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문헌정보학은 건강한가?
What is Wrong with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3, 2018년, pp.1 - 32  

이제환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공식적으로 출범한지 60년이 넘은 '한국 문헌정보학'의 건강을 위협하는 구조적인 문제들을 점검하고 필수 학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대학의 구조조정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위기의 국면'에서 문헌정보학의 기본 체질을 강화하기 위해서 학계가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주요 문제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문의 정체성', '연구의 유용성', '교육의 실효성'의 측면에서 한국 문헌정보학에 내재하는 문제들을 구체화하면서 그러한 문제들을 만성적 질환으로 만들어온 요인을 밝혀내고 있다. 그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을 한국 문헌정보학이 처해있는 고유하고 토착적인 환경을 분석하는데 두고 있으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처방의 모색에 있어서도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실사구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problems which have threaten both scholarship and profess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South Korea. In details, this study discusses such major weakness in Korean LIS as vague academic identity, poor research activities, and unr...

주제어

참고문헌 (11)

  1. 곽동철 외. 2008. 사서직원 자격요건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 Kim, Ryoung-Eun and Jae-Whoan Lee. 2017. "A Literature Review on User Instruction of Korea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83-112. 

  3. Noh, Dong-J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451-468. 

  4. Noh, Young-Hee, In-Ja Ahn and Sang-Ki Choi. 2012.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55-82. 

  5. 박현영. 2010. 도서관 현장에서의 장서개발과 편목업무를 통해 본 문헌정보학 교육의 문제.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2010년 12월 3-4일. 대전: 충남대학교, 25-39. 

  6. Um, Young-Ai. 2003. "A Study on the Cor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3): 33-49. 

  7. Jo, In-Sook. 1995. "Analysis of Practical Utilization of Research Outputs in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2(2): 193-212. 

  8. Lee, Jae-Whoan. 1998. "Toward a New Paradigm of the Korea'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 313-353. 

  9. Lee, Jae-Whoan. 2003. "Is Librarianship in Korea a Prof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57-87. 

  10. Lee, Jae-Whoan et al. 2005. "Evaluation and Requirement of Librarians on LI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4): 45-69. 

  11. 이제환. 2018. 한국의 도서관정책: 쟁점과 과제. 대구: 태일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