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적응에 대한 쟁점과 과제 - 지역사회 정착제도를 중심으로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Adaptation of Korean Society for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Community Settlement syst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101 - 113  

권성철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남북, 북미정상회담을 기점으로 급변하는 남북관계의 역사적 변화의 시점에서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적응에 대한 지역사회 정착제도를 중심으로 주요 쟁점과 과제를 재조명하고 그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탈북여성의 삶의 특성과 탈북경험을 반영한 법과 제도적지원의 필요성, 안정적 정착지원을 위한 취업교육 및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 거점형태의 민관 협력거버넌스 구조의 통합적인 지원시스템의 필요성과 개인의 욕구에 맞춘 별도의 맞춤형 사회적응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결과는 통일시대를 앞두고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정착의 정책과 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제도개선의 방향성 제시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정착을 위한 지원체계들의 지역 내 역할정립을 위한 요인들을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of the North Korean woman defectors focusing on the Community settlement system of Korean society in the time of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 - Korean relations starting from the recent summit talks between North and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탈북여성의 한국 적응실태, 그리고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법적, 제도적 요인에 관해 문헌고찰, 실태 현황 및 선행연구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탈북여성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안과 이론적 논쟁의 부족함을 해결하고자 했다.
  •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정책지원이나 법적근거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연구들을 분석하면서 탈북여성들이 남한사회에서 부적응하는 요인들을 찾고자 노력했다.
  • 이 연구를 통해 탈북여성의 한국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역사회 정착제도 및 취업, 자립 지원정책에 대한 쟁점과 과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논란의 시기에 탈북여성의 적응실태와 지역사회 정착제도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탈북여성의 한국 적응실태, 그리고 탈북여성의 한국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법적, 제도적 요인에 관해 문헌고찰, 실태 현황 및 선행연구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의 사전적 개념은? 북한이탈주민의 개념은 사전적의미로 보면,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표기되고 있다.
성비의 불균형, 결혼시기가 늦어지거나 비혼 여성이 증가하는 등의 사회적 현상이 나타난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특히 젠더적관점에서의 여성의 신분변화와 사회적 지위 등의 위상이현격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여성의 급격한 노동시장으로의 진출로 인한 저출산, 남아선호사상과 가부장제,남녀차별이 당연시되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오랜 기간 동안 살아왔다[1]. 이로 인한 성비의 불균형, 결혼시기가 늦어지거나 비혼 여성이 증가하는 등의 사회적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에서 탈북여성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탈북여성에 대한 취업 지원정책의 한계와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과 차별, 그리고 낙인으로 인한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보면, 탈북여성이 남성에 비해 취업에 대한 높은 진로장벽을 경험하고 있으며, 월수입이 현저히 낮은 직종 혹은 유흥업소 등의 저임금 노동현장에 종사할 수밖에 없는 현상 등 고용형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O. G. Kim & E. S. Yoon. (2018). An autoethnography of a nursery principal in her fifties growing up with experiences of gender discrimina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Erik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98-197. 

  2. O. S. Cho & H. S. Bang. (2018). The Effects of Daily Life Stress on the Learning Care Style of Multicultural Par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 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73-180. 

  3. Ministry of Unification. (2016). Name of Web Site. www.unikorea.go.kr 

  4. J. R. Park. (2006). Study on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 A contextual approach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EwhaWomans University. 

  5. C. Y. Song. (2011). Current Situation of Economic Activities of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6. Found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2011, "Basic analysis of the life situation of defectors in North Korea." 

  7. C. G. kang. (2010). North Korean Refugee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2(1), 261-290. 

  8. S. P. Lee & H. J. Kouh. (2014). Building of Group Program for Female Saeteomin's Early Settlement,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 329. 

  9. doopedia. Name of Web Site. http://www.doopedia.co.kr 

  10. I. S. Kim & K. M. Cho. (2017). A Fusion Program of Tea Ceremony and Applications to Redu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45-450. 

  11. Ministry of Education. (2016).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Name of Web Site. www.moe.go.kr 

  12.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on, Name of Web Site. www.mois.go.kr 

  13. H. S. Ha. (2016). Evaluation of the Project to Support North Korean Refugees,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2. 

  14. Korea Hana Foundation. (2015). North Korean defectors' economic activity survey, 122-124. 

  15. Korea Hana Foundation. (2015). North Korean defectors' economic activity survey, 94-95. 

  16. S. Y. Jang. (2015). Current Status and Issues on Legal System of North Korean Refugees Settlement, Unification and Law, 24, 69-75. 

  17. Ministry of Unification. (2017). Name of Web Site. www.unikorea.go.kr 

  18. K. S. Lee. (2003).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Korea Institute of National Unification, 423. 

  19. J. H. Ahn, & M. S. Min. (2003). An Analysis of Women's Education Experience in the North Korea Education System, The Women's Studies, 65, 211-244. 

  20. Y. A. Cho & W. T. Jeun & Yu J. Ja & J. s. Um (2005).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 3-year Follow-up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2), 468-469. 

  21. I. J. Yoon. (2000). The actual condition and analysis of defectors' problem, Unification argument, 18, 3-30. 

  22. K. Y. Lee & T. W. Eom.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nd helplessness depression,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1, 217-234. 

  23. H. Y. Ahn. (2002). The Displace people from the North Korea The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and devoloping of support system for the Displaced people,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37, 374-379. 

  24. M. K. Son. (2002). A study on North Korean Refugees Adaptation in South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79. 

  25. Cluver L, Bray R, & Dawe. (2007). A,"Monitoring the worst form of child labour, trafficking and child commercial sexual exploitation." In: Dawe A, Bray R Van der Merwe A(eds), Monitoring Child Well-Being: A south african Rights-Based Approach, Cape Town; HSRC Press, 247-268. 

  26. I. S. Kim. (2008). An Exploration on the Reconstruction of "Self-Sufficiency" Concept: Focused on the Self-Sufficiency of the Prostitut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2, 93-199. 

  27. M. S. Jang & A. R. Lee. (2010). A Study on Building Economic Independence among Women Refugees of North Korea through Employment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 airs, 22(2). 

  28. G. C. Kim. (2015). A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s to Local Community-Focusing on North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9(1), 312. 

  29. Y. S. Lee, H. W. Ku & I. Y. Han. (2011). Systematic Reviews of North Korean Refugees: Women's distinguishable experience,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3(2), 149-183. 

  30. M. J. Chin. (2008). Gender Differences in Value Orientations, Levels of Socio-Cultural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n the Par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5(1). 

  31. Y. S. Jeon. (2012). Employment Promotion and Barriers for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Korea Women's Research Institute, 10(2), 107-128. 

  32. M. J. Lee, H. I. Chang & J. Y. Jun. (2016).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A Mediated Moderation Model,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3), 460. 

  33. M. R. Kim. (2005). The Effect of the Perceived Adjustment Stress and the Coping Resources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Comparison between Men and Wome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 

  34. H. K. Kim. (2010). The relations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155. 

  35. S. J. Park.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Society of Refugees in Korea, Monthly Labor Review, 10, 107. 

  36. Y. J. Kim. (2017). Convergent Research on Balancing Experience of Work and Child car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85-395. 

  37. S. B. Lee & J. H. Kim. (2012).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omen's Human Rights on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Korean Balanced Development Studies, 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