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치아부식 및 마모가 있는 환자에서 교정치료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이용하여 완전 구강 회복술을 시행한 증례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dontic treatment in patient with extensive tooth erosion and wear using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6 no.4, 2018년, pp.360 - 367  

윤병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김종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심준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김지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범위한 치아의 부식 및 마모는 구강에서 심각한 기능 및 심미의 상실을 야기한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교합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수직 고경과 중심위의 재현가능성, 전방유도 및 교합평면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마모가 심한 환자의 경우 보철재료의 선택 또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의 전반적인 마모와 부식이 있고 있는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통하여 전방유도를 부여하고 수직고경의 변화없이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술로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ensive dental erosion and wear will cause serious loss of function and aesthetics in the mouth. In order to recover this condition, careful analysis of the patient's bite relationship is required. In particular, a trea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증례에서는 구강 내에 광범위하게 발생한 치아부식 및 마모로 인하여 상실된 기능 및 심미를 회복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동반하였고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진행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 부식 및 마모가 진행한 환자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치아 부식 및 마모가 진행한 환자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부적절한 교합관계, 치아의 지각과민, 통증, 치수의 염증, 괴사 등1이 있으며 대부분의 환자들이 호소하는 주소는 법랑질의 상실에 의한 기능적 및 심미적인 문제이다. 치아의 부식, 마모, 비우식성치경부 병소(Non-carious cervical lesion, NCCL)는 다원적인 질환으로 각각이 독립적인 질환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수직고경을 유지하고 보철 치료를 진행하는 계획을 수립한 이유는? 13 치아가 마모되어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정적 이동, 보철적 재위치, 수술적 재위치를 추천하였으며, 피치 못할 경우에 한하여 계획적인 수직교합고경의 수정을 할 수 있다.4 제한된 범위의 수직고경 변경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으나,14 수직고경의 변경은 환자의 관절 및 근신경계의 조화를 깨뜨릴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13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기존의 수직고경을 유지하고 보철 치료를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증례에서 치아의 부식을 가속시킨 원인은 무엇인가요? 11,12 본 증례의 환자의 경우 쇼그렌 증후군을 앓고 있었으며, 최근 2년간 사과주스 등의 산성 음료를 즐겨 마셨으며, 편두통으로 인하여 반복적인 구토 증세가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산성 물질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과 완충능력의 부족이 치아의 부식을 가속시킨 원인으로 보인다. 아울러, 특별한 구강 악습관이 없었으므로 교합면의 마모가 일어난 주된 원인은 치아 부식에 의한 법랑질의 약화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aeggi T, Gruninger A, Lussi A. Restorative therapy of erosion. In: Lussi A, editor. Dental erosion: from diagnosis to therapy. New York; Karger; 2006. p. 200-14. 

  2. Grippo JO, Simring M, Coleman TA. Abfraction, abrasion, biocorrosion, and the enigma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 20-year perspective. J Esthet Restor Dent 2012;24:10-23. 

  3. Johansson A, Haraldson T, Omar R, Kiliaridis S, Carlsson GE. A system for assessing the severity and progression of occlusal tooth wear. J Oral Rehabil 1993;20:125-31. 

  4.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5.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6. Johnson A, Wildgoose DG, Wood DJ. The determination of freeway space using two different methods. J Oral Rehabil 2002;29:1010-3. 

  7.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8. Gegauff AG. Effect of crown lengthening and ferrule placement on static load failure of cemented cast post-cores and crowns. J Prosthet Dent 2000;84:169-79. 

  9. Kim DS, Kim YJ, Choi JH, Han JH. A study of Korean norm about tooth size and ratio in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Korean J Orthod 2001;31:505-515. 

  10. Kaiser DA. Fabricating a customized incisal guide table. J Prosthet Dent 1981;45:568-9. 

  11. Attin T, Koidl U, Buchalla W, Schaller HG, Kielbassa AM, Hellwig E. Correlation of microhardness and wear in differently eroded bovine dental enamel. Arch Oral Biol 1997;42: 243-50. 

  12. Mair LH. Wear in dentistry-current terminology. J Dent 1992;20:140-4. 

  13.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1st ed. St. Louis; MO; Mosby; 2007. p. 113-30. 

  14.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15. D'Amico A. Functional occlusion of the natural teeth of man. J Prosthet Dent 1961;11:899-915. 

  16. Kruger L, Michel F. A single neuron analysis of buccal cavity representation in the sensory trigeminal complex of the cat. Arch Oral Biol 1962;7:491-503. 

  17. Guazzato M, Albakry M, Ringer SP, Swain MV. Strength, fracture toughness and microstructure of a selection of allceramic materials. Part II. Zirconia-based dental ceramics. Dent Mater 2004;20:449-56. 

  18. Vichi A, Louca C, Corciolani G, Ferrari M. Color related to ceramic and zirconia restorations: a review. Dent Mater 2011; 27:97-108. 

  19. Kwon MS, Oh SY, Cho SA. Two-body wear comparison of zirconia crown, gold crown, and enamel against zirconia. J Mech Behav Biomed Mater 2015;47:21-8. 

  20. Preis V, Schmalzbauer M, Bougeard D, Schneider-Feyrer S, Rosentritt M. Surface properties of monolithic zirconia after dental adjustment treatments and in vitro wear simulation. J Dent 2015;43:13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