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모형을 통한 법주사와 선암사 목조건축물의 기상인자에 대한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for Wooden Building in Beopjusa and Seonamsa Temples by Statistical Model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5, 2018년, pp.387 - 396  

김영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임보아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정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박지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목조건축문화재는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생물피해와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피해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은 법주사와 순천 선암사에 기상인자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기상측정장비를 설치하여 기상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들 데이터에 통계 모형을 적용하여 기상인자를 예측하고 기상인자별 예측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법주사와 선암사 두 곳 모두에서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상관계수가 0.9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습도의 상관계수는 0.65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일반선형모형은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상인자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법주사와 선암사 모두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 일사량과 증발량 사이에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법주사에서는 대기온도와 증발량이 약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선암사에서는 풍속이 대기온도와 상대습도에 대하여 약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선암사의 풍속은 겨울에 높고 여름에 평균 이하로 낮아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이것은 대기온도와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수분의 증발을 막고 정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이것이 선암사의 목조건축물 피해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osur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n cause damage to domestic wooden cultural assets, such as temples. Deterioration is accelerated by biological damage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meteorological factors were monitored by equipment installed at Beopjusa temple of Boeun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기후변화가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노아의 방주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문화유산을 위협하는 주요 기후변화 요소는 기온 상승, 강수량 증가, 상대습도의 변동성, 해수면 상승 및 기후대의 이동에 관한 것이었다 (Sabbioni et al.
  • 기상 변화는 앞으로 문화유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유산의 가치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열화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은 법주사와 순천 선암사에 기상 인자 모니터링을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환경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모형을 적용하여 기상인자들의 예측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기상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분석과 예측을 위하여 역학 모형 또는 실험이 주로 이용되나, 요즘은 통계적 모형을 이용하여 변수와 자료량을 축약시켜 자료처리시간이 짧아졌으며, 유용한 통계프로그램과 패키지들이 많아 분석과 예측을 위한 계산을 편리하게 산출할 수 있다(Sohn, 1998). 본 연구에서는 통계 모형 중 시계열분석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일반선형모형(General linear model), 즉 회귀모형(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단기간의 기상 인자를 예측하고자 한다. 종속변수 Y에 대해 p개의 독립변수 Xi의 가법적 선형모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유산이 안전하게 보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문화유산은 그 가치가 손상되면 복원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안전하게 보존·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관리와 효율성 측면에서 현재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으로 주목되고 있는 것이 기후변화이다.
문화유산이 위치한 지역의 위험요인 두 가지는? 지속 가능한 관리와 효율성 측면에서 현재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으로 주목되고 있는 것이 기후변화이다. 전 세계의 많은 문화유산이 다양한 자연재해에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자연적 위협에 따라 문화유산이 위치한 지역의 위험요인은 재난 위험과 열화 위험이라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화재, 홍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위험은 많은 분야에서 공통된 주제이지만 열화 위험은 문화유산이 위치한 지역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위험의 본질과 원인을 식별하여 위험 수준을 결정할 때 어려운 점은? 이러한 과정 중 가장 중요한 단계는 위험의 본질과 원인을 식별하여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험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문화재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다르며 변수가 다양하고 이질적이다.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치를 포함하여 분석해야 하므로 과정이 단순하지 않다. 따라서 위험 분석의 어려움을 줄이는 효율적인 방법이 수립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tterjee, S. and Price, B., 1997, Regression analysis by example. WILEY, New York. 

  2. Jacob, D., 2001, A note to the simulation of the annu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water budget over the baltic sea drainage basin. 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77, 61-73. 

  3. Jacob, D., 2009, Regional climate models: Linking global climate change to local impacts. Encyclopedia of Complexity and Systems Science, 7591-7602. 

  4. Jacob, D., Elizalde, A., Haensler, A., Hagemann, S., Kumar, P., Podzun, R., Rechid, D., Remedio, A.R., Saeed, F., Sieck, K., Teichmann, C. and Wilhelm, C., 2012, Assessing the transferability of the regional climate model REMO to different COordinated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EXperiment (CORDEX) regions. Atmosphere, 3(1), 181-199. 

  5. Jung, J., Jin, S. and Park, M.S., 2008, Precipit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linear regression method.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6), 1093-1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M.N., Lim, B.A., Lee, M.S. and Jung, S.Y., 2017,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ical and particulate matter(TSP) on the Beopjusa temple and Seonam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4), 283-295. (in Korean with Englich abstract) 

  7. Leissner, J., Kilian, R., Kotova, L., Jacob, D., Mikolajewicz, U., Brostrom, T. and Ashley-Smith, J., 2015, Climate for culture: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future indoor climate in historic buildings using simulations. Heritage Science, 3(1), 38. 

  8. Qian, K., Sun, J., Chen, H. and Zhang, J., 2016, Visual analysis method for cultural heritage site risk assessment. Journal of Visualization, 19(3), 503-514. 

  9. Sabbioni, C., Brimblecombe, P. and Cassar, M., 2010, The atla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uropean cultural heritage: Scientific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ies. Anthem Press, London & New York. 

  10. Sohn, K.T., 1998,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data.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34(3), 497-5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Waller, R., 1994, Conservation risk assessment: a strategy for managing resources for preventive conservation. Studies in Conservation, 39(2), 12-15. 

  12. Wilks, D.S., 2011,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New York. 

  13. Yoon, S., 2016, Generating high resolution of daily mean temperature using statistical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5), 1215-1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Yun, H., Um, M.J., Cho, W. and Heo, J.H., 2009,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6), 465-4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