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기법에 의한 미생물연료전지 내부저항 특성 파악 및 전력관리시스템 연계 전압 변화와 유기물 저감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of Internal Resistance of Microbial Fuel Cell by Electrochemical Technique and Its Effect on Voltage Change and Organic Matter Reduction Associated with Power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9 no.5, 2018년, pp.220 - 228  

장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박혜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태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양윤석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여정진 (전북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강석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백이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권진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l resistance of microbial fuel cell (MFC) using stainless steel skein for oxidizing electrode was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voltage generation were identifie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power management system (PMS) on the usability for MFC and the removal effic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연료전지 단위 셀의 내부저항 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미생물연료전지 단위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스택 후 PMS를 적용하여 승압하여 사용 가능 여부와 이때 유기오염물질 제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력 전압의 한계는 무엇인가?  등(2009)과 Clauwaert 등(2008)은 하·폐수처리에 미생물연료전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력밀도가 최소 400 W/m3 이상이어야 경쟁력이 있다고 하였다[7-8]. 미생물연료전지의 산화환원 전위 차이에 의한 이론 전압 값은 NADH (−0.32V)와 산소(+0.82 V)의 산화환원 전위 값으로부터 계산되어 약 1.14 V 미만인데, 실제 측정되는 전압값은 0.8V미만이다[9-12]. 그러나 운전시 전압은 이 보다도 더 낮은 0.2~0.5 V 수준의 전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출력 전압의 한계는 MFC를 실제 전원 공급 장치로 적용하기 위한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압역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미생물연료전지는 같은 조건으로 운전하여도 성능 차이가 발생되어 출력 전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스택 할 때 전압역전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13]. 오 등(2007)은 전압역전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에너지 손실을 유발할 뿐 만 아니라 미생물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미생물연료전지 운전이 실패 된다고 발표하였다[14]. 더불어 전압 역전현상의 원인 중의 하나가 산화전극에서의 연료 부족에 의한다고 하였다.
미생물연료전지란 무엇인가? 미생물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 MFC)는 미생물의 촉매작용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바이오 에너지 기술 중 하나에 속한다[1-4]. 미생물연료전지는 하·폐수로부터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표된 이후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가 되어 왔는데 가장 많은 연구는 하·폐수처리에 적용하는 것이며[5] 이외에도 BOD와 독극물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개발되거나[6], 플로리다대 스튜어트 월킨슨 교수 그룹은 실험적인 시도로 미생물연료전지를 몸체에 부착한 가스트로놈이라는 설탕을 먹고 소화하여 자체 전기를 얻어 작동되는 로봇을 공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I.S. Chang, H.S. Moon, O.Bretschger, J.K. Jang, H.I. Park, K.H. Nealson, and B.H. Kim. "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 (EAB) and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vol. 16, pp. 163-177, 2006. 

  2. H. Liu, and B.E. Logan,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an aircathode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Environ. Sci. Technol. vol. 38, pp. 4040-4046, 2004. 

  3. J.K. Jang, T.H. Pham, I.S. Chang, K.H. Kang, H. Moon, K.S. Cho, and B.Hong. Kim,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ess Biochemistry, vol. 39, pp. 1007-1012, 2004. 

  4. G.C. Gil, I.S. Chang, B.H. Kim, M. Kim, J.K. Jang, H.S. Park, and H.J. Kim,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vol. 18, No. 4, pp. 327-334, 2003. 

  5. Z. He, S.D. Minteer, and L.T. Angenent, "Electricity generation from artificial wastewater using an upflow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vol. 39, pp. 5262-5267, 2005. 

  6. B.H. Kim, I.S. Chang, G.C. Gil, H.S. Park, and H.J. Kim,"Novel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sensor using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technology letters, vol. 25, pp. 541-545, 2003. 

  7. Y.C. Song, J.H. Woo, and K.S. Yoo, "Materials for microbial fuel cell: electrodes, separator and current collector," Kor. Soc. Eviron. Eng., vol. 31, no. 9, pp. 693-704, 2009. 

