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과 자녀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비지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5, 2018년, pp.461 - 472  

이성림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sample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forth wave of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2, the mediation effects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factor, cluster, tobit, and two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유형을 구분하고,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양육유형과 사교육비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교육비지출은 가계의 예산제약 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계소득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한데, 가계소득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의 양육유형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검증함으로써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Figure 1).
  • 본 연구는 미국의 Chua (2011)가 제기한 호랑이 양육방식이 우리나라 부모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양육유형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양가적 양육방식이 우리 사회의 사교육열풍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우리나라 중학생 부모의 양육유형을 파악하고,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유형을 구분하고,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양육유형과 사교육비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교육비지출은 가계의 예산제약 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계소득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한데, 가계소득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의 양육유형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검증함으로써 양육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 가계의 과도한 사교육비지출의 경제적 및 사회적 부작용에 대해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경쟁적인 입시와 학벌주의와 같은 거시적인 요인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가계 소득이나 부모의 교육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 이외에 사교육 수요에 차이를 일으키고 끌어올리는 수요자 측면의 원인 분석이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부족을 메우고자 한다.
  • 미국에서는 호랑이식 양가적 양육방식이 주로 아시아계 사이에 퍼져있는 특징적인 양육방식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어느 정도 일반적인 부모의 양육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강력한 선호를 보이는 양가적 양육방식이 사교육열풍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우리나라 중학생 자녀 부모 가운데 양가적 양육방식이 어느 정도 분포하고, 사교육비지출과 궁극적으로 자녀의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사교육은 비용 자체가 1차적으로 가계경제에 부담을 야기하지만, 더 나아가 사교육비지출에 따른 가용소득의 감소로 인하여 의, 식, 주, 여가 등 다른 생활 영역의 소비의 수준과 질이 저하되고, 은퇴를 위한 저축이 축소되는 등 사교육비지출로 파생되는 2차적인 가계경제 문제도 심각성을 더해 가고 있다.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고 분포하는지 알아보고,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이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과, 사교육비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사교육비지출 증가 원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기초로 가계의 사교육 지출 부담을 경감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부모의 양육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 Baumrind, D. (1978). Parental disciplinary patterns and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Youth & Society. 9(3), 239-276. 

  3. Chan, T. W., & Koo, A. (2011). Parenting style and youth outcomes in the UK.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7(3), 385-399. https://doi.org/10.1093/esr/jcq013 

  4.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S95-S120. 

  5. Chua, A. (2011). Battle hymm of the tiger mother. New York: Penguin. 

  6. Doan, S. N., Tardif, T., Miller, A., Olson, S., Kessler, D., Felt, B., et al. (2017). Consequences of 'tiger' parenting: a cross-cultural study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cortisol stress response. Developmental Science, 20(3), 1-9. https://doi.org/10.1111/desc.12404 

  7. Dornbusch, S. M., Ritter, P. L., Leiderman, P. H., Roberts, D. F., & Fraleigh, M. J. (1987). The relation of parenting style to adolescent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58(5), 1244-1257. https://doi.org/10.2307/1130618 

  8. Grolnick, W. S., Ryan, R. M., & Deci, E. L. (1991).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 Motivational mediator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4), 508-517. http://dx.doi.org/10.1037/0022-0663.83.4.508 

  9. Huang, G. H. C., & Gove, M. (2015). Asia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Views from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Education, 135(3), 389-397. 

  10. Huh, M. Y. (2004).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2(2), 179-189. 

  11. Lim, S. A. (2014). The effects of democratic an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on child'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hool adjus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SEM).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2), 73-93. 

  12. Kim, E. J. (2007). A study on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extra tutoring fe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5), 134-162. 

  13. Kim, H. J. (2004). Analyzing the structure of variables affecting on private tutoring expen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2(1), 27-45. 

  14. Kim, S. Y. (2013). Defining tiger parenting in Chinese Americans. Human Development, 56(4), 217-222. https://doi.org/10.1159/000353711 

  15. Kim, S. Y., Wang, Y., Orozco-Lapray, D., Shen, Y., & Murtuza, M. (2013). Does "tiger parenting" exist? parenting profiles of Chinese Americans and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Asia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1), 7-18. https://doi.org/10.1037/a0030612 

  16.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5). User's guide fo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Retrieved August 7, 2018, from http://www.nypi.re.kr/archive 

  17. Korea Consumer Agency. (2015). Report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consumer perception survey. Chungbuk: Korea Consumer Agency. 

  1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Report on 2014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ption survey. Chungbuk: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 Lee, E. W. (2006). The impact of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educ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3(6), 247-274. 

  20. Lee, J. R. (2010).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s size between parenting and privat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1), 137-146. 

  21. Lee, K. H., & Kwon, Y. J. (2011).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hours on academic achievement: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0(3), 99-133. 

  22. Lee, S. L., & Han, Y. S. (2016).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7(2), 85-100. 

  23. Lee, S. J., & Im, H. J. (2009).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18(1), 141-166. 

  24. Leung, K., Lau, S., & Lam, W. (1998).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 cross-cultural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4(2), 157-172. 

  25.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 & E. M. Hetheringt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101). New York: Wiley. 

  26. Park, H., Sang, K., & Kang, J. (2008).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4), 107-127. 

  27. Park, J. (2012).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Education Inquiry, 30(3), 105-124. 

  28. Park, K., Chung, S., & Shin, A. (2013). Exploratory profile analysis regarding parenting styles: With a special focu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ies on Korean Youth, 24(2), 91-118. 

  29. Preacher, K., & Leonardelli, G. L. (2010). Calculation for the Sobel test: An interactive calculation tool for mediation test. Retrieved August 7, 2018, from http://quantpsy.org/sobel/sobel.htm 

  30. Radziszewska, B., Richardson, J. L., Dent, C. W., & Flay, B. R. (1996).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smo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Ethnic, gender, and SES difference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3), 289-305. 

  31. Ro, H. K. (2006).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 factors, student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expen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4(1), 97-118. 

  32. SAS Institute Inc. (1989). AS/STAT User's guide version 6, fourth edition , Volume 2, GLM-VARCOMP. Cary, NC: SAS Institute Inc. 

  33. Shin, C., Lee, H., Kim, C., & Heo, J. (2018).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learning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ocial Science, 29(2), 155-171. 

  34. Statistics Korea. (2018). Press release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in 2017. Retrieved August 7, 2018, from http://kosis.kr/index/index.do 

  35. Steinberg, L., Lamborn, S. D., Darling, N., Mounts, N. S., & Dornbusch, S. M. (1994). Over-time changes in adjustment and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65(3), 754-770.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4.tb00781.x 

  36. Steinberg, L., Lamborn, S. D., Dornbusch, S. M., & Darling, N. (1992). Impact of parenting practices on adolescent achievement: Authoritative parenting, school involvement, and encouragement to succeed. Child Development, 63(5), 1266-1281.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2.tb01694.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