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음원 시장의 수직계열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분석
The Diachronic Analysis on the Vertical Integration in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0, 2018년, pp.267 - 278  

김희경 (성균관대 사회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음원 시장의 주요 특징인 수직계열화의 시기별 유형과 이것이 음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콘텐츠와 유통이 수직 계열화된 현상은 해외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수직계열화의 주체가 후방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전이시킬 목적과 의도의 여부에 따라 해당 현상에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충분히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분석결과 국내 음원 시장은 이통사 및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직계열화된 시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00년 디지털 음원 시장의 활성화부터 최근의 스트리밍 시장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음원 시장을 주도했던 주체는 이통사, 대기업, 제작사, 기획사 등 다양해지고 있으며, 콘텐츠와 유통, 소비 단계에 걸쳐 계열사 및 특수관계사를 통해 수직계열화된 대기업이나 이통사가 음원 시장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사는 자사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제공한 다양한 결합서비스와 부가서비스, 요금 제도를 통해 국내 음원 시장에 주류 서비스로 자리매김했으며, CJ 등 콘텐츠 계열 대기업은 자사 콘텐츠 기획 제작력,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온 오프라인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특성상 시장 지배력을 보유한 ISP 사업자나 콘텐츠 계열 대기업이 CP 시장에 지배력을 전이하는 행위로 파악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ertical integration,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appears in each period and how these phenomena affect the digital music market.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is a vert...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학에서는 독점사업자가 수직 결합하려는 유인이 다른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전이하려는 목적인지 아니면 효율성 증진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고자 했다. 이미 수직 결합되어 있는 사업자의 사후적인 동기가 아니라 수직결합 자체의 사전적인 동기가 문제였던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음원시장의 변화 과정과 주요 특징을 이통사와 대기업, 기획사의 수직계열화라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국내 스트리밍 시장은 이통사의 수직계열화가 시기별로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ISP 시장의 지배력이 인터넷 시장 즉 CP로 전이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된다.
  •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음원시장의 수직계열화 현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시기별 구분은 계열사 및 특수관계사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혹은 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수직계열화를 활성화시킨 개별 주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시기를 기준으로 삼았다.
  • 시기별 구분은 계열사 및 특수관계사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혹은 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수직계열화를 활성화시킨 개별 주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시기를 기준으로 삼았다. 해당 시기에 수직계열화 현상의 주요 특징은 무엇이며, 이와 같은 현상이 해당 시기의 음원 시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은 각종 보고서 및 논문, 기관의 데이터 등 문헌 자료를 통해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E 원칙을 인터넷 시장에 적용했을 때 어떤 이점이 있는가? ICE 원칙은 상품 A와 상품B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을 경우 보완재 시장 B의 경쟁이 격화되면 가격이 하락하고 수요가 증가되어 시장 A의 독점사업자는 시장B에서의 경쟁 활성화로부터 편익을 얻기 때문에 시장 B에서의 경쟁을 제한할 유인이 약하다는 것이다. 이를 인터넷 시장에 적용하면, 콘텐츠, 응용 프로그램 시장에서 자사보다 더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사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시장경쟁 활성화가 증가되어 전체 서비스의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커지며 시장 지배적 ISP는 경쟁 CP에 대한 차별을 통한 지배력 전이 대신 개방적 구조의 유지를 통해 보완관계를 지향함으로써 자사의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되는 것이다[15].
음원시장에서 음원 서비스 업체의 영향이 절대적인 이유는? 디지털 음원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통신사와 유통사, 기획사를 중심으로 특수 관계사와 계열사가 중심이 되는 전형적인 수직계열화는 음원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 보급의 확대로 음원시장에서 BtoC 유통 플랫폼 즉 음원 서비스 업체의 영향은 절대적이다. 통신사와 대기업, 포털 등은 음원서비스 업체와의 수직계열화로 음원의 할인뿐만 아니라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해 무료 혜택을 주고, 결재 서비스 등에서 혜택을 제공하는 등 계열사 및 특수 관계사의 형태 혹은 전략적 협력으로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
수직계열화된 국내 음원 시장의 문제점은? 미국이나 영국 등과 달리 제작과 유통, 즉 콘텐츠와 플랫폼의 전 영역에 걸쳐 수직계열화된 국내 음원 시장은 신규 사업자의 해당 시장 진입을 저해하고, 나아가 시장의 유효 경쟁과 소비자 복리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다소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음원 시장의 수직계열화가 음악 서비스에 대한 낮은 지불 의사[1-5]와 불평등한 수익 배분[4][6][7], 장르의 획일화와 같은 문제[4][6][9-13]를 초래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기덕, "신한류 아이돌 음악과 한국대중음악시장의 생태계 균형에 관한 연구 2000-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157-167, 2015. 

  2. 박정은, "국내 음악산업의 디지털 음악제작과 유통구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9-53, 2018. 

  3. 양승규, 임학순, 김재범, "음원사용자들의 서비스 플랫폼 전환의도에의 영향요인," 문화경제연구, Vol.19 No.3, pp.29-56, 2016. 

