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작품의 기초조사 및 보존처리 재료 연구: 이인희 '앨리스의 가방 - 눈 없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Basic Survey and Materials Properties for Conservation of Plastic Artifacts: 'A Bag of Alice - a Fish without Ey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5, 2018년, pp.379 - 385  

한예빈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김정흠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범대건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열화된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처리를 위해 작품의 상태조사 및 재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존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접착제 5종(EVA계, PVAc계, Cyanoacrylate계)의 물성 및 접합특성을 평가하여 작품에 적합한 접착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현재 열화로 인해 표면의 균열, 들뜸, 형태적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FT-IR을 통한 재질분석결과, 작품에 사용된 합성수지는 EVA계로 추정되었다. 접착제의 물성평가를 위해 산성도 및 경도 측정을 실시한 결과, 산성도는 접착제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EVA계 보다 PVAc계 접착제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의사시편을 제작하여 인공열화 후 접합특성을 비교한 결과, PVAc, Cyanoacrylate계 접착제는 색차 및 경도가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EVA계 접착제는 변화가 적어 가장 안정하였다. 작품의 보존처리 재료로써 EVA계 접착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작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처리재료 연구로써 현재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처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ndition of degraded plastic artifacts and conducted materials assessments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properties and bond characteristics of five types of adhesives(EVA, PVAc, Cyanoacrylate) were evaluated to select the adhesive most suitable for conservation treat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인희 ‘앨리스의 가방-눈 없는 물고기’(2006)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의 재료적 특성을 분석하고 보존처리에 적합한 재료선정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합성수지 작품의 보존처리를 목적으로 실제 작품의 기초조사와 처리재료를 선정하기 위한 과학적 분석 및 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특정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접착제를 5종으로 제한한 점에서 일부 한계도 존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왜 EVA계 접착제가 '앨리스의 가방 - 눈 없는 물고기'의 보존에 가장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접착제의 기초 물성평가, 의사시편을 이용한 접합특성 및 내구성 평가를 통해 여러 접착제 중 EVA계 접착제가 작품의 보존처리에 가장 적합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 다. EVA계 접착제의 성분이 작품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접착제는 중성을 띠고 굳었을 때 적당한 유연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의사시편과의 접합 시 피착재와 접착제층이 분리되지 않고 열화에 관계없이 색도 및 경도 변화가 적어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현대 미술에서 조각작품의 재료로 왜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되는가? 현대 미술에서 조각작품은 기존에 사용된 금속, 석재, 목재뿐 아니라 합성수지, 페인트, 신소재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은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여러 재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작품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플라스틱 작품은 지난 100여 년 동안 문화유산 및 예술 작품에 많은 부분을 차지해왔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 보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EVA계 접착제는 PVAc 단일중합체와 비교하였을 때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또한 의사시편과의 접합 시 피착재와 접착제층이 분리되지 않고 열화에 관계없이 색도 및 경도 변화가 적어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EVA 공중합체(copolymer)는 PVAc 단일중합체(homopolymer)보다 강하고 열에 안정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Down, 2016), PVAc 성분보다 EVA 성분의 접착제가 더욱 중성을 띠며, 중간 정도의 강도를 갖고 유연하며 황변이 적게 나타난(Down, 2015) 선행연구 결과와도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EVA계 접착제가 작품의 보존처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ung, Y.J., Yu, J.A. and Kang, D.I., 2013, Preservation values and effects on cleaning and adhesive agents for plastic artifact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own, Jane L., 2015, The evaluation of selected poly(vinyl acetate) and acrylic adhesives : A final research update. Studies in Conservation, 60(1), 47-52. 

  3. Down, Jane L., 2016, The effect of modifiers on the stability of a vinly acetate/ethylene copolymer dispersion. Studies in Conservation, 61(1), 26. 

  4. Han, Y.B., 2017, UV 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coating agent for conservation of FRP artifact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agana, A., Langcenbacher, J., Rivenc, R., Caro, M., Dion, V. and Learner, T., 2017, The future of looking younger : A new face for PMMA. Research into fill materials to repair poly(methyl methacrylate) in contemporary objects and photographs. ICOM-CC 18th Triennial Conference MODERN MATERIALS AND CONTEMPORARY ART, Copenhagen, September 4-8. 

  6. Lavedrine, B., Fournier, A. and Martin, G., 2012, Preservation of plastic artefacts in mseum collections. Comite Des Travaux Historiques Et Scientifiques, Paris. 

  7. Yu, J.A., 2013, Study on identification and conservation of plastic artifac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Yu, J.A., Cho, H.J., Han, Y.B., Lee, H.J., Lee, S.J., Chung, Y.J., 2015, Study on degradation characteristic of plastic artwork for conservation. Journal of Conservation Sceince, 3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Winther, T., Bannerman, J., Skogstad, H., Mats K.G. Johansson, Jacobson, K., Samuelsson, J., 2015, Adhesive for adhering polystyrene plastic and their long-term effect. Studies in Conservation, 60(2), 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