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및 atg5 유전자 제거 섬유아세포에서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 및 이들의 정량적 분석
Ultrastructur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autophagic vacuoles in wild-type and atg5 knockout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1 no.5, 2018년, pp.208 - 218  

최수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 ,  전푸름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 과학과) ,  허양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 ,  이진아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 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가소화작용은 세포 내 물질들을 이중막 구조의 자가포식체를 형성하여 라이소좀(lysosome)과 융합한 후 이들을 분해시키는 과정이다. 자가소화작용은 유전적, 세포적, 생화학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 분석 및 정량적 분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초 자가소화작용이 진행되는 환경과 기아상태로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한 환경의 세포에서 각각 자가포식체 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G5가 결핍된 섬유아세포와 정상 섬유아세포에서의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 하였다. 정상 섬유아세포에서는 초기 패고포어, 초기 및 후기 자가포식체, 오토라이소좀과 같은 자가포식체의 단계별 미세구조를 확인한 반면, ATG5가 제거된 섬유아세포에서는 이중막 구조가 완성되지 않은 자가포식체 구조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ATG5가 자가포식체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다시 한번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자가포식체 미세구조 분석법을 활용하여 확장된 폴리글루타민을 가지는 N-말단 헌팅틴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헌팅턴병의 세포학적 모델에서 단계별 자가포식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헌팅틴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에서 후기 자가포식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헌팅틴 돌연변이 단백질 응집체 제거에 필요한 자가소화작용 활성화를 위해서 자가포식체와 라이소좀의 결합 단계를 촉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에 대해서 유추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전자현미경을 활용한 자가포식체의 단계별 미세구조 관찰 및 정량 분석이 다양한 인간 질병모델에 적용되고, 자가소화작용과 연관된 병리 메커니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ophagy is a cellular process whereby cytosolic materials or organelles are taken up in a double-membrane vesicle structure known as an autophagosome and transported into a lysosome for degradation. Although autophagy has been studied at the genetic, cellular, or biochemical level, systematic ult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소화작용에서 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G5 유전자가 없는 자가소화작용 결핍 섬유아세포와 정상세포에서의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자가소화작용 단계별로, 다양한 형태의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알려진 헌팅턴병과 자가소화작용 연관성 분석을 위해서 확장된 폴리글루타민을 가진 헌팅틴 유전자의 N-말단 돌연변이 단백질을 발현시킨 세포모델에서 자가소화포식체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고 정량하였다.
  • 따라서, 앞서 구축한 자가포식체 미세구조 분석/정량법을 적용하여 150 개의 폴리글루타민을 가지는 비정상적인 N-말단 헌팅틴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와 대조군으로 16 개의 정상적인 폴리글루타민을 가지는 헌팅틴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에서 자가포식체 미세구 조를 비교하여 관찰하여 이들을 정량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헌팅턴 유전자의 N-말단에 150 개의 글루타민이 EGFP(N-terminal of huntingtin (Nhtt)와 융합된 EGFP-Nhtt (150Q) 플라스미드(plasmid)와 대조군으로 정상 길이의 16개의 폴리글루타민이 헌팅틴 유전자의 N-말단에 붙은 EGFP-Nhtt (16Q)를 HEK 세포에 발현하여, 이들 세포에서 전자현미경을 통해 자가포식체의 구조를 분석하고, 정량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정상 섬유아세포와 자가소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G5 결핍 섬유아세포에서 자가 소화작용 단계별 자가포식체를 비교 분석하여 미세 구조 분석을 통해 자가포식체의 구조 분석 및 정량적 분석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상 섬유아세포와 ATG5 결핍 섬유아세포에서 자가포식체의 단계별 미세구조 분석을 위해 전자현미경을 이용 하여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패고포어, 초기 자가포식체, 후기 자가포식체, 오토라이소좀의 단계별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고, 자가포식체의 수를 정량화 하였다.
  • 정상 섬유아 세포에서 관찰한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를 분석 및 검증하기 위해서 자가소화작용의 핵심 유전자인 ATG5 유전자 결핍 섬유아세포에서 자가포식체 존재 여부 및 미세구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ATG5는 ATG12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자가포식체의 막을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설 설정

  • (A) Representative TEM micrographs showing various autophagy steps in cytoplasm were acquired from WT MEFs in control (a) and starved condition (c). (b and d) High power zoomed images of marked area in a and c, respectably. (B) Representative TEM micrographs showing various autophagy steps in cytoplasm were acquired from ATG KO MEFs in control (e) and starved condition (g).
  • (B) Representative TEM micrographs showing various autophagy steps in cytoplasm were acquired from ATG KO MEFs in control (e) and starved condition (g). (f and h) High power zoomed images of marked area in e and g respectably. (B) EM images in ATG5 KO MEF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소화작용은 무엇인가? 자가소화작용(autophagy)은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세포내 물질 및 세포 소기관들을 이중막 구조의 자가포 식체(autophagosome)로 감싸 라이소좀(lysosome)과 융합하여 세포내 물질을 분해하는 작용이다. 자가소화작 용은 세포내 항상성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분해 작용 이며, 이들 경로의 잘못된 조절은 퇴행성 뇌질환, 암, 감염질환, 당뇨와 같은 다양한 인간 질병과 연관되어 있다.
TEM의 단점은 무엇인가?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은 세포생물학 연구에서 1940년대 초부터 활용된 중요한 영상(imaging) 기술로서, 세포소기관 및 그외 특수한 구조 등을 포함하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고해상 구조 분석이 가능하다.8,12 투과전자현미경은 세포의 이미지를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많은 수의 세포에서 데이터 값을 얻기에 제한이 있고, 또한 고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관찰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광학현미경을 사용했을 때와는 다르게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게 되면 광학이나 형광현미경이 분석하지 못하는 세포소기관과 구성 분자 등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가소화작용은 어떤 단계로 구분 가능한가? 자가소화작용의 가장 큰 특징은 자가포식체의 형성과 분해이다. 자가소화작용은 형태학적으로 자가포식체의 초기단계로서 이중막 구조의 패고포어(phagophore) 형성, 자가포식체 완성과 이들과 라이소좀과 결합에 의한 오토라이소좀(autolysosome) 형성 및 분해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가소화작용은 각 단계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자가소화작용 연관 유전자 (ATG, autophagy-related gene)와 여러 단백질들에 의해 조절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I. Dikic and Z. Elazar, Nat. Rev. Mol. Cell Biol., 19(6), 349-364 (2018). 