  8. P. Clauwaet, P. Aelterman, T.H. Pham, L.D. Schamphelaire, M. Carballa, K. Rabaey, and W. Verstraete, " Minimizing losses in bio-electrochemical system: the road to applic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79, pp. 901-913, 2008. 

  9. C. Jayashree, S. Sweta, P. Arulazhagan, I.T. Yeom, M.I.I. Iqbal, and B.J. Rajesh," Electricity generation from retting wastewater consisting of recalcitrant compounds using continuous upflow microbial fuel cell," Biotechnol. Bioproc. Eng., vol. 20, pp. 753-759, 2015. 

  10. W.-W. Li, H.-Q. Yu, and Z. He, "Towards sustainable wastewater treatment by using microbial fuel cells-centered technologies," Energy Environ. Sci. vol. 7, pp. 911-924, 2014. 

  11. G. Zhang, Q. Zhao, Y. Jiao, and D.-J. Lee, "Long-term operation of manure-microbial fuel cell," Bioresour. Technol. vol. 180 pp. 365-369, 2015. 

  12. T. Kim, S. Kang, H.W. Kim, Y. Paek, J.H. Sung, Y.H. Kim, and J.K. Jang, "Assessment of organic removal in series- and parallel-connected microbial fuel cell stacks," Biotechnol. Bioproc. Eng., vol. 22, pp. 739-747, 2017. 

  13. J. An and H.-S. Lee, "Occurrence and implications of voltage reversal in stacted microbial fuel cells," Chemsuschem, vol. 7, pp. 1689-1695, 2014. 

  14. S.-E. Oh and B.E. Logan, "Voltage reversal during microbial fuel cell stack operation," J. Power Sources. vol. 167, pp. 11-17, 2007. 

  15. L. Zhuang, Y. Zheng, S. Zhou, Y. Yuan, H. Yuan, and Y. Chen, "Scalable microbial fuel cell(MFC) stack for continuous real wastewater treatment," Bioresour. Technol., vol. 106, pp. 82-88, 2012. 

  16. J. An, Y. S. Lee, T. Kim, and I. S. Chang, "Significance of maximum current for voltage boosting of microbial fuel cells in series," J. Power Sources, vol. 323, pp. 23-28, 2016. 

  17. B. Kim, B.-G. Lee, B.H. Kim, and I.S. Chang, "Assistance current effect for prevention of voltage reversal in stacked microbial fuel cell systems,"Chemsuschem, vol. 2, pp. 755-760, 2015. 

  18. C. Donovan, A. Dewan, H. Peng, D. Heo, and H. Beyenal,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2.5Wremote sensor powered by a sediment microbial fuel cell,"J. Power Sources, vol. 196, pp. 1171-1177, 2011. 

  19. J. Winfield, L. Chambers, A. Stinchcombe, A. Rossiter, and I. Ieropoulos, "The power of glove: Soft microbial fuel cell for low-power electronics," J. Power Sources, vol. 249, pp. 327-332, 2014.. 

  20. J. An, T. Kim, and I.S. Chang,"Concurrent control of power overshoot and voltage reversal with series connection of parallel-connected microbial fuel cells,"Energy Technol. vol. 4, pp. 729-736, 2016. 

  21. V.J. Watson and B.E. Logan, "Analysis of polarization methods for elimination of power overshoot in microbial fuel cells,"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vol. 13, pp, 54-56, 2011. 

  22. Z. He and F. Mansfeld, "Exploring the use of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in microbial fuel cell studies" Energy Environ. Sci. vol. 2, pp. 215-219, 2009. 

  23. K. Watanabe, "Recent developments in microbial fuel cell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bioenergy," J. Biosci. Bioeng. vol. 106, no. 6, pp. 528-536, 2008. 

  24. R.A. Rozendal, H.V.M Hamelers, K. Rabaey, J.Keller, and C.J.N. Buisman, "Tovards practical implementation of bioelectr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Trends in Biotechnol., vol. 26, no. 8, pp. 450-459, 2008. 

  25. K.-W. Park and S.-E. Oh, "Measurement of activation and ohmic losses using a current interruption technique in a microbial fuel cell," Kor. vol. 32, no. 4, pp. 357-36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