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수 급탕 및 난방을 위한 히트 펌프 태양열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olar Thermal System with Heat Pump for Domestic Hot Water and Space Heating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8 no.5, 2018년, pp.49 - 62  

손진국 (한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solar thermal system with heat pump for domestic hot water and heat supply. There are four types of system. System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existence of a heat pump and the ways of controlling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from the collector. Worki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열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열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과 운전제어에 따른 집열량 감소의 개선책으로 히트펌프를 활용한 태양열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시하고, 시스템의 운전 특성과 성능을 분석하였다. 특히 설비의 구성에 있어 히트펌프와 버퍼탱크의 활용에 따른 시스템의 축열 방식과 히트펌프가 태양열 시스템의 운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온수급탕 및 난방부하 공급을 위한 태양열 집열 시스템의 활용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히트펌프 연계형 태양열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트랜시스 해석을 통해 가능성을 실험한 것으로, 제어 및 시스템 구성 등 전반적으로 대상 시스템과 프로그램 활용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한편 난방부하가 가장 필요한 1월과 12월에 난방 공급율은 24%에 불과하여 온수 급탕 공급과는 다르게 보다 큰 난방공급 설비가 필요하다. 히트펌프가 기존의 보조 열원 장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고 보조 열원 없는 시스템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가설 설정

  • 난방부하는 단일 존의 난방 부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건물 총합 열전달율(UA)을 1,500 kJ/h.K로 설정하고, 시간에 따라 건물내에서 취득되는 열량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 실내 온도는 22℃가 유지되고, 건물 총 열전달율을 기준으로 외기온도에 대하여 실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에너지 공급율(ERC, Energy rate control)제어를 한다.
  • 3(b)와 같은 시간별 사용비율8)에 따라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계절에 따른 온수 사용량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급수 온도는 서울지역 지중 1 m에서의 월평균 평년 온도로 가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전체적 시스템 관점에서 동일한 온수급탕과 난방 열부하 조건하에서 태양열 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한 운전과 성능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상자료, 급수온도, 급탕 및 난방 부하율 등의 외적 인자는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단순화하고,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대상지역 서울에 대한 월평균 대기온도, 지중온도, 일사량은 Fig.
  • 일일 온수 급탕량은 1인이 65 Liter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4인 기준, 260 Liter의 급수를 Fig. 3(b)와 같은 시간별 사용비율8)에 따라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계절에 따른 온수 사용량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급수 온도는 서울지역 지중 1 m에서의 월평균 평년 온도로 가정하였다.
  • 시스템의 주요설비에 대한 기술 사양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집열기, 축열탱크 등의 설비 용량은 온수급탕과 난방 부하를 감안하여 년평균 30~40% 정도의 열부하를 감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열 에너지는 무엇인가? 태양열 에너지는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이나 태양광과는 다르게 태양 복사에너지를 직접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환경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무한한 에너지 자원이다.
태양열 시스템의 축열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태양열 시스템의 운전은 태양열 에너지의 축열 유동, 온수 및 난방 공급, 히트펌프 가동을 위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Table 2에 각 설비의 온도차 방식의 운전 조건을 나타내었다. 먼저 태양열의 축열은 집열기로부터 가온된 작동유체의 순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집열기 출구와 버퍼탱크 하단의 온도차 제어 방식에 의해 두 지점의 온도차가 각각 10℃ / 2℃에서 운전(ON)과 정지(OFF)가 이루어진다.
태양열 시스템의 이점은 무엇인가? 태양열 시스템은 태양으로부터 직접 열을 획득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집열 효율이 우수하고, 집열과 축열 그리고 운전에 필요한 설비가 비교적 단순하여 가정용 온수공급뿐만 아니라 난방과 산업 공정열 등 다양한 이용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Park, J. W., Yoon, J. H., Kwak, H. Y., Lee, J. B., and Shin, U. C., A Study on Building Energy Demand for Design of Energy System on Green Home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1, pp. 24-31, 2013. 

  2. Han, Y. R., Park, Y. C., Performance Prediction of a Hot Water Supply and Panel Heating System with Solar Energy,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5, pp. 11-17, 2012. 

  3. Baek, N. C., Jeong, S. Y., Yoon, E. S., and Lee, K. H., The Development anf Performance Analysys of Compact Type Solar Thermal/Ground Coupled Heat Pump Hybrid SYSTEM for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5, pp. 59-67, 2012. 

  4. Nam, Y. J., Gao, X. Y., Study on the Performance Prediction Simulation of the Heat Pump System Using solar and Geothermal Heat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4, No. 3, pp. 75-81, 2014. 

  5. Lee, D. W., Lee, K. H.,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Col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Passive and Active Type Domestic Solar Hot Water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6, pp. 12-18, 2013. 

  6. Sterling, S.J., Collins, M. R., Feasibility Analysis of an Indirect Heat Pump Assisted Solar Domestic Hot Water System, Applied Energy 93, pp. 11-18, 2012. 

  7. Barnister, C. J., Collins, M. 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Dual Tank Solar-assisted Heat Pump System, Applied Energy 149, pp. 125-132, 2015. 

  8. Philip. F & Danny. P., A Review of Hot Water Draw Porfiles Used in Performance Analysis of Residential Domestic Hot Water Systems, Publication No. FSEC-RR-56-04, Florida Solar Energy Center, July 2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