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특성과 정보시스템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전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 Moderating Effects of Vision Sharing - 원문보기

경영과 정보연구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7 no.3, 2018년, pp.115 - 130  

박광오 (영남이공대학교 경영계열) ,  이은령 (부산디지털대학교 경영학부) ,  정대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직특성 및 정보시스템특성의 요인들과 조직구성원들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이론비전공유에 따른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기업성과 및 직무만족 관련 논문들이 주로 인사, 조직, 재무, 생산, MIS 등 각 기능별조직의 관점에서 접근한 개별모형의 분석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MIS 관점의 접근방식과 더불어 조직관점의 통합연구모형의 제시로 직무만족 및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종합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사회적 자본이론 측면에서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비전공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직특성은 혁신성, 신뢰, 인재우대 변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정보시스템특성은 신속성, CEO 지원, 보상을 변인으로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6회차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모든 변수들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CEO 지원 및 신뢰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한 비전공유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혁신성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 통계학적 변수 중 구성원들의 평균급여에 의한 직무만족의 로지스틱 분석결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향상에는 무엇보다 급여가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적절한 급여의 책정이 충분한 보상의 개념으로 인식함으로써 전반적인 직무만족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systems characteristics or job satisfaction, attempts to examine the regulatory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adjustment of social capital theory. So f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HCCP 연구가 주로 HRD 관점에서 접근하는 형태였지만, 본 연구는 MIS 관점의 통합연구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조직특성과 더불어 정보시스템 개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정보시스템의 정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사회적 자본 관점의 기업 비전공유가 절실하다는 것을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하여 한국기업 관리자들에게 직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변수들을 이해하고 구성원 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
  • 둘째, 비전공유가 직무만족에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한다.
  • 기업성과 및 직무만족 관련 논문들이 인사, 조직, 재무, 생산, MIS 등 각 기능별조직의 관점에서 접근한 개별모형의 분석으로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MIS 관점과 조직관점의 통합 연구모형의 제시로 직무만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자본이론 측면에서의 비전공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은 MIS 관점과 조직관점의 통합 연구모형의 제시로 직무만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자본이론 측면에서의 비전공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특성과 조직특성을 구분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와 사회적 자본이론에 근거하여 비전공유의 조절효과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은 Delone & McLean(1992)의 정보시스템 성과모델과 사회적 자본이론 모형 등에서 고찰한 기업의 시스템 및 조직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특성과 조직특성의 요인들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자본이론의 비전공유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 조직 특성 및 정보시스템의 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업, 서비스업, 금융업 간의 차이분석의 필요성도 있다.
  • 바꾸어 말하면 조직의 비전과 가치공유를 통해 구성원들 간 공통의 목적의식과 가치관 형성, 열망을 향상시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준거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 간의 상호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기대할수 있다(박순미, 2000). 이상과 같은 이론에 근거 하여 사회적 자본 중 비전공유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조절변수로써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 인적자원을 비롯한 유무형의 자원까지 고려하여 업무프로세스 전반적인 요소는 물론 문화까지도 포괄할 수 있어야 진정한 기업성과로의 연계를 입증할 수 있다. 조직의 인적자원과 정보시스템 자원에 사회적자본이론이 보충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만족 및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게 되는 주요 변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사회적자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향상이라는 실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조직의 인적자원과 정보시스템 자원에 사회적자본이론이 보충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만족 및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게 되는 주요 변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사회적자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향상이라는 실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신속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CEO지원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보상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혁신성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신뢰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인재우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1: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신속성과 직무만족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가설 7-2: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CEO지원과 직무만족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가설 7-3: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보상과 직무만족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가설 7-4: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혁신성과 직무 만족 간의 부(-)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가설 7-5: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신뢰와 직무만족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가설7-6: 비전공유가 높을수록 인재우대 직무 만족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이란 무엇인가?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혁신이 중요하다. 혁신(innovation)은 새로운 시스템이나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유용한 제품 및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과정으로, 혁신성은 자신의 직무나 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 및 실행하는 행동을 의미한다(강선아․이수범, 2015). 이러한 혁신행동은 급변하는 기업경영 환경에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고, 조직 구성원들이 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자원기반이론에 따르면 지속적 경쟁우위는 어디서 나오는가?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 theory)에 따라 지속적 경쟁우위는 기업이 보유한 독특한 자원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인적자원을 비롯한 유무형의 자원까지 고려하여 업무프로세스 전반적인 요소는 물론 문화까지도 포괄할 수 있어야 진정한 기업성과로의 연계를 입증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 의존도를 비롯한 조직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성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에 투자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요소이다. 정보시스템의 이용이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종국적으로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성공 비즈니스모형이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제안되었다. 정보시스템 의존도를 비롯한 조직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성 큰 이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석민(2016), "자원기반이론을 적용한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 보호 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5(2), 45-66. 

  2. 강선아.이수범(2015),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27(3), 23-40. 

  3. 강수영.홍순이(2013), "조직 특성과 상사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비서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2(1), 71-98. 

