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관련 요인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Factors Related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Elderly - Analysis of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4 no.4, 2018년, pp.344 - 360  

박경애 (가야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habits, chronic disease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group aged over 65 years by analyz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 total of 1,510 subjects were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습관, 만성질환 요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량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 상태 인식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다방면의 관련 요인을 직접적 그리고 포괄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 인식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습관, 만성질환 요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비교하고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 년도 원시자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한 횡단적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습관, 만성질환 요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hmidt 2012)이 정의한 주관적 건강상태란? 주관적 건강상태는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웰빙, 삶의 질의 예측변수 및 실제 건강과의 관련성이 높아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좋은 변수로 보고되어져왔기 때문에(Sugisawa & Sugisawa 1995; DeSalvo 등 2006), 주관적 건강상태는 전반적인 건강의 타당한 측정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 관련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Menec & Chipperfield 2001;Lee & Lee 2013).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정의되며(Schmidt 2012),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단순하고 유용한 건강지표로(Murray 등 1982), 특히 노인 관련 연구에서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고 지각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측정은 중요하다.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므로(Yeom & Jung 2014; Moon 2017),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파악은 중요하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전반적인 건강의 타당한 측정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 관련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웰빙, 삶의 질의 예측변수 및 실제 건강과의 관련성이 높아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좋은 변수로 보고되어져왔기 때문에(Sugisawa & Sugisawa 1995; DeSalvo 등 2006), 주관적 건강상태는 전반적인 건강의 타당한 측정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 관련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Menec & Chipperfield 2001;Lee & Lee 2013).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정의되며(Schmidt 2012),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단순하고 유용한 건강지표로(Murray 등 1982), 특히 노인 관련 연구에서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고 지각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측정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다고 여기는 근거는? 노인에서 연령,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및 경제 상태 등 인구학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보고되어져 왔다(Yeom 등 2012;Yeun 등 2015). Oh 등(2006)의 노인 대상 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높은 연령일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평가했던 반면, Yeom 등(2012)의 연구에서는 높은 연령일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쁘게 평가했다. Kim 등(2014)과 Bae & Kim(2015)의 노인 대상 연구에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던 반면, Lee 등(2016)의 노인 대상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주관적 건강 상태에 차이가 없었다. Kim 등(2014)과 Bae & Kim(2015)의 노인 대상 연구에서 노인의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반면, Yeom 등(2012)의 노인 대상 연구 중 여성노인에서는 교육수준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노인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및 경제수준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BC, Joung H (2006): Self-rated health and its indicators: a case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8(1):38-43 

  2. Bae YH, Kim HN (2015):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e among Korean elderly: analysis of 2012 and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Integr Med 3(4):79-90 

  3. Choi JS, Ok KS, Paik HY (2006):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longevity areas: III. relation among self-rated health,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in rural elderly. Korean J Nutr 39(3):286-298 

  4. Choi YJ, Park YS, Kim C, Chang YK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J Nutr Health 37(3):223-235 

  5. DeSalvo KB, Bloser N, Reynolds K, He J, Muntner P (2006):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a meta-analysis. J Gen Intern Med 21(3):267-275 

  6.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2008):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si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49(2):218-223 

  7. Hong SY (2008):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of sedentary older adul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5(4):67-82 

  8. Jo HS, Kim BG, Lee HJ, Lee BY (2010): Perceived social support as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7(4):51-59 

  9. Jung MK, Lee KM (2011): The clustering and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he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in the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31(1):79-96 

  10. Kang YH, Kim MY, Lee E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38(1):122-130 

  11. Kim ES, Lee SK, Yoon HJ, Nam HM, Kim KM, Kwon GH (2014):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old-old elderly of more than 75-year-old -based on 2011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 Acad Ind Cooper Soc 15(7):4279-4289 

  12. Kim HY, Lee JS, Yoon JC, Chang MJ (2016):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elderly by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J Nutr Health 49(5):313-322 

  13. Kim M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e, personality, situational barrie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16(3):442-451 

  14. Ko Y, Lee IS (2009):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1-40 

  15. Lee HJ, Lee KH (2013):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tatus of Korean middle-aged womenbased on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9): 1395-1404 

  16. Lee HS (2018): Depres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with a focused on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Diet Assoc 24(2):169-180 

  17. Lee HY, Baek JT, Cho YC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J Korea Acad Ind Cooper Soc 17(10):569-581 

  18. Lee JS, Lee IS (2005): A study of impact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of the aged. J Welf the Aged 27:231-253 

  19. Lee JS, Lee SY (2015):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anxiety in elderly people-convergent approach. J Digital Convergence 13(8):401-408 

  20. Lee MA, Kim DC (2013): Predictors of Korean elderly people's self-rated health status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4(1):37-49 

  21. Lee SB, Choi HJ, Kim MJ (2015): The relationships among quality of life and stress, health-related habits and food intake in Korean healthy adults based on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6):411-422 

  22. Menec VH, Chipperfield JG (2001):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health care use among elderly Canadians. Can J Aging 20(3):293-306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Guidelines for analysis of the raw data for the 7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Accessed February 1, 2018 

  24. Moon SM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 Digit Converg 15(6):259-271 

  25. Murray J, Dunn G, Tarnopolsky A (1982): Self-assessment of health: an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Psychol Med 12(2):371-378 

  26. Nam EW, Ikeda N, Green J, Moon JY, Park MB (2008): Determi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5(5):65-77 

  27. Nam YH, Nam JR (2011):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Korean J Fam Welf 16(4):145-162 

  28. Oh S, Ko Y (2015):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elderly: focu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 support. J Korean Acad Health Nurs 26(2):140-149 

  29. Oh YH, Bae HO, Kim YS (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 Korean Gerontol Soc 26(3):461-476 

  30. Park SA, Park HA (2010): Meal regularity is associated with nutrient adequac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Korean J Health Promot 10(2):53-60 

  31. Park YH, Suh EE (2007):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37(6):941-948 

  32. Rhie SG, Choi MY, Won HR (2006): The elderly health and dietary management in Gyeonggi province II-comparison with younger old and older old-.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7(1):141-154 

  33. Schmidt M (2012):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and lifestyle behaviours in Swedish university students. Glob J Health Sci 4(4):1-14 

  34. Statistics Korea (2017a): Life expectancy at birth.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BN01&vw_cdMT_RTITLE&list_idR_SUB_OTITLE_OTIT_OECDTIT_AC&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A11. Accessed August 15, 2018 

  35. Statistics Korea (2017b):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vailable from: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9/1/index.board?bmoderead&aSeq370326. Accessed August 15, 2018 

  36. Sugisawa H, Sugisawa A (1995): Development of research on self-rated health in the United States. Nihon Koshu Eisei Zasshi 42(6):366-378 Japanese 

  3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vii-xii 

  38. Yeom DM, Jung JS (2014): Research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ing. Soc Sci Res Rev 30(4):27-50 

  39. Yeom JH, Park JS, Kim DH (2012):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 Korean Gerontol Soc 32(4):1101-1118 

  40. Yeun EJ, Kwon YM, Lee YM (2015):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J Korea Contents Assoc 16(2):200-210 

  41. Yu SJ, Kang CY, Kim YR (2015):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Korea J Health Serv Manag 9(2):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