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Youth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3, 2019년, pp.15 - 27  

이신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조명선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out-of-school youths. Methods: This was a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using the out of school youth Panel Survey(2017).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consisting of 318 participants with using des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독’이라는 용어는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어2016년부터 스마트폰 중독 대신에 ‘과의존’으로 변경하여 사용되고 있으므로(고영삼과 신성만, 2017)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용어를‘스마트폰 과의존’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 자기통제력, 진로장애 정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7년도에 실시된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우울, 자기통제력, 진로 장애와 불안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과 진로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조사(2017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이차분석을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함에 있어 우울, 자기통제력, 진로장애 정도가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이 고려된 후에도 스마트폰 과의존에 독립적인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318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조사(2017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함에 있어 우울, 충동성, 진로 불안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7년도에 실시된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우울, 자기통제력, 진로 장애와 불안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정경제 수준 은 주관적인 것으로 ‘매우 못 산다’에서 ‘매우 잘 산 다’로 측정된 값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독이란 단어 대신 과의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3%로 성인에 비해 2배 정도 높으며, 매년 과의존율이 높아지고 있다. ‘중독’이라는 용어는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어2016년부터 스마트폰 중독 대신에 ‘과의존’으로 변경하여 사용되고 있으므로(고영삼과 신성만, 2017)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용어를‘스마트폰 과의존’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우울이란?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 과의존은 우울, 충동성, 자기통제력 부족, 불안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준, 2015;진미령과 신성만, 2016; 최현석 등, 2012). 우울은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정서로 인식되고 있지만 마음의 부정적인 상태이다. 우울은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들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 과의존은 우울, 충동성, 자기통제력 부족, 불안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준, 2015;진미령과 신성만, 2016; 최현석 등, 2012). 우울은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정서로 인식되고 있지만 마음의 부정적인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영삼, 신성만. (2017). 인터넷 중독 대체용어로서 인터넷 과의존 개념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 김경숙, 이덕남. (2019). 대학생의 자기통제 및 충동성이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6), 183-188. 

  4. 김상림. (2018).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관계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 및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7(2), 91-102. 

  5. 김은영. (2000).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219-240. 

  6. 박근수, 김민. (2016). 학교 밖 청소년과 학업청소년의 건강실태 비교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2), 17-26. 

  7. 박재숙. (2011). 농어촌 청소년의 진로위기가 우울 및 회피적 대처를 통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청소년학연구, 18(8), 21-43. 

  8. 배주미. 정익중. 김범구. 김영화(2010). 취약 청소년 자립지원 모형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9. 신성만, 송용수, 김정진, 오준성. (2018). 청소년의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지연할인과제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2), 345-363. 

  10. 여성가족부. (2015).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11. 오동록. (2019). 국내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학업중단 청소년의 삶과 의식에 대한 종단조사 2017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62, 51-76. 

  12. 유진이, 신효민. (2018).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를 위한 경험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6(2), 29-36. 

  13. 윤철경 외 6명. (2017).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연구. 한국청소년정책 연구보고서, 1-676. 

  14. 이상준. (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 요인의 비교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7(2), 55-79. 

  15. 이창호, 김경희, 장상아. (201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11. 

  16. 이하나, 양승목. (2018).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62(5), 175-214. 

  17. 이희길. (2006). 범죄성의 세대 간 전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18. 전영실, 김지영, 박성훈. (2013). 비행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학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정익중, 김세완, 신희주, 박미경. (2017). 흡연, 음주, 인터넷 게임 이용의 공존이환이 청소년의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40, 145-171. 

  20. 조규필, 황순길, 김명찬. (2015).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 청소년상담연구, 23(2), 61-85. 

  21. 진미령, 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31-53. 

  22. 최선우, 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65-383. 

  23.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2). 스마트폰 중독이 전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2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25. 한국정보화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2017 SUS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6. Daruna JH, Barnes PA.(1993). A neurodevelopmental view of impulsivity. In W. G. McCown, J. L. Johnson, & M. B. Shure (Eds.), The impulsive client: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23-3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7. Derogatis LR. (1977). SCL-90 Manual-1. Baltimore, MA: John Hopkins University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28. Grasmick HG, Title CR, Bursick RJ, Armeklev BJ.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1), 5-29. 

  29. Grunbaum JA, Lowry R, Kann L, Pateman B. (2000). Prevalence of health risk behaviors among Asian American/Pacific Islande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7(5), 322-330. 

  30. Swanson JL., Daniels, KK, Toker, KM. (1996).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19-24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