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범계 대학생의 SNS 소통 행태 및 인식 탐색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n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S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 : Focused on KAKAOTALK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27 - 37  

박선희 (한남대학교 교직부) ,  김성미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 대학생들이 보편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 하나인 카카오톡 환경에서 나타나는 소통 행태와 활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86명의 사범계 대학생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10명에게 심층면담조사를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카카오톡은 대학생에게 공적 사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을 하고, 자신의 의견, 생각, 존재 자체를 표현하는 보편적인 도구이지만, 여전히 면대면 소통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카카오톡 환경이 대학생의 삶, 즉 일상의 생태계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미지를 조정, 관리하고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소통의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그들은 카카오톡을 통하여 심리적으로는 외로움을 해소하거나 자신을 지지하는 힘을 얻기도 하였으며, 공적 또는 사적 단톡방 용도에 따라 소통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세대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안에서 느끼는 인지심리학적 변인을 비교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의 차원에서 디지털 문화 리터러시 지침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e out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use in KAKAOTALK,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mixed 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of survey about 86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 10 of them.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 상용화된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사범계 대학생들의 구체적인 SNS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카카오톡 활용 탐색을 통해서 이들의 디지털 문화를 더 잘 이해하고, 추후 바람직한 디지털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다.
  •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의 카카오톡에 대한 소통행태와 인식을 심도 깊게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질적연구의 절차는 크게 준비, 자료수집, 자료 분석과 해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범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소통 행태와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86명을 대상으로 3주간 행태(5문항), 커뮤니케이션(4문항), 활용 인식(2문항)을 포함한 설문조사로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후 4주간 10명 학생에게 추가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이고 개별적인 사례를 발견하고 기술하는 질적 연구를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보듯이 SNS, 카카오톡의 활용은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영상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고 공감을 느끼는 것과 관련있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를 들여다보고 카카오 활용에 대한 인식으로는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아야 하며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소통 방식은?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소통(communication) 방식을 살펴보면, 컴퓨터, 메신저,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매체 중심의 소통이 면대면 소통보다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디지털 매체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는 기존에 존재해오던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 상에 구현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활발한 인적 네트워크를 온라인에 형성하고 있다[1,2].
스마트폰 중독, 사용시간, 대인관계 문제가 성별에 따라 다른가? 또한 공감능력을 비롯하여 스마트폰 중독, 사용시간, 대인관계 문제 각각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3]. 여성은 남성에 비해 허구의 대상에 깊게 몰입하고 동일시하는 ‘상상하기’와 타인의 정신적 고통을 함께 경험하는 ‘개인적 고통’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프로필 사진이나 현재 상태의 표기, 사진이나 동영상 공유를 통해 자기노출의 표현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는데 이는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가? 모바일을 통한 폐쇄형 SNS의 경우에는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특정 집단과의 공유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모바일을 통한 의사전달의 기능을 넘어 프로필 사진이나 현재 상태의 표기, 사진이나 동영상 공유, 또는 카카오스토리 및 게임과의 연동 등도 가능하게 하여 자기노출의 표현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다[24]. 특히 자신이 방문한 맛 집 또는 관광지 사진 게시, 자신이 구매하거나 받은 선물을 게시하는 등 구성원의 응집도가 높고, 관계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기 때문에 게시 내용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도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카카오톡의 사용동기를 사회적, 감정적, 실용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들 사용동기를 매개로 이용자의 감정 상태와 자기노출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면 자아존 중감과 외로움이 사회적 동기 및 감정적 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동기와 실용적 동기가 자기노출의 도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S. Jung. (2012). The Evolution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tal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0), 147-154. 

  2. S. J. Lee & J. H. Yeon. (2013). Analyz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SNS Behavior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Education, 17(1), 1-8. 

  3. P. P. Rau, Q. Gao & Y. Ding. (2008). Relation between level of intimacy and lurking in online social net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6), 2757-2770. 