  4. 구병관.이선규(2012), "공공분야의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요인과 보상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418-429. 

  5. 김경재.정범구(2008), "사회자본과 지식공유 관계에서 정보시스템 특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1-18. 

  6. 김재전.유일.공희경(2003), "지식공유 영향 요인이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전략학회지, 6(2), 33-68. 

  7. 김상훈.최광돈(2001), "ERP 시스템 구축 단계별 주요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학회지, 26(4), 1-21. 

  8. 김성환(2014), "인적자원개발제도,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관계: 조직수준의 학습문화의 매개효과 검증", 벤처창업연구, 9(3), 119-128. 

  9. 김일천.김종우.이지우(2004), "혁신적 업무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19(2), 282-317. 

  10. 김현규.소원근.김하균(2015), "전산세무회계시스템의 특성변수(시스템, 정보)와 개인변수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KcLep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5), 111-125. 

  11. 문병주.김창수.송종철.손소현.정회경(2009), "정보서비스시스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3(5), 835-844. 

  12. 박순미(2000),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 자본 창출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2(1), 171-203. 

  13. 박영진.조철규(2013), "시큐리티 업체의 조직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융합보안 논문지, 13(5), 148-156. 

  14. 박철형.김하균(2000), "정보시스템 사용자만족도의 영향요인 및 성과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수산협동조합 정보사용자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9(1), 44-59. 

  15. 변해원(2012), "잠재적 위험요인의 탐색에 관한 단일표본분석과 복합표본분석의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5), 2251-2258. 

  16. 오종철.양태식(2012), "서비스기업에서 창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라포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3(2), 47-71. 

  17. 오창규(2012), "정보 시스템 성공 모형을 적용한 e-Book 성공 모형의 평가", 정보관리학회지, 29(4), 61-82. 

  18. 원종하.정대현(2017), "공유가치창출(CSV)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사슬 관점", 경영과 정보연구, 36(4), 1-19. 

  19. 유한구.이혜숙(2012),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1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75-597. 

  20. 이대근.김용재(2014),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227-239. 

  21. 이동명.이영수(2014), "구성원 능력이 조직에서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201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91-509. 

  22. 이용탁(2017), "ICT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 구성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6(4), 149-166. 

  23. 이은령.김태혁(2016), "내부 프로세스 역량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4B), 1969-1984. 

  24. 이준희(2014), "기업가의 특성과 사회적 자본의 사회적 기업 성과와의 연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127-166. 

  25. 정범구(2003), "조직내 신뢰와 조직간 신뢰의 관계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경영경제연구, 25(2), 97-113. 

  26. 조영삼.홍가혜.신만수(2015), "한국기업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만족도 연도별 비교",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1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3-429. 

  27. 주영주.김동심(201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기업문화개방성, 인재우대가 미치는 조절효과", 산업혁신연구, 29(1), 109-129. 

  28. 장혜정.진인선(2014), "IT기업 근로자 숙련도, 교육훈련 적절성, 인재우대, 조직몰입의 인적자원경쟁력 예측 연구", 학습과학연구, 8(1), 81-99. 

  29. 하영목.안영준.변지석(2010), "ERP시스템 구축 후 운영단계의 주요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238-268. 

  30. 한동협(2012), "ISO 인증 시스템의 성공요인과 재무적성과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3(5), 275-259. 

  31. 한동효.민병익(2004), "지식관리시스템의 도입.활용에 관한 평가연구: 경상남도 2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5), 215-239. 

  32. Amabile, T. M.(1996), Creativity & Innovation in Organizations, Harvard Business School. 

  33. Brehm, J. & Rahn, W.(1997), "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999-1023. 

  34. Collings, D. G. & K. Mellahi(2009), "Strategic Talent Management: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9(4), 304-313. 

  35. DeLone, W. H. & McLean, E. R.(1992),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60-95. 

  36. DeLone, W. H. & McLean, E. R.(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9-30. 

  37. Hanifan, L. J.(1920), "Social capital-Its Development and Use", The Community Center, 67, 78-90. 

  38. Kettinger, W. J. & Lee, C. C.(1997), "Pragmatic Perspectives on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s Service Quality", MIS Quarterly, 21(2), 223-240. 

  39. Khatri, N., Fern, C. T. & Budhwar, P.(2001), "Explaining Employee Turnover in an Asian Context,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11(1). 125-149. 

  40. Leana, C. R. & Van Buren, H. J.(1999),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Employment Practic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3), 538-555. 

  41. Mata, F. J., Furest, W. L. & Barney, J. B.(1995), "Information Technology &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 Resource-based Analysis", MIS Quarterly, 19(5), 487-505. 

  42. Mattai, J. M.(1989), Employ Perceptions of Trus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in Mental Health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of Vanderbilt University. 

  43. Nahapiet, J. & Ghoshal, S.(1998),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242-266. 

  44. Piccoli, G. & Ives, B.(2005), "Review: IT-dependent Strategic Initiativ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MIS Quarterly, 29(4), 747-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