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4, 2019년, pp.217 - 225  

원종순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전혜진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련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의 재가 노인으로,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질병, 투약, 우울, 불면증 등의 건강관련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지질 및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다. 21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으로 건강한 편이라고 평가한 경우는 78.2%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요인은 질병(OR:10.83, 95% CI:2.47-47.43), 우울(OR=2.50, 95% CI=1.20-5.18), 운동(OR=3.01, 95% CI=1.40-6.47)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체적 질병, 우울과 같은 정신 건강문제 뿐 아니라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을 고려한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Study subjects were community-dwelling elderly of 60 or more. Survey was done by using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Blood pressure, anthropometr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같은상황에서도 타인과는 다른 방식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합적 상태로 건강에 대한 지각이 일어난다[17].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건강 유지 증진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건강을 평가한 결과, 매우 건강함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건강이란 무엇인가? 주관적 건강은 개인의 다양한 측면의 건강상태를 압 축적으로 표현해주는 지표이다[7]. 주관적인 건강은 건강 행위[8], 심혈관 질환 등을 비롯한 만성 질환[9, 10, 11]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사망[12, 13] 삶의 만족도[14]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노인의 건강이 사회나 국가의 문제로 인식이 전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노인은 한 가지 질병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질병을 함께 갖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3]. 따라서 노년기는 생애 발달주기에서 건강관련 의료비용 지출이 가장 많은 시기로[4], 노인의 건강은 한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라는 인식에서 사회나 국가의 문제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 http://kosis.kr/conts/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10 [cited 2019 October 17] 

  2.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 thE1 [cited 2019 October 17] 

  3. Y. Choi, K. Shin, O. Kim, S. Ko, E. Gong, K. Kim, S. Kim, J. Shin, Y. Lee, J. Lee, D. Jeong, M. Cho, E. Hwang. The aged and health. Hyunmoonsa. 2015 

  4. J. Min.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No. 2, pp. 105-123, 2013 

  5. W. S. Kang, J. W. Moon, J. S. Park. "The relationship among abuse, self-esteem, ADL, psychosocial factor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9, No 1, pp. 153-183, 2011 

  6. N. Y. Park. Study on factors influence 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of the seniors-based on family and social participation-,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6 

  7. M, Song. The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levels for the elderly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6 

  8. Y. J. Lee. "Influence of self-rat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behavior in urba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2, pp. 81-87, 2018 

  9. W. Dong, X. F. Pan, C. Yu, J. Lv, Y. Guo, Z. Bian, L. Yang, Y. Chen, T. Wu, Z. Chen, A. Pan, L. Li; China Kadoorie Biobank Collaborative Group. "Self-rated health status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the China Kadoorie Biobank Study: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Journal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Vol. 6, No. 9, pii:e006595, 2017, DOI: 10.1161/JAHA.117.006595 

  10. R. M. van der Linde, N. Mavaddat, R. Luben, C. Brayne, R. K. Simmons, K. T. Khaw, A. L. Kinmonth. "Self-rated heal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cidence: results from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cohort in Norfolk, UK", PLoS One, Vol. 8, No. 6, e65290. 2013, DOI: 10.1371/journal.pone.0065290 

  11. W. Hu, J. Lu. "Associations of chronic conditions, APOE4 allele, stress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with self-rated health", BMC Geriatriatrics, Vol. 15, No. 137, 2015, DOI: 10.1186/s12877-015-0132-y 

  12. H. Falk, I. Skoog, L. Johansson, M. Guerchet, R. Mayston, H. Horder, M. Prince, A. M. Prina.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ion with mortality in older adults in China, India and Latin America 10/66 Dementia Research Group study", Age Ageing, Vol. 46., No. 6, pp. 932-939, 2017, DOI: 10.1093/ageing/afx126 

  13. A. Szybalska, K. Broczek, M. Puzianowska-Kuznicka, P. Slusarczyk, J. Chudek, A. Skalska, M. Mossakowska.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ion with all-cause mortality of older adults in Poland: The PolSenior project",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79, pp. 13-20, 2018, DOI: 10.1016/j.archger.2018.07.016 