  4. 유재원, 형지현, 이재영, "다운로드/스트리밍이 선호되는 디지털 음원 특성에 대한 고찰," 마케팅연구, 제33권, 제1호, pp.1-21, 2018. 

  5.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음악산업백서, 2015. 

  6. 임현석, 정재민, "소유에서 접속의 시대로,"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7. 장대철, 안병훈, "디지털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의 가격전략, 수익배분 및 시장구조,"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4권, 제1호, pp.133-152, 2009. 

  8. 정지영, "한국 온라인 음악시장의 음악사용료 징수규정과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료 수익구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호, pp.429-438, 2015. 

  9. 김민용, 박재홍, 김현모, 온라인 디지털음원 유통업체의 추천시스템 구조분석 및 파급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 문화부 연구보고서, 2012(12). 

  10. 김현모, 김민용, 박재홍, "음원 추천시스템이 온라인 디지털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6, No.3. pp.49-68, 2014. 

  11. 이도엽, 양은영, "소유의 음악에서 접속의 음악으로: 온라인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한국대중가요 스탠더드(standard)의 변화,"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7호, pp.63-81, 2017. 

  12. 정지윤, 김명준, "디지털 음악 시장을 통해 본 한국 대중가요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1025-1032, 2017. 

  13. 한찬희, "이동통신사의 콘텐츠 상품으로 전락한 대중음악," 대중음악, 제7호, pp.36-74, 2011. 

  14. OECD, Internet Traffic Prioritisation: An Overview, DSTI/CCP, 2007. 

  15. J. Farrell and P. Weiser, "nodularity, vertical integration and open aceess policies: towards a convergence of antritrust and regulation in the internet age," Harvard Journal on Law and Technology, No.85, 2003. available at http://scholar.law.colorado.edu/articles/539. 

  16. B. van Schewick, "Towards an Economic Framework for, Network Neutrality Regulation," Journal of Telecommunications and High Technology Law, Vol.5, No.2, 2007. 

  17. 이수일, 김정욱, 정보통신산업의 망 중립성 규제 연구: 경쟁과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08-12, 한국개발연구원, 2008. 

  18. KOCCA, 음악산업백서(Music Industry White Paper 2011), 2011. 

  19. 삼일회계법인, 디지털 음악 시장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삼일회계법인 연구보고서, 2011. 

  20. 이한호, 장선구, 이성순, "이동통신사업자의 온라인 음악시장 진입 전략에 관한 경제적 분석," 산업조직연구, 제14권, 제2호, pp.133-173, 2006. 

  21. 장대철, 안병훈, "디지털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의 가격전략, 수익배분 및 시장구조,"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4권, 제1호, pp.133-152, 2009. 

  22. 전자신문, "2006 IT산업 결산 콘텐츠," 2006.12.6. 

  23. 와이즈인포, "모바일음원 CP 현황분석 리포트," 2006. 

  24. 백재영, "음악시장 지각변동...이통사 '뜨고' 전문포털 주춤," Dicon Insight, 2006(5). 

  25. 김기덕, 최석호, "창조경제시대의 한국대중음악산업 수직계열화와 생산시스템 분석 2000-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4-53, 2014. 

  26. 송치웅, 김왕동, 박미영, 김은희, 최효민, 창조산업의 기술 및 수요기반 미래전망: 엔터테인먼트산업(방송.드라마, 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 2012-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27. 한겨레, "콘텐츠 만들어봐야 굶는다," 2009.1.14. 

  28. 미디어오늘, "만년 '을' 콘텐츠사업자 살릴 수 있을까," 2009.5.21. 

  29. 박병규, "디지털음악시장을 통해 살펴본 국내 대중가요의 변화,"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제13권, 제2호, pp.177-187, 2012. 

  30. 안소욱,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 토론문, 문화체육관광부, 2011.7.19. 

  31. 머니투데이, "데이터중심요금제, 콘텐츠 빅뱅 시대 열릴까," 2015.5.25. 

  32. 남경필 의원실,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자료, 2012(10). 

  33. KOCCA, 2016음악산업백서, 2017. 

  34. 경향신문, "[갑의 횡포 을의 눈물]이동통신 계열사 음원유통 독점, 가격승인 문화부 전권... 음악인들은 저가 정책에 고통," 2013.6.12. 

  35. P. Resnick and H. R. Varian, "Recommender System,"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0, No.3, pp.56-58, 1997. 

  36. J. B. Schafer, J. A. Konstan, and J. Riedl, "Recommender System in E-Commercem,"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Electronic Commerce, pp.158-166, 1999. 

  37. R. Burke, "Hybrid Recommender Systems : Survey and Experiments," User Modeling and User Adapted Interaction, Vol.12, No.4, pp.331-370, 2002. 

  38. J. K. Kim, Y. H. Cho, W. J. Kim, J. R. Kim, and J. Y. Shuh,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Procedure for Internet Shopping Suppor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 Vol.1, No.3, pp.301-313, 2002. 

  39. 한국경제, "IT트렌드, 춤추는 음원 시장," 2016.10.24. 

  40. 이데일리, "음원시장 재편 수직계열화로 업계 양극화 우려," 2018.3.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