  4. S. S. Kim & J. A. Bae. (2014).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SNS Communication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Facebook and Twitter.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1(4), 97-139. 

  5. K. P. Hong & H. S. Jeo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1), 34-67. 

  6. M. J. Lee & K. S. Ko. (2013).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Features of Smartphone Use by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9), 301-310. 

  7. H. J. Kim, S. M. Kim, J. W. Kim & S. J. Park. (2007). Digital Fun! Interesting makes valu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8. I. K. Kim, S. W. Park & H. M. Choi.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637-648. 

  9. Y. K. Kim. (2011).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hanges in Human Networks -. Focusing on Twitter. Journal of Humanities Collection of Writings, 26, 165-184. 

  10. B. H. Jun.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Affecting Factors of SNS on Learner's Attitude and Performance : Focused on University Cla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27-36. 

  11. S. H. Lee & J. W. Kim. (2016). Dominant communication Service change caused by interaction between diverse entitied : a case study of Kakaotalk. The e-Business Studies, 17(3), 251-271. 

  12. M. J. Choi & Wi. G. Kim.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Use Motivation,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NS Mobile Marketing Services Focused on the "KakaoTalk PlusChingu.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 33(4), 85-110. 

  13. K. Y. Jang & J. S. Oh. (2013). A Study on Platform Strategies of Korean First Mobile Instant Messenger KakaoTalk.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4), 49-56. 

  14. R. Chuan & T. K. Kim. (20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ssenger Usability through User Research between China and Korea - Focused on GUI and User Research of KakaoTalk and WeChat. Journal of Digital Design, 16(4), 11-20. 

  15. J. Y. Kim & M. Y. Kim. (2013). A Study on the Two Sided Market of Mobile Service Platform : Focused on the KaKaoTalk Cases.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3(4), 147-173. 

  16. S. Y. Lee & J. H. Kim. (2016).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atigue while Communicating via Mobile Phone : The Case of Kakao Talk Us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3(4), 255-303. 

  17. J. T. Kwak, Y. J. Cheon, S. H. Oh., S. G. Choi, I. S. Lee & J. W. Kim. (2012). Why people feel stressful in using mobile social network from socio-technical perspective based on KAKAOTALK user survey data. Korean Management Review, 41(6), 1405-1434. 

  18. J. Y. Lee, J. S. Hong & J. H. Eune. (2013). A study on the types of multiple identity based on Kakaotal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6(4), 181-204. 

  19. S. M. Hong & S. H. Kim. (2013). Research on SNS user behavior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 Proceedings of HCI conference of Korea, 759-762. 

  20. S. Y. Bae. (2015).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for the Vitalizations of Youth Cultur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Report. 

  21. M. S. Yoon & W. K. Park. (2014).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3), 208-236. 

  22. H. M. Cheon. (2014). The Strategies for Healthy Soci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N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Focused on the Metropolitan College.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4(3), 93-102. 

  23. G. H. Han & I. H. Yi.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on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4), 683-697. 

  24. B. H. Jung & H. K. Kim. (2016). Self-Disclosure on Mobile Instant Messenger: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Loneliness and Motives for Using KakaoTalk. Productivity Review, 30(2), 169-196. 

  25. B. H. Jung & J. H. Bae.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rust in MIM, Attitude toward Emoticon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Emoticons in Kakao talk.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0), 311-325. 

  26. H. Y. Yang. (2017). A Study on Emotional Communication by Emoticon Context -Focusing on Emoticon used in Kakao Talk-.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8(3), 237-248. 

  27. M. S. Choi. (2017).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9), 79-87. 

  28. K. B. Jo & J. N. Paik. (2018).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33-140. 

  29. Y. S. Yu. (2018). The Study on the Convergenc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25-133. 

  30. H. J. Seo & Y. J. Huh. (2018). Analysis of Interrelation between Image and Text as Fusion Relationship-Through Advertising Production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5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