi, M. Rafiquzzaman, "Review on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Saudi Pharmaceutical J., Vol.21, No.2 pp. 143-152, (2013). 

  33. M. C. Foti, "Use and Abuse of the DPPH. Radical", J. Agric. Food Chem., Vol.63, No.40 pp. 8765-8776, (2015). 

  34. A. Floegel, D. O. Kim, S. J. Chung, S. I. Koo, O. K. Chun,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i. Anal., Vol.24, No.7 pp. 1043-1048, (2011). 

  35. C. S. Sanchez, A. T. Gonzalez, M. C. Garcia-Parrilla, J. Q. Granados, H. L. G. De La Serrana, M. L. Martinez, "Different radical scavenging tests in virgin olive oil and their relation to the total phenol content", Analytica Chim. Acta, Vol.593, No.1 pp. 103-107, (2007). 

  36. A. A. Akinola, S. Ahmad, M. Maziah, "Total anti-oxidant capacity, flavonoid, phenolic acid and polyphenol content in ten selected species of Zingiberaceae rhizomes", Afr. J. Tradit. Complementary Altern. Med., Vol.11, No.3 pp. 7-13, (2014). 

  37. S. Mancini, G. Preziuso, G. Paci, "Effect of turmeric powder (Curcuma longa L.) and ascorbic acid on antioxidant capacity and oxidative status in rabbit burgers after cooking", World Rabbit Sci., Vol.24, No.2 pp. 121-127, (2016). 

  38. D. H. Kim, G. T. Jeong,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f marine green-algae enteromorpha intestinalis", KSBB J., Vol.29, No.2 pp. 92-97, (2014). 

  39. T. Wang, R. Jonsdottir, G. Olafsdottir, "Total phenolic compounds, radical scavenging and metal chelation of extracts from Icelandic seaweeds", Food Chem., Vol.116, No.1 pp. 240-248, (2009). 

  40. H. Demir, L. Acik, E. B. Bali, L. Y. Koc, G. Kaynak,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idago virgaurea extracts", Afr. J. Biotechnology, Vol.8, No.2 pp. 274-27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