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선택활동 관련 학술지 연구의 동향분석
An Analysis of Trends in Children's Free-choice Activities in Academic Journal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5, 2018년, pp.85 - 99  

김근혜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rticles and research trends in children's free-choice activities in major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8 to 2017. Methods: Registered research papers in academic journals from 1998 to 2017 for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연구 필요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 자유선택활동에 관한 연구들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들 연구들에서 밝힌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주제와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 유아교육의 중점인 놀이중심 영유아교육의 한 측면인 자유선택활동의 실질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자유선택활동 연구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리고 다양한 흥미영역과 주제로 운영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시기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의 학문적, 실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인 연구 활동이 이어지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이해 및 고찰을 위해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자유선택활동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아교육은 놀이중심의 교육이며 자유선택활동은 놀이와 가장 밀접한 분야이므로 이를 기초로 다양한 놀이 관련 연구들이 확장될 수 있도록 연구동향에 대한 검토작업(성태제, 1998)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놀이는 영유아에게 어떤 곳인가? 놀이는 영유아의 삶이다. 놀이는 영유아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재미있고 안락한 삶의터전이다. 영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거침없이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기쁨, 행복,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면서 세상과 소통하며 성장한다.
영유아는 놀이를 통해 어떻게 성장하는가? 놀이는 영유아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재미있고 안락한 삶의터전이다. 영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거침없이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기쁨, 행복,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면서 세상과 소통하며 성장한다. 놀이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도구이며(김지영, 2010; Rubin, 2001; Sumaroka & Bornstein, 2008) 행복하고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Cannella, 2002).
우리나라의 영유아교육기관의 실태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자유선택활동은 일과의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가장 핵심적인 시간으로 영유아들에게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힘과 자율성을 길러주기 위한 환경적 조건을 마련하는 등의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김미선, 2012).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문서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2013)에는 5개 영역에 걸쳐 유아의 주도적인 경험과 놀이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유아의 발달 특성 및 경험을 고려하여 놀이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며, 놀이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누리과정은 교육과정 영역, 편성과 운영,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놀이를 강조하며, 영유아교실 내에서의 놀이 중심 교수 학습 원리의 적용은 자유선택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민정 (2016). 유아교사를 위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33(3), 189-211. doi:10.24211/tjkte.2016.33.3.189 

  2. 곽향림 (2012). 구성주의 교실에서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유아들의 노력. 유아교육학논집, 16(1), 401-424. 

  3. 권선영, 정지현, 박선미 (2017).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85-94. doi:10.5762/KAIS.2017.18.1.85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 곽승주, 이승숙, 김혜숙 (2016). 학술지 논문 분석을 통한 영유아 놀이의 최근 연구동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3), 349-374. 

  6. 권미나, 엄정애 (2011).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가입행동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2(2), 137-156. 

  7. 김경철, 이병비 (2001).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5세아의 혼잣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23-141. 

  8. 김미래 (2015). 교사관련 국내 유아음악교육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9(3), 387-415. 

  9. 김미선 (2012).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민우, 강승지, 이연선 (2017).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7(4), 479-499. doi:10.18023/kjece.2017.37.4.020 

  11. 김지영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자유선택활동 운영과의 관계. 아동교육, 19(2), 39-55. 

  12. 김희진 (2017). 놀이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 육아지원연구, 12(3), 5-23. doi:10.16978/ecec.2017.12.3.001 

  13. 나은숙 (2005). 유아에게 자유선택활동이 지니는 의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나은숙, 양옥승 (2007).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doi:10.18023/kjece.2007.27.1.011 

  15. 나은숙, 한수정 (2011).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5(1), 59-78. 

  16. 서민희, 안선희 (2001).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5(1), 71-77. 

  17. 서현아, 권말순 (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놀이개입 유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27-248. 

  18. 서혜정, 변미영 (2012).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아동학회지, 33(3), 149-175. doi:10.5723/KJCS.2012.33.3.149 

  19. 성태제 (1998).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 신수경, 지성애 (2008).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 전략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3), 329-350. 

  21. 박미경, 엄정애 (2010).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0(5), 325-349. doi:10.18023/kjece.2010.30.5.015 

  22. 백경순 (2013).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393-411. 

  23. 양옥승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 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24. 양옥승 (2004).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교육. 서울: 학지사. 

  25.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 (2002). 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1), 143-165. 

  26. 엄은나, 서동미 (2015).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01-128. doi:10.14698/jkcce.2015.11.101 

  27. 원계선, 박서연, 장수지 (2013). 어린이집 자유놀이의 제한 규칙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7(2), 46-62. 

  28. 유지현 (2004). 실내?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대전광역시 유치원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유수경, 황해익 (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93-314. 

  30. 윤은영, 이정수 (2008).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아동복지연구, 6(2), 19-41. 

  31. 이경민, 윤혜경, 변소연 (2016). 유아행복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사와 부모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2), 497-514. doi:10.18023/kjece.2016.36.2.021 

  32. 이명조, 이정화, 최란 (2014). 혼잣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451-469. 

  33. 이소윤 (2015).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놀이규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순자, 유수옥 (201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6), 127-156. 

  35. 이승은, 서현 (2010).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유선택활동 후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227-249. 

  36. 이시자 (2010).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5), 263-289. doi:10.18023/kjece.2010.30.5.012 

  37. 이정환, 김희진 (2007). 영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서울: 파란마음. 

  38. 이혜원 (2015).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90-112. 

  39. 장상옥 (2017). 유아 경제교육 관련 연구 동향: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1(1), 407-431. 

  40. 장연주 (2016). 유아 놀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2), 473-496. doi:10.18023/kjece.2016.36.2.020 

  41. 정설희 (2005). 유아놀이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희영, 방승미, 유희진 (2012).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2(5), 277-296. doi:10.18023/kjece.2012.32.5.013 

  43. 최현주, 김정원 (2012).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2000년-2011년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4), 113-135. 

  44. 최혜순 (2014).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195-223. 

  45. 황윤세 (2006). 유아놀이에 관한 학술지 연구논문(1995-2004)의 경향 분석. 아동교육, 15(2), 21-36. 

  46. Alleyne, T. D. (2011). Free play: Through the eyes of a child and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AZ. 

  47. Butler, C. (2012). Child rights: The movement, international law, and opposition. West Lafayette, IN: Purdue University Press. 

  48. Cannella, G. S. (2002).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혜령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97). 

  49. Essa, E. L. (2003).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4th Ed.). NY: Delmar. 

  50. Hanley, G. P., Tiger, J. H., Ingvarsson, E. T., & Cammilleri, A. P. (2009). Influencing preschooler's free-play activity preferences: An evaluation of satiation and embedded reinforcem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2(1), 33-41. doi:10.1901/jaba.2009.42-33 

  51. Harper, L. V., & Huie, K. S. (1998). Free play use of space by preschoolers from diverse backgrounds: Factors influencing activity choice. Merrill-Palmer Quarterly, 44(3), 423-446. 

  52.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doi:10.3102/00346543060004549 

  53. Lubeck, S. (1996). Deconstructing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teacher prepar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2), 147-167. doi:10.1016/s0885-2006(96)90003-4 

  54. Rubin, K. H. (2001). Children's play: Educational functi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12, 1729-1733. doi:10.1016/B0-08-043076-7/02352-4 

  55. Sumaroka, M., & Bornstein, M. H. (2008). Play. In M. M. Haith & J. B. Benson (Eds.), Encyclopedia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p. 553-561). Cambridge, Ma: Academic Press. doi:10.1016/b978-012370877-9.0012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