  14. J. H. Moon, D. Kim.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1, pp. 44-54, 2018 

  15. M. O. Rahman, A. J. Barsky. "Self-reported health among older Bangladeshis: how good a health indicator is it?", Gerontologist, Vol. 43, No. 6, pp. 856-63, 2003 

  16. Y. Nam, J. Nam.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4, pp. 145-162, 2011 

  17. J. Kim.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the general mental health of the attendees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people's health sports program,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1 

  18. C. H. Bastien, A. Vallieres, C. M. Morin,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Vol. 2, No. 4, pp. 297-307, 2001 

  19. Y. W. Cho, M. L. Song, C. M. Morin,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 10, No. 3, pp. 210-215, 2014, DOI: 10.3988/jcn.2014.10.3.210 

  20.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 No. 2, pp. 298-307, 1996 

  21. R. N. Khalaila. "Socioeconomic status, health behaviors,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among older Arabs in Israel",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 32, No. 1, pp. 115-130, 2017, DOI: 10.1007/s10823-016-9301-5 

  22. S. M. Medeiros, L. S. Silva, J. A. Carneiro, G. C. Ramos, A. T. Barbosa, A. P. Caldeira. "Factors associated with negative self-rated health among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in Montes Claros, Brazil", Ciencia & Saude Coletiva, Vol. 21, No. 11, pp. 3377-3386, 2016, DOI: 10.1590/1413-812320152111.18752015 

  23. K. S. Cha, H. S. Lee, C. Kim, E. M. Kim.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mmunity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No. 19, Vol. 1, pp. 39-48, 2019, DOI:10.15384/kjhp.2019.19.1.39 

  24. Y. M. Ko, Y Cho.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0, No. 2, pp. 41-53, 2013 

  25. Y. Chen, A. Hicks, A. E. Whil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of older people living alone in Mainland China",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23, No. 5, pp. 1593-1602, 2014, DOI: 10.1007/s11136-013-0587-2 

  26. W. Dong, J. Wan, Y. Xu, C. Chen, G, Bai, L. Fang, A. Sun, Y. Yang, Y. Wang.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among Shanghai elder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Vol. 17, No. 1, pp. 807, 2017, DOI: 10.1186/s12889-017-4718-5 

  27. S. C. Confortin, M. W. Giehl, D. L. Antes, I. J. Schneider, E. d'Orsi. "Positive self-rated health in the elderly: a population-based study in the South of Brazil", Cadernosos de Saude Publica, Vol. 31, No. 5, pp. 1049-1060, 2015, DOI: 10.1590/0102-311X00132014 

  28. C. Shin, Y. Kim, S. Park, S. Yoon, Y. H. Ko, Y. K. Kim, S. H. Kim, S. W. Jeon, C. Han.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 32, No. 11, pp. 1861-1869, 2017, DOI: 10.3346/jkms.2017.32.11.1861 

  29. J. W. Jones, T. Ledermann, E. B. Fauth.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a growth mixture modeling approach",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79, pp. 137-144, 2018, DOI: 10.1016/j.archger.2018.08.012 

  30. J. Cai, P. C. Coyte, H. Zhao. "Determinants of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self-rated health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Vol. 16, No. 1, 2017, DOI: 10.1186/s12939-016-0496-4 

  31. G. Ambresin, P. Chondros, C. Dowrick, H. Herrman, J. M. Gunn. "Self-rated health and long-term prognosis of depression", Annals of Family Medicine, Vol. 12, No. 1, pp. 57-65, 2014, DOI: 10.1370/afm.1562 

  32. E. S. Jeong.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Older Adults, Master's thesis, Aju University, 2012 

  33. O. Stanojevic Jerkovic, S. Sauliune, L. ?umskas, C. A. Birt, J. Kersnik.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in elderly populations in urban areas in Slovenia, Lithuania and UK: findings of the EURO-URHIS 2 survey",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27(suppl_2), pp. 74-79, 2017, DOI: 10.1093/eurpub/ckv0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