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소섭취와 우울증상 수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ent Intake and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4 no.4, 2018년, pp.283 - 297  

박혜량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현주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혜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and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 total of 5,761 subjects with depression were selected for the main data analysis from 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and were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1일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KDRI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을 토대로 에너지와 22가지 영양소인 수분,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가불포화지방산,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콜레스테롤,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 PHQ-9의 설문에 응답한 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상 수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그리고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와 우울증상 수준에 대한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HQ-9는 전 세계 10여 개 이상의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고 Han 등(2008)에 의해 한국에서도 충분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였으며, 절단점이 연구되었다.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0∼9점을 저우울증상군(Low Depressive Symptoms group, LDS group), 10∼27점을 고우울증상군(High Depressive Symptoms group, HDS group)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성별, 연령, 개인 소득수준, 가구 소득수준, 교육 수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에너지와 22가지 영양소인 수분,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가불포화지방산, n-3 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콜레스테롤,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의 LDS와 HDS 두 집단의 1일 평균 영양소섭취량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Table 3, Table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월간 음주율, 스트레스 인지율, 현재 흡연율, 1주일간 걷기 일수,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건강설문조사, 검진 조사, 영양조사 중 1개 이상 조사에 참여한 10,806명중 만 19세 이상은 6,382명이었다. 이중 우울증선별 도구인 PHQ-9 조사의 응답자를 선별하였고, 이에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는 5,761명으로 선정되었다.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건강설문조사, 검진 조사, 영양조사 중 1개 이상 조사에 참여한 10,806명중 만 19세 이상은 6,382명이었다. 이중 우울증선별 도구인 PHQ-9 조사의 응답자를 선별하였고, 이에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는 5,761명으로 선정되었다.

데이터처리

  • 우울증상 수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복합표본 χ2 -test를, 건강행태는 복합표본 χ2 -test 또는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처리하여 오즈비를 구하였으며, 건강상태와 영양소 섭취는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 또는 복합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여성의 우울증 유병률이 높은 이유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HDS군, LDS군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상 수준이 더 높았는데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Kahng & Kwon 2008; Kim & Kim 2016). 한국 여성의 우울증 유병률이 높은 이유는 가사를 하는 여성은 매일 똑같은 일을 반복하지만 그에 따른 적합한 평가가 어렵고, 직업을 가진 여성의 경우 직장과 가정에서 과중한 요구에 시달리지만 보수나 승진에서 성차별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Nam & Choi 2000; Shin 2001). 연령별로는 우울증상 수준이 중년층(30∼49세)에서 가장 높았고, 장년층(50∼64세)과 노년층(65∼74세)의 비율도 비교적 높았다.
우울증의 증상 중 신체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네 번째 ‘인지 증상’은 우울증상이 심할수록 자신에게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인지를 형성한다. 다섯 번째는 ‘신체 증상’ 을 보이는데 심한 두통, 소화불량, 반복적인 어지러움 등을 느낀다(Comer 2013; Oh 2015).
우울증 발생에 지방산과 비타민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우울증과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은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국가별 신체조건이나 식사습관 그리고우울증 측정 방법과 우울증을 정의하는 방법들이 다르므로(Mulsant & Ganguli 1999; Roh 등 2010; Park & Kim 2011) 상호 비교는 적절하지 않을 수있다. 하지만 영양소 섭취는 우울증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우울증상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Rogers 2001; Tolmunen 등 2003; Rao 등 2008), n-3계 지방산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Tolmunen 등 2003), 티아민과 니아신 같은 비타민 부족이 우울증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Bjelland 등 2003; Gilbody 등 2007). 이밖에도 탄수화물과 지방산, 콜레스테롤, 엽산이 우울증상과 관계가 있다고 연구되었고(Wurtman 등 1980; Young 1993; Bruinsma & Taren 2000), 질 좋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섭취는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었다(Kim 등 2008; Skarupski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nda RF, Williamson DF, Escobedo LG, Mast EE, Giovino GA, Remington PL (1990): D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smoking. A national perspective. JAMA 264(12):1541-1545 

  2. Bell IR, Edman JS, Morrow FD, Marby DW, Mirages S, Perrone G, Kayne HL, Cole JO (1991): B complex vitamin patterns in geriatric and young adult in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J Am Geriatr Soc 39(3):252-257 

  3. Bjelland I, Ueland PM, Vollset SE (2003): Folate and depression. Psychother Psychosom 72(2):59-60 

  4. Bonnet F, Irving K, Terra JL, Nony P, Berthezene F, Moulin P (2005a): Anxiety and depression are associated with unhealthy lifestyle in patients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therosclerosis 178(2):339-344 

  5. Bonnet F, Irving K, Terra JL, Nony P, Berthezene F, Moulin P (2005b): Depressive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unhealthy lifestyles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J Hypertens 23(3):611-617 

  6. Bourre JM (2006): Effects of nutrients (in food)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update on dietary requirements for brain. Part 1: micronutrients. J Nutr Health Aging 10(5):377-385 

  7. Brown GL, Ebert MH, Goyer PF, Jimerson DC, Klein WJ, Bunney WE, Goodwin FK (1982): Aggression, suicide, and serotonin: relationships to CSF amine metabolites. Am J Psychiatry 139(6):741-746 

