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교사의 SW교육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5, 2018년, pp.519 - 533  

옥지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활동들에 대해 유형별로 분류하고, 최근 3년간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정도, 활동 후 성과 등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 2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결과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고, 컨설팅 장학 멘토링 동료관찰(82%), 관련부처 및 시도교육청 주관 강좌 워크숍 세미나(69%), 교과연구회(66%)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비공식적 활동 중 독서가 가장 많았고, 유튜브, 깃허브 등 웹사이트 정보 활용(80%),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네트워크(76%)순으로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 대다수가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후 수업 전문성 향상 도움도, 직무역량 향상도, 현업적용도 및 수업 효능감, 긍정적 효과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SW교육 관련 교과 지도를 위한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속적 전문성 개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of teachers who teach subject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their participation in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over the recent three years, outcomes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이 SW교육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활동 유형별 참여 현황 및 참여 동기를 파악하고, 교사의 SW교육 지도 경력, 성별, 지식영역에 따른 참여하는 활동의 유형 및 특성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 SW교육 담당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지원 방향을 탐색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 담당 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향후 연구 수행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의 SW교육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담당교원들이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활동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참여빈도와 참여동기 등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현황과 수업 향상 도움도, 직무역량 향상도, 현업적용도 등 전문성 개발 활동 후 성과, 수업효능감, 수업에 미친 긍정적 효과 정도 등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공교육 현장에서는 SW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 역량 신장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에 따른 초·중등학교의 소프트웨어교육(이하 SW교육) 필수화 및 내용 확대로 국내의 공교육 현장에서는 SW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 역량 신장을 새로운 과제로 강조하고 있다[1].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SW 교육의 학교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단위의 SW 교육 활성화를 주도할 SW교육 핵심교원을 2021년까지 총 1만명을 양성할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2].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에 따른 초·중등학교의 소프트웨어교육(이하 SW교육) 필수화 및 내용 확대에 따른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계획은 무엇인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에 따른 초·중등학교의 소프트웨어교육(이하 SW교육) 필수화 및 내용 확대로 국내의 공교육 현장에서는 SW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 역량 신장을 새로운 과제로 강조하고 있다[1].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SW 교육의 학교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단위의 SW 교육 활성화를 주도할 SW교육 핵심교원을 2021년까지 총 1만명을 양성할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2].
학교에서 교사가 갖는 의무는 무엇인가? 교사는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을 할 의무가 있다. 즉, 주어진 직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습득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2][38].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교사들이 발휘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Yong-ju Jeon. (2018). Analysis on the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SW Education Basic Trai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1), 169-172. 

  2. Jeon-Je Sang. (2012). Analysis on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of Teachers According to Result of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Focused on Needs of Teacher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4), 327-653. 

  3. WestEd. (2000). Teachers who learn, kids who achieve: A look at schools with model professional development.San Francisco, CA: WestEd. 

  4. Okseon Lee, Hyukjun Son, Euichang Choi, Wonhee Lee. (2018).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 Focusing on activities other than formal teacher training course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5(1), 1-23. 

  5. Guskey, T. R. (1994). Results-orien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earch of an optimal mix of effective practice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15, 42-50. 

  6. Guskey, T. R. (2002).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chan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8(3-4), 381-391. 

  7. Ho-Soo Kang, Hanna Kim(2016). Exploratory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6), 51-71. 

  8. Park Jong-gyu (2017).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Canad. Overseas Education Trends, Daily Magazine 3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http://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54&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15961 

  9. Hwa Ja Lee. (2008). A comparative case study of implementing professional teacher development.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3(1), 1-35. 

  10. Lange, D. F. (1990). A blueprint for teacher development. In Jack, C. Richards and D. Nunan. (eds.),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245-268. N.Y.: Cambridge. 

  11. Edelfelt, R. A. & M Johnson(1975). Introduction to Rethinking In Service Education. Washington, D. 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2. Ji-hye Lee. (2016). Exploring the model of sustainabl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h. D.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Heo, Ju. (2015).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eachers, Princip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 Results from TALIS 20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14. McKenzie, Phillip, Santiago, Paulo, EE-kyoung Kim. (2006).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Le role crucial des enseignants: attirer, former et retenir des enseignants de qualit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15. European Commission. (2012). Supporting teacher competence development for better learning outcomes. http://ec.europa.eu/education/school-education/doc/teacjercomp-en.pdf. 

  16. OECD (2014).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OECD Publishing, Paris. 

  17. OECD (2013b).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13 Conceptual Framework. OECD Publishing, Paris. 

  18. OECD (2005).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OECD Publishing, Paris. 

  19. Ministry of Education (2017). Focus on 2018 Teacher Training. 

  20. Park Cheol-Hee, Choi Hwa-Sook, Chang In-Sil. (2012). Research on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and training program model development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475-495. 

  21. Jihyun Ock, Seongjin Ahn. (2018). Analysis of Competency-Base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1), 43-50. 

  22. Avalos, B. (2011).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over ten yea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1), 10-20. 

  23. Hun Seok Oh, Jeong A Kim, . (2007). Critical Research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 Expertise Research.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9(1), 143-168. 

  24. Hye-Sook Kim (2003). Teachers 'expertise' and 'quality' exploring concep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2), 93-114. 

  25. Grossman, P.(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6. ByoungSun Kwak. (2001). Reform of classroom education and teacher's expertis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18(1), 5-13. 

  27. ByoungSun Kwak.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Expertise for Diffusion of Humanity Education of Creativ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28. Hyunyong Shin, Inki Han. (2015). A Study on Algebraic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s on Solving Polynomials and Searching Possibility of Self Learning the Knowledg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 Hwang, Hye Jeang. (2010).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4), 569-594. 

  30. Koh, Jae-Cheon. (2012). The Concept Ma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Motive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4), 129-152 

  31. Koh, Jae-Cheon. (2012).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6(2), 83-106. 

  32. Shin, Boong Sup.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Beginning Teacher Mentoring and Their Adaptation to Teaching Profess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1), 277-300. 

  33. Shin, Boong Sup. (2006). A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Beginning Teacher Mentoring in Elementary School: The Case of Chunhcheongnam-Do Education Offi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3(1), 263-289. 

  34. Kyoung Eun Kim. (2010).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Program for Enhancing Social Studies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3), 45-69 

  35. Seung-Hyun Choe. (2008).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with Focus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RRI 2008-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6. Seung-Hyun Choe. (2008).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ORM 2008-3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7. Jeon, Je-Sang. (2010). Analysis on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of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4), 369-394. 

  38. Dong-Han Kim. (2012).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ustomized support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results from teacher expertise sevelopment evalu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9. Hyun-Ah Park. (2017). An Analysis of the Effects on Teacher Efficac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Evidence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40. Park, Joo-Ho and Song, In-Bal, The Impa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1), pp. 63-83, Mar, 2015. 

  41. Tae Je Seong. (2012). Eas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 AMOS. Seoul: Hakjisa. 

  42. Kim, HyeSook. (2015).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Job Training in Distance Learning Training Institut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