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와 창업의도에 관한 사회적 영향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133 - 143  

김유신 (동국대학교 기술창업학과) ,  성창수 (동국대학교 기술창업학과) ,  박주연 (동국대학교 기술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부모, 지인, 개인의 창업경험과 취업 및 창업동아리 경험 등 사회적 영향관계가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을 이수한 공과대학생 중 향후 진로를 취업으로 선택한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공학계열 학생들의 취업 선호 이유로 안정적인 수입, 기업만의 시스템 경험, 부모님의 취업선호, 자금부족과 창업에 대한 지식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을 선호한 학생들의 사회적 영향관계 중 지인의 창업경험에 따라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과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및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과 창업교육의 학습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한 창업교육 관련 향후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preferring employment and the social influencing factors to improve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ocial influences such as parents', acquaintances, and individuals' experience of s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된 멘토링, 커뮤니티, 현장 실습,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 경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사회에 도전할 수 있는 용기와 의지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정부지원 및 학교 기관의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수그룹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인터뷰를 통해 창업을 회피하고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특징과 사회적 영향관계의 요인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창업회피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창업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고취 및 창업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이에 공과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창업을 회피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기술기반을 장려할 수 있는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과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있어 창업과 취업 중 창업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공과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영향을 주는 사회적 관계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택한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주제와 관련되는 면접 자료를 정리하고 요인별로 개념과 범주를 축약하는 코딩을 실시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의한 요인을 발견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설문에 의한 일반적인 통계분석보다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관련 요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생이 취업 선호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진로선택 이유와 창업과 관련된 사회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8-12명으로 구성된 그룹과 깊이 있는 인터뷰를 수반하는 평가기법이다.
  • 본 연구는 공과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을 이수한 공과대학생 중 향후 진로선택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창업회피와 의도 등 주제와 관련된 심도 깊은 인터뷰를 통해 현상에 대한 요인을 구조화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이들은 연령층은 20대이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과대학생들의 창업교육을 통한 진로선택 과정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창업의도가 아닌 취업의도를 선택하게 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추후 창업에 대한 의도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추후 창업의도가 있는 학생들에게 창업 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과 개인의 창업경험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를 위해 간단한 질문 목록을 만들고, 사전에 개발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피면담자가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방형 질문은 피면담자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 또한 질적 인터뷰의 결과와 같이 지인의 창업경험이 추후 창업을 진로로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단순한 통계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연구가설과 모형을 기반으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과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있어 창업과 취업 중 창업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공과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영향을 주는 사회적 관계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택한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부모, 지인, 개인의 창업경험과 취업 및 창업동아리 경험 등 사회적 영향관계가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결과를 객관적인 통계자료로 확인하기 위해 기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결과를 통해 유추된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을 통계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함이다. 먼저 설문대상의 인구 통계적 분석을 통해 인터뷰에서 유추한 창업의도의 영향요인(부모의 창업 유무, 지인창업 유무, 개인 창업경험, 개인취업 유무, 창업 동아리 활동경험)의 유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고, 차이검증을 통해 각 영향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과대학생들의 창업교육을 통한 진로선택 과정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창업의도가 아닌 취업의도를 선택하게 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추후 창업에 대한 의도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추후 창업의도가 있는 학생들에게 창업 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과 개인의 창업경험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Table 2는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관한 내용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택한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부모, 지인, 개인의 창업경험과 취업 및 창업동아리 경험 등 사회적 영향관계가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과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호하고 창업을 회피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경향은 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성공에 대한 불확실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창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주변 지인들의 부정적인 선호도 등으로 인해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택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공과대학생들의 취업 선호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공학계열 졸업자들은 취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하지만, 공과대학생들의 기술, 소프트웨어, 바이오 지식 등 공과 대학생들의 기술기반 지식과 잠재성을 사업화하고 기술 혁신형 창업으로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는 곧 낮은 취업률과 경제성장 등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공과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을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창업을 회피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기술기반을 장려할 수 있는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적 연구방법이란 무엇인가? 질적 연구방법이란 현상을 계량화, 범주화하고 이론화하기 이전의 본연의 상태로, 최대한 있는 그대로 또는 그 본래 입장에서 접근하는 연구 방법이다[32]. 주제와 관련되는 면접 자료를 정리하고 요인별로 개념과 범주를 축약하는 코딩을 실시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의한 요인을 발견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설문에 의한 일반적인 통계분석보다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관련 요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의 경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특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대학생들의 취업 선호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인 인식과 주변 지인들의 영향은 대학생의 취업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2]. 최근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은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중소기업 중에서 현재 자신의 능력에 견주어 자신들에게 이익이 많은 선택지를 비교하면서 사회적인 인식과 경제적인 이익이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경향이 크다[3]. 이러한 경향은 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성공에 대한 불확실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창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주변 지인들의 부정적인 선호도 등으로 인해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택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 J. Yoo, E. S. Park, L. T. Oh & W. H. Kim. (2016). The Determinants of Youth Job Preference Change.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1), 1-19. 