  8. Bruinsma KA, Taren DL (2000): Dieting, essential fatty acid intake, and depression. Nutr Rev 58(4):98-108 

  9. Choi SW, Peek-Asa C, Sprince NL, Rautiainen RH, Flamme GA, Whitten PS, Zwerling C (2006): Sleep quantity and quality as a predictor of injuries in a rural population. Am J Emerg Med 24(2):189-196 

  10. Comer RJ (2013): Fundamentals of abnormal psychology. 7th ed. Worth Publishers. New York 

  11. Diehl DJ, Gershon S (1992): The role of dopamine in mood disorders. Compr Psychiatry 33(2):115-120 

  12. Gilbody S, Lightfoot T, Sheldon T (2007): Is low folate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 meta-analysis and exploration of heterogeneit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1(7):631-637 

  13. Grubb BP (1990): Hypervitaminosis A following long-term use of high-dose fish oil supplements. Chest 97(5):1260 

  14.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2008):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49(2):218-223 

  15. Hemenway D, Solnick SJ, Colditz GA (1993): Smoking and suicide among nurses. Am J Public Health 83(2):249-251 

  16. Holahan CJ, Moos RH, Holahan CK, Cronkite RC, Randall PK (2004): Unipolar depression, life context vulnerabilities, and drinking to cope. J Consult Clin Psychol 72(2):269-275 

  17. Hur JS, Yoo SH (2002):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3:7-22 

  18. Hyun IS (2017): The influence of depressive symptoms on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military personnel of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19. Kahng SK, Kwon TY (200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epressive symptoms across lifespan. Mental Health & Social Work 30:332-355 

  20.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1993):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26(9):1129-1137 

  21. Kim JM, Stewart R, Kim SW, Yang SJ, Shin IS, Yoon JS (2008): Predictive value of folate, vitamin B12 and homocysteine levels in late-life depression. Br J Psychiatry 192(4):268-274 

  22. Kim YJ (2017):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ietary intake by diagnosis experience of depression in Korean adults.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3. Kim YM, Kim HY (2016):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alysis. Korean Nursing Science Society. Seoul. p.299 

  24. Korea Statistics (2016). Disease classification frequency corporal wage status.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3111. Accessed January 10, 2018 

  25. Lee H, Cho KS, Yoon J, Park HS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depression, diagnosis, and treatment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Health Promot 14(1):9-16 

  26. Mulsant BH, Ganguli M (1999): 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depression in late life. J Clin Psychiatry 60 Suppl 20:9-15 

  27. Nam JJ, Choi EJ (2000): Korean women's health and policy based on nationwide survey on health and nutrition. The Second Symposium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28.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2). Available from: https://www.nimh.nih.gov/index.shtml/. Accessed January 10, 2018 

  29. Oh SJ (2015): Depressive symptoms dimensions as predictor of response to positive psychotherapy. Masters degree thesis. Daegu University 

  30. Park JH, Kim KW (2011):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4(4):362-369 

  31. Park MS, Park KA (2014): The differences of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depression,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life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5(1):344-355 

  32. Park SY (2014): Associations with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 Sports Sci 25(2):249-258 

  33. Peveler R, Carson A, Rodin G (2002): Depression in medical patients. BMJ 325(7356):149-152 

  34. Prousky JE (2010): Vitamin B3 for depression: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thomol Med 25(3):137-147 

  35. Rao TS, Asha MR, Ramesh BN, Rao KS (2008): Understanding nutrition, depression and mental illnesses. Indian J Psychiatry 50(2):77-82 

  36. Rogers PJ (2001): A healthy body, a healthy mind: long-term impact of diet on mood and cognitive function. Proc Nutr Soc 60(1):135-143 

  37. Roh MS, Jeon HJ, Kim H, Han SK, Hahm BJ (2010):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in South Korea. Acad Med 85(8):1384-1390 

  38. Rush AJ (2007): The varied clinical presentation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J Clin Psychiatry 68 Suppl 8:4-10 

  39. Shin KR (2001):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J Korean Acad Nurs 31(3):391-400 

  40. Skarupski KA, Tangney C, Li H, Ouyang B, Evans DA, Morris MC (2010): Longitudinal association of vitamin B-6, folate, and vitamin B-12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over time. Am J Clin Nutr 92(2):330-335 

  41.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282(18):1737-1744 

  42. Stockmeier CA (1997): Neurobiology of serotonin in depression and suicide. Ann N Y Acad Sci 836:220-232 

  4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25-712 

  44. Tolmunen T, Voutilainen S, Hintikka J, Rissanen T, Tanskanen A, Viinamaki H, Kaplan GA, Salonen JT (2003): Dietary folate and depressive symptoms are associated in middle-aged Finnish men. J Nutr 133(10):3233-3236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Global burden of mental disorders and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coordinated response from health and social sectors at the country level: report by the Secretaria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Mar. Report No.:A65/10 

  4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Murray CJ, Lopez AD. Global health estimates 2014 summary tables DALY by cause, age and sex, 2000-201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en. Accessed January 10, 2018 

  47. Wurtman RJ, Hefti F, Melamed E (1980): Precursor control of neurotransmitter synthesis. Pharmacol Rev 32(4):315-335 

  48. Yoo HK (2017): A study on health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by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degree thesis. Ulsan University 

  49. Young SN (1993): The use of diet and dietary components in the study of factors controlling affect in humans: a review. J Psychiatry Neurosci 18(5):235-244 

  50. Young SN (2007): Folate and depression--a neglected problem. J Psychiatry Neurosci 32(2):80-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