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체육수업활동과 스마트폰 의존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of Youth and Smartphone Depend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355 - 362  

조건상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  이영익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스포츠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교체육활동이 스마트폰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수집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중학교 2학년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의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차이는 체육수업에 열정적으로 참여할수록 스마트폰 의존도는 낮아졌다. 둘째, 청소년의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활동, 교우관계 그리고 교사관계에서 체육수업 활동시간이 많을수록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낮을수록 학습활동이나 학교규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y of youth, smartphone depend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data set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reanaly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교체육활동이 스마트폰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교육방안을 모색과 올바른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의 개선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원자료의 성격이 2011년도의 자료임을 감안할 때 현 시점과의 시기적인 차이는 현실성에 반영하는데 있어 제약이 따를 수 있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교체육활동이 스마트폰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교육방안을 모색과 올바른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의 문제점에 대한 처방적인 방법이 아닌 예방적인 측면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에 따른 결과가 예방적 측면의 대안적 수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며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교체육활동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여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고자 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첫째로, 청소년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스마트폰의존도의 차이, 둘째로, 청소년의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셋째로,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에서의 생활적응이 청소년시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는? 생애주기 상 청소년 시기는 가족과의 시간보다는 또래들과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구성체인 가족, 학교, 사회의 공간 중 학교에서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학생의 신분으로 생활되어지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생활적응은 청소년시기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 시기란? 청소년 시기는 신체적으로 급속성장기에 따라 성인기의 신체적 발육상태를 보이고, 자아관의 독립과 해방에 대한 욕구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만큼 기성세대의 가치와 충돌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그런 만큼 ‘질풍노도의 시기’, ‘위기의 시기’를 맞고 있는 청소년에게는 또래관계나 학교사회관계에 있어 사회적, 정서적 인성을 형성할 수 있는 학교교육프로그램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1].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상황에 처했을때 처방시스템이 이루어져아 하는 이유는? 3배 이상인 것으로 그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8]. 뿐만 아니라 중독성과 더불어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이나 와이파이셔틀과 같은 사이버 폭력과 같은 사태는 스마트폰 사용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하고 있으며, 무분별한 정보제공에 의한 음란물이나 유해성의 문제들을 생각해 볼 때, 이에 따른 시급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9]. 이러한 점을 비추어볼 때, 정신적으로 미성숙단계라고 할 수 있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중독상황에 처했을 때, 학교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바 이에 대한 대안적인 처방시스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 W. Ladd, B. J. Kochenderfer & C. C. Coleman.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2. M. Shin, S. H. Jeon & M. S. Yoo. (2012).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3(1), 81-92. 

  3. G. W. Lee & M. A. Won. (2013).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School Happin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8(1), 147-161 

  4. M. H. Kwon. (2015).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Record and Friendship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4), 123-132. 

  5. J. G. Parker. & S. R.. Asher. (1987). Peer relations and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6. Statistics Korea. (2013). 2012 youth smartphone usage rate. Daejeon : Statistics Korea. 

  7. Y. M. Kim & D. B. Kim. (2016).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3), 133-162. 

  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Results of diagnosis of internet . smartphone usage habits in 2013. Sejong: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9. C. H. Lee. (2013). A Study on Policy Measures to Protect Youths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inquiry of health examination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11. B. S. Kim. (2006).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7(4), 348-357. 

  12. S. Y. Hong, Y. J. Yang, H. K, Pa가 & B. S. Kim. (2006). Validation of Korean Youth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KYPAQ).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5), 161-173. 

  13. S. H. Lee et al. (2002). A Study on the Usage and Influence of Youth Mobile Phone(2002-1). Seoul: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14. S. M. Moon. (1977). A Study on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 Guidance Research, 4, 33-47. 

  15. S. P. Lee. (1990). Analysis of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chool adaptation level.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 Seoul, Korea 

  16. B. S. Miin. (1991).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and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 Seoul, Korea 

  17. M. Arnold. (2003). On the phenomenology of technology: The "Janus-faces" of mobile phones. Information and Organization, 13(4), 231-256. 

  18. S. J. Lee.(2014).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Status and Risk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2), 203-212. 

  19. H. W. Chung & S. D. Oh. (2008). The Difference between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nternet Addiction of a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601-614. 

  20. X. Lu, J. Watanabe, Q. Liu, M. Uji, M.. Shono & T. Kitamura. (2011). Internet and mobile phone text-messaging depend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dysphoric mood among Japanese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702-1709. 

  21. H. J. Seo. (2003). Relationships among Sport Participation, Peer Relations and Deviant Behaviors in Youth.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3), 143-152. 

  22. H. J. Seo. & H. Ok(2015). Relationships among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elf-control, Smart Phone Addi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You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0. 535-549 

  23. M. K. Ji. Y. M. Kim & S. Y. Kim.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ports Activity Eng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Smart Phone Addiction and Antisocial Tendency for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3), 271-282. 

  24. H. G. Sun & J. S. Beak. (2015). The effects of particiating in sport club activity for depression, aggressiveness and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extent of smartphone addic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0(1), 107-123. 

  25. Y. S. Kim. & S. Y. Lee. (2017). A Study of Leisure Sport, Smart 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and School Adapt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6), 666-682 

  26. D. H. Kim. J. D. Han. & K. J. Park. (2014). The Relationship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Exercise hours of the After-School Exerci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2), 51-64. 

  27. S. J. Tang. (2017).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Addict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in You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0. 465-474. 

  28. S. Y. Kim. S. H. Lee & H. S. Heang (2012). A Study of Smartphone Adoption: Considering User Traits.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1(3), 147-159. 

  29. K. O. Kim & J. K. Seo.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Socoety of the Sociology Sport, 22(3), 125-140. 

  30. B. K. Park. (2004).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fulfillment of You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1, 633-644. 

  31. G. S. Cho. (2016). The Mediation Effect of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Korea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4), 189-200. 

  32. I. K. Chang & G. S. Cho. (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Medit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2(1), 93-104. 

  33. J. U. Lee. J. S. Jung & Y. S. Kim. (2014).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131-146. 

  34. H. M. Cho & H. J. Eum. (2014). The Analysis of Character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After School Sport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9(4), 125-137. 

  35. D. H. Park & J. S. Baik. (2014). School Adjust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by Types of Adolescent Smart - Phone User on the Basis of Motivation -. 12(3), 37-47. 

  36. J. H. Lee & H. W. Jang. (2016).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Smartphone on Adaptability to Tourism High School Lif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31(3), 249-275. 

  37. Williams, A L., & Merten, M. J. (2008). A Review of Online Social Networking Profiles by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Adolescence, 43(17), 253-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