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폭시 복합체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with Varying Frequency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3, 2018년, pp.676 - 682  

이호식 (동신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파수 변화에 따른 에폭시 복합체의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범위 $20[^{\circ}C]$, $100[^{\circ}C]$, $140[^{\circ}C]$, 주파수 범위 30[Hz]~3[MHz] 사에서 유전율유전손실을 측정하였다. 저주파 영역에서 유전분산과 유전 손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 영역에서는 충진제의 영향으로 유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tudy electr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with various frequency. To measure of dielectric characteristics have been performed over a frequency range from 30[Hz] to 3[MHz] and a temperature range of $20[^{\circ}C]$, $10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응용을 위한 전기적 특성과 고온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가혹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절연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적 물성 파악 및 절연 열화 현상을 물 성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경화제와 첨가량을 변화시키고 또한 경화 조건을 변화시킨 에폭시 복합체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유전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THPA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 계통의 경화제로서 MeTHPA(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다. Fig.
에폭시 수지가 갖는 우수한 특성은 무엇인가? 에폭시 수지는 로켓트의 유도장치, 레이더 계통 소형 단상 트랜스 등의 절연 부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적 내압성, 내마모성 같은 기계적 강도와 물리적 특성 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4-5]. 특히 몰드(Mold)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는 촉매, 경화제 등을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가열에 의한 휘발성 물질 같은 부생산물을 만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에폭시 수지의 이용처는 무엇이 있는가? 에폭시 수지는 로켓트의 유도장치, 레이더 계통 소형 단상 트랜스 등의 절연 부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적 내압성, 내마모성 같은 기계적 강도와 물리적 특성 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layton May, "Epoxy Resins: Chemistry and Technology, Second Edition", CRC Press, (1987). 

  2. Nanjunda Gowda, Shivananda Kammasandra, Mahendra, Kadidal Nagappa, "Preparation and Curing Studies of Maleimide Bisphnol-A Based Epoxy Resins", Bull. Korean Chem. Soc., Vol. 27, No. 10, pp. 1542-1548, (2006). 

  3. Jacqueline I, Kroschwitz, "High Performance Polymers and Composites", Wiley: New York, (1991). 

  4. K. H. Park, Y. S. Lee, J. Y. Song, Y. Lee, S. I, Kim, "The Effect of Thermal Decomposition of Epoxy Resin for an Variation of Hardner", J. of Oil Chemists' Soc., Vol. 24, No. 4, pp. 393-398, (2007). 

  5. S. K. Kim, P. W. Shin, D. C. Lee, "Synthesis of Water Soluble Acrylic Modified Epoxyester Resi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 J. of Oil Chemists' Soc., Vol. 28, No. 1, pp. 36-47, (2011). 

  6. T. F. Mika and R. S. Bauer, "Curing Agents and Modifiers : Epoxy Resins, Chemistry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Inc., New York and Basel, (1973). 

  7. W. R. Ashcroft,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Chemistry and Technology of Epoxy Resin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pp. 37-71, (1993). 

  8. Rudolf Zbinden, "Infrared Spectroscopy of High Polymers", Academic Press; Yorkland London, (1964). 

  9. Gray C. Stevens, "Cure Kinetics of High Epoxide/Hydroxyl Group-Ratio Bisphenol A Epoxy Resins-Anhydride System at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J. of Appl. Poly. Sci., Vol. 26, No. 1, pp. 4279-4297, (1981). 

  10. P. C. Painter, M. M. Coleman, J. K. Koening, "The Theory of Vibrational Spectroscopy and It's Application to Polymeric Materials", John Wiely & Sons: New York-Chichestor, (1982). 

  11. Vera V. Daniel, "Dielectric Relaxation", Academic Press Inc., (1967). 

  12. P. Hedvig," Dielectric Spectroscopy od Polyners", Adam Higher: Bristol, (1977). 

  13. S. D. Senturia, N. F. Sheppard, "Dielectric Analysis of Thermoset Cure: Epoxy Resin and Composites IV",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86). 

  14. J. Y. Han, M. H. Kim, S. S. Kang, "A Study of Physical Property od Epoxy Resin Due to After-Curing Condi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Vol. 21, No. 12, pp. 976-981, (2012). 

  15. S. Han, W. G. Kim, S, D. Hwang, H. G. Yoon, K. S Suh, T. J. Moo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Bishenyl-Type Epoxy/Phenol Novolac Resin System", J. of Korean Polymer, Vol. 22, No. 5, pp. 691-69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