  2. O. J. Lim. (2012). Analysis of Factors Affects Vocational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3(2), 19-49. 

  3. H. S. Park. (2013).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areer choice and job preference of adolescents. A master's thesis at Hanyang University. 

  4. School to Work Transition Information Survey System. (2016),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http://swiss.kedi.re.kr/ 

  5. S. G. Walter, K. P. Parboteeah & A. Walter. (2013). University departments and self-employment intentions of business students: a cross-level analysi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7(2), 175-200. 

  6. H. J. Jeon & J. W. Park. (2014). A Study on Change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on Wome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2), 85-96. 

  7. I. S. Lee, O. S. Kim & Y. A. Rha.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Growth Factors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nd Food serv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4), 25-39. 

  8. A. Shapero & L. Sokol. (1982),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The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72-90. 

  9. S. H. Lim & J. M. Nam. (2016). Republic of Korea Entrepreneurship Ecosystem Status and Recognition Research: Focusing on Entrepreneurs, Entrepreneurs Preliminary, Student Center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atus and Recogni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6), 175-183. 

  10. J. E. Lee, J. W. Kang & C. K. Kim. (2017). Do Pers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ffect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32(3), 193-214. 

  11. T. U. Ahn, J. H. Park & I. H. Lee. (2017).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s Creativity Capacity to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The Conference on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Summer, No.1-13, 8, 490-502. 

  12. L. Francisco, D. Urbanob & M. Guerrerobm. (2011), Regional Variations in Entrepreneurial Cognitions: Start-up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Spain,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3(3-4), 187-215. 

  13. W. S. Siu & E. S. C. Lo. (2013). Cultural contingency in the cognitive mod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7(2), 147-173. 

  14. N. Bosma, J. Hessels, V. Schutjens & M. V. Prag. (2011). Entrepreneurship and role model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33(2), 410-424. 

  15. S. D. Chang & Z. H. Lee. (2013). A Study on the Influencing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Business Start-up Intention. The e-Business Studies, 14(3), 37-53. 

  16. J. H. Yang.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extual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30(1), 25-45. 

  17. C. H. Yook & I. O. Jeon. (2014). Effe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661-676 . 

  18. K. H. Jung & C. S. Sung. (2017).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Trai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179-187. 

  19. J. H. Lee. (2015).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 and promotion of business start-up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2015.11, (pp. 57-89). 

  20. B. J. Bird. (1993). Demographic Approaches to Entrepreneurship : The Role of Experience and background, In Katz. J. A. and Brockhaus(Eds.). R. H. Advances in Entrepreneurship, Firm Emergence and Growth, Greenwich, CT : JAI Press. 

  21. N. F. .Krueger & D. V. Brazeal. (1994),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91-104. 

  22. L. Kolvereid. (1996) Prediction of employment status choice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1, 47-57. 

  23. F. Lafontaine & K. Shaw. (2016). Serial Entrepreneurship: Learning by Doing? Journal of Labor Economics, 34(S2), 217-254. 

  24. Y. J. Lee & G. C. Jeong. (2015).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tartup Time - Who and When will Start up?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57-2377. 

  25. J. Y. Park & C. S. Sung. (2016). The Effect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3), 87-96. 

  26. K. S. Ha. (2012).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m Business Attitude And Fear on Business Failure.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45, 59-74. 

  27. S. Ali, L. Wei & W. Wenjun. (2012).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ina and Pakistan.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3(11), 13-23. 

  28. S. C. Chen, H. C. Hsiao, J. C. Chang & C. M. Chou. (2017). The Affect of off-Campus Internships Program on Universities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Capa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7(6), 449-455. 

  29. W. G. Cho, H. M. Jung & C. Y. Park. (2016).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the Foundation Intention of Start-up Student Groups. Korea Region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33, 69-89. 

  30. J. H. Cho & C. J. Kim. (2015).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18(4), 53-75. 

  31. Y. S. Lee. (2017). A Study on Startup Education Programs in Design Junior Colleges Centering around Startup Association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12(2). 

  32. Y. H. Jo. (2004). Educational anthrop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Anthropology of education, 1-21. 

  33. R. Linan & Y. W. Chen. (2009). Development and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to Meas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3), 593-617. 

  34. Y. G. Ku, M.S. Suk & O. S. Cho. (2018). Converged Influence of Individual, Parental and Social Support Factors to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83-192. 

  35. I. C. Yoon. (2017). Effect on startup mentor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artup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265-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