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ladon Ja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National Treasure No.326)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5, 2019년, pp.453 - 469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권오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한우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굽바닥에 명문이 새겨져 용도와 사용처, 제작자를 알 수 있는 등 초기 청자의 제작 정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편년자료이다. 청자 항아리는 과거에 여러 번 수리복원 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해 처리 재료가 노화되어 균열부의 이격 및 단차가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우려되었다. 보존상태를 정밀 진단한 결과, 청자 항아리는 정면의 '입(入)'자형 균열, 좌면의 'V'자형 결실부를 포함한 균열, 후면의 'J'자형 균열이 주요 손상부위로 확인되었다. 균열부는 장뇌, 건성유, 송진 등이 포함된 정제 옻을 접착제로 토분을 첨가하여 접합하고 접합선은 다시 정제 옻을 칠한 후 금분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실부는 석고로 복원 후 아크릴 물감으로 색맞춤하였다. 이후 수리복원 재료가 노화되어 1981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응급처리를 실시하였는데, 균열부 보강을 위해 Cemedine C를 쓰거나 Cemedine C에 Microballoo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보존상태 진단 결과를 근거로, 과거 수리복원 재료를 제거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다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추후 전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복원부를 중심으로 색맞춤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ladon jar with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 is an important chronology that shows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of the early celadon due to the inscription on the bottom including its purpose, application, and the producer. This celadon jar has been restored several times in the past...

주제어

참고문헌 (24)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9, The celadon jar with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 http://www.cha.go.kr/ (August 13, 2019) 

  2.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2018, Conservation processing guide. 33-65. (in Korean) 

  3. Han, W.S., Wi, G.C., Oh, S.J. and Lee, Y.H.,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urea for porcelain restoratio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4(1), 23-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ickey-Friedman, L., 2002, A review of ultra-violet light and examination techniques. The Objects Specialty Group Sesstion 30th Annual Meeting, Miami, June 10, 161-168. 

  5. Jang, S.Y., Nam, B.J., Park, D.W., Kang, H.M. and Jung, Y.H., 2009, A study on the soluble salt and deterioration of ceramics from Taean shipwreck. Conservation Studies, 30, 189-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W.H., Cheong, D.S., Bae, J.S., Jee, J.Y. and Wi, K.C.,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low yellowing epoxy for ceramic presrvatio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2), 181-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won, O.Y., Park, Y.H., Lee, J.J., Park, C.Y. and Lee, S.M., 2019, Scientific research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Yunggimuntogi(earthenware with raised pattern), Treasure No. 597. Korean Antiquity, 93, 153-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D.H., Kwak, E.K. and Hwang, H.S., 2010, Conservation process of celadon janggo excavated from the seabed.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1, 53-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H.S. and Wi, K.C., 2015, Restoration of earthenware & porcelain cultural assets using 3D printi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2), 131-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H.S. and Yun, E.Y., 2007, Conservation of porcelain possessed by Jeonju national museum - Rice-bale-shaped battle white porcelain and pig jar with incised fish design buncheon ware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8, 3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Nam, B.J., Jeong, S.R. and Jang, S.Y., 2012, Study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epoxy resins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ceramics. Adhesion and Interface, 13(4), 171-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Museum of Korea, 2007,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 Ceramics. 7-176. (in Korean and English) 

  13. National Museum of Korea, 2013, Conservation science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227-231. (in Korean) 

  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Cleaning of ceramics. 12-247. (in Korean)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Study on the adhesive properties of lacquer and glue. 53-67. (in Korean)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6, Adhesives for conservation. 10-302. (in Korean) 

  17. Oh, S.J., Park, G.J. and Wi, K.C., 2015,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ceramics restoration purpose urethane resin with excellent reversibility.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1), 37-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D.W., Jang, S.Y., Nam, B.J., Ham, C.H. and Lim, S.T., 2011a, Chemical cleaning of iron stains on ceramic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4), 345-3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D.W., Kang, H.M., Nam, B.J. and Jang, S.Y., 2009, Stability evaluation of cleaning agent for ceramic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4), 451-4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G.J., 2007, Conservation and research on the porcelain excavated at Samcheon temple site.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4, 15-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G.J., Lee, G.R. and Park, C.S., 2011b, Conservation process of 'Cheonjaeumgakyeonhwajeoljimummaebyeong' collected from marine excavation project.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8, 26-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chilling, M.R., Heginbotham A., Keulen, H. and Szelewski, M., 2016, Beyond the basics: A systematic approach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in Asian lacquers. Studies in Conservation, 61, 3-27. 

  23. Wang, N., He, L., Zhao, X. and Simon, S.,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eastern and western drying-oil binding media used in polychromic artwork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nder the influence of pigments. Microchemical Journal, 123, 201-210. 

  24. Yang, P.S. and Seo, J.H., 2011, A study on the changes process repair and restoration method of ceramic.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1), 49-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