  2. J. Bestebroer, P. V'Kovski, M. Mauthe, and F. Reggiori, Traffic, 14(10), 1029-41 (2013). 

  3. Y. Murakami, S. Notomi, T. Hisatomi, T. Nakazawa, T. Ishibashi, J. W. Miller, and D. G. Vavvas, Prog. Retin. Eye Res., 37, 114-40 (2013). 

  4. S. T. Shibutani and T. Yoshimori, Cell Res., 24(1), 58-68 (2014). 

  5. H. Nakatogawa, Essays Biochem., 55, 39-50 (2013). 

  6. D. Glick, S. Barth, and K. F. Macleod, J. Pathol., 221(1), 3-12 (2010). 

  7. A. B. Birgisdottir, T. Lamark, and T. Johansen, J. Cell Sci., 126(Pt 15), 3237-47 (2013). 

  8. D. J. Klionsky, K. Abdelmohsen et al., Autophagy, 12(1), 1-222 (2016). 

  9. S. R. Yoshii and N. Mizushima, Int. J. Mol. Sci., 18(9) (2017). 

  10. N. Mizushima, T. Yoshimori, and B. Levine, Cell, 140(3), 313-26 (2010). 

  11. S. Barth, D. Glick, and K. F. Macleod, J. Pathol., 221(2), 117-24 (2010). 

  12. J. H. Hurley and E. Nogales, Curr. Opin. Struct. Biol., 41, 211-216 (2016). 

  13. E. L. Eskelinen, F. Reggiori, M. Baba, A. L. Kovacs, and P. O. Seglen, Autophagy, 7(9), 935-56 (2011). 

  14. Y. Ohsumi, Cell Res., 24(1), 9-23 (2014). 

  15. E. L. Eskelinen, A. R. Prescott, J. Cooper, S. M. Brachmann, L. Wang, X. Tang, J. M. Backer, and J. M. Lucocq, Traffic, 3(12), 878-93 (2002). 

  16. E. L. Eskelinen, C. K. Schmidt, S. Neu, M. Willenborg, G. Fuertes, N. Salvador, Y. Tanaka, R. Lullmann-Rauch, D. Hartmann, J. Heeren, K. von Figura, E. Knecht, and P. Saftig, Mol. Biol. Cell., 15(7), 3132-45 (2004). 

  17. N. Mizushima, A. Yamamoto, M. Hatano, Y. Kobayashi, Y. Kabeya, K. Suzuki, T. Tokuhisa, Y. Ohsumi, and T. Yoshimori, J. Cell. Biol., 152(4), 657-68 (2001). 

  18. J. A. Lee, C. S. Lim, S. H. Lee, H. Kim, N. Nukina, and B. K. Kaang, J. Neurochem., 85(1), 160-9 (2003). 

  19. M. Hariri, G. Millane, M. P. Guimond, G. Guay, J. W. Dennis, and I. R. Nabi, Mol. Biol. Cell, 11(1), 255-68 (2000). 

  20. S. R. Carlsson and A. Simonsen, J. Cell Sci., 128(2), 193-205 (2015). 

  21. C. Kishi-Itakura, I. Koyama-Honda, E. Itakura, and N. Mizushima, J. Cell Sci., 127(Pt 18), 4089-102 (2014). 

  22. Y. Nishida, S. Arakawa, K. Fujitani, H. Yamaguchi, T. Mizuta, T. Kanaseki, M. Komatsu, K. Otsu, Y. Tsujimoto, and S. Shimizu, Nature, 461(7264), 654-8 (2009). 

  23. D. B. Munafo and M. I. Colombo, J. Cell Sci., 114(Pt 20), 3619-29 (2001). 

  24. N. Mizushima, Nat. Cell Biol., 20(5), 521-527 (2018). 

  25. S. Saha, D. P. Panigrahi, S. Patil, and S. K. Bhutia, Biomed. Pharmacother., 104, 485-495 (2018). 

  26. F. Guo, X. Liu, H. Cai, and W. Le, Brain Pathol., 28(1), 3-13 (2018). 

  27. B. Levine and G. Kroemer, Cell, 132(1), 27-42 (2008). 

  28. D. D. Martin, S. Ladha, D. E. Ehrnhoefer, and M. R. Hayden, Trends. Neurosci., 38(1), 26-35 (2015). 

  29. B. Khalil, N. El Fissi, A. Aouane, M. J. Cabirol-Pol, T. Rival, and J. C. Lievens, Cell. Death Dis., 6, e1617 (2015). 

  30. J. Nah, J. Yuan, and Y. K. Jung, Mol. Cells., 38(5), 381-9 (2015). 

  31. M. Arrasate and S. Finkbeiner, Exp. Neurol., 238(1), 1-11 (2012). 

  32. M. Renna, M. Jimenez-Sanchez, S. Sarkar, and D. C. Rubinsztein, J. Biol. Chem., 285(15), 11061-7 (2010). 

  33. C. G. Towers and A. Thorburn, EBioMedicine, 14, 15-2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