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온교환용량이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on Exchange Capacity on Salt Removal Rate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5, 2018년, pp.332 - 339  

윤원섭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정성일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이온교환막이온교환용량이 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oly(vinyl alcohol)(PVA) 수용성 고분자에 sulfosuccinic acid (SSA) 가교제를 첨가하고 poly(4-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PSSA_MA)를 PVA 질량대비 10, 50, 90 wt%로 달리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PSSA_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 효율도 상승되었다. PSSA_MA 90 wt%, 100 mg/L NaCl의 공급액과 유속 15 mL/min에서 흡착 1.4 V/5분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65.5%의 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on exchange capac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on the salt removal efficiency in the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sulfosuccinic acid (SSA) as the cross linking agent was added to poly(vinyl alcohol)(PVA) and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_M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CDI 공정에서 이온교환고분자의 이온교환용량에 따른 염 제거 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PSSA_MA의 함량이 10, 50, 90 wt%로 이온교환용량 값이 각각 다른 용액을 이용한 MCDI와 CDI에서의 염 제거 효율을 비교 진행하였다.
  • 논문에서는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이 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친수성 고분자인 PVA에 가교제 SSA를 첨가하고 PSSA_MA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이온교환고분자 용액의 성능평가를 위해 IEC와 함수율 측정을 진행하였다.
  • 이온교환막에 있어서 이온교환 용량은 막의 성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이온교환용량에 대하여 MCDI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이온교환용량에 따른 염 제거 효율을 측정함으로써 이온교환용량이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 이번엔 흡착전압을 증가시켜 향상된 염 제거 효율을 관찰하고자 한다. 물 분해는 전압이 1.

가설 설정

  • 2. SEM images of surfaces and cross-section: (a) carbon electrode; (b) PSSA_MA 10% coated on the carbon electrode; (c) PSSA_MA 50% coated on the electrode; (d) PSSA_MA 90% coated on the carbon electrod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전식 탈염 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축전식 탈염 기술은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이온을 흡착하는 기술이며 저염분의 염수 처리에 대한 효율이 높고 다른 수처리 기술보다 에너지 저감 효과가 커 수처리 기술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1]. 축전식 탈염 기술이란 다공성 탄소 전극이 이용되며 음이온과 양이온을 전극표면에 흡착했다가 탈착 시 탈 이온화 되어 배출되는 원리로 전해질에서 이온을 제거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적고 90% 이상의 회수율을 얻을 수 있어 친환경적인 기술이다[2-8]. 하지만 축전식 탈염 기술은 탈착과정에서 전극에 흡착 되었던 이온들이 완전히 떨어지지 못하고 다음 사이클이 진행되면서 염 제거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9-10].
해수담수화란 무엇인가? 수처리 기술에 대한 중요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해수담수화란 바닷물로부터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로 만드는 기술로서 수처리 기술 중의 하나인 축전식 탈염 기술(Capacitive Deionization, CDI) 이 있다. 축전식 탈염 기술은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이온을 흡착하는 기술이며 저염분의 염수 처리에 대한 효율이 높고 다른 수처리 기술보다 에너지 저감 효과가 커 수처리 기술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1].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성능 향상을 위해 이온교환막(Ion Exchange Membrane, IEM)을 전극에 결합시키는 방식인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 기술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이 개발되었다. 음이온 및 양이온교환막을 결합함으로써 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전극에 흡착시키고 탈착 시에 이온 들이 완전히 배출되어 효율이 증가하고 재생 및 유지 보수가 쉬워 수처리 기술로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11-15]. MCDI 기술은 전해질과 전극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극표면에 오염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겹쳐 결합시키고 두 교환막 사이에 스페이서를 도입하여 공급 액이 사이로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설정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 Hassanvand, G. Q. Chen, P. A. Webley, and S. E. Kentish, "A comparison of multicomponent electrosorption in capacitive deionization and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Water Res., 131, 100 (2018). 

  2. B. M. Asquith, J. Meier-Haack, and B. P. Ladewig, "Poly(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s as binder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activated carbon electrodes", Chem. Eng. Res. Des., 104, 81 (2015). 

  3. Y. Liu, C. Nie, X. Liu, X. Xu, Z. Sun, and L. Pan, "Review on carbon-based composite material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RSC Adv., 5, 15205 (2015). 

  4. S. Porada, R. Zhao, A. van der Wal, V. Presser, and P. M. Biesheuvel, "Review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water desalin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Prog. Mater. Sci., 58, 1388 (2013). 

  5. J. H. Ryu, T. J. Kim, T. Y. Lee, and I. B. Lee, "A study on modeling and simulation of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for waste water treatment", J. Taiwan. Inst. Chem. E., 41, 506 (2010). 

  6. Y. J. Kim and J. H. Choi, "Improvement of desalination efficiency in capacitive deionization using a carbon electrode coated with an ion-exchange polymer", Water Res., 44, 990 (2010). 

  7. J. W. Lee, H. I. Kim, H. J. Kim, H. S. Shin, J. S. Kim, B. I. Jeong, and S. G. Park, "Desalination effects of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using activated carbon composite electrodes", J. Korean Electrochem. Soc., 12, 287 (2009). 

  8. K. W. Kang and T. S. Hwang,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fluorinated poly(vinylidene fluroide)(PVDF) cation exchange membrane via direct sulfonation", Membr. J., 25, 406 (2015). 

  9. M. A. Anderson, A. L. Cudero, and J. Palma, "Effective modified carbon nanofibers as electrode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Electrochim. Acta, 55, 3845 (2010). 

  10. S. Porada, L. Weinstein, R. Dash, A. Van der Wal, M. Bryjak, Y. Gogotsi, and P. M. Biesheuvel, "Water desalination using capacitive deionization with microporous carbon electrodes", ACS Appl. Mater. Interfaces, 4, 1194 (2012). 

  11. P. M. Biesheuvel and A. van der Wal,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J. Membr. Sci., 346, 256 (2010). 

  12. R. Zhao, P. M. Biesheuvel, and A. van der Wal, "Energy consumption and constant current operation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Energy Environ. Sci., 5, 9520 (2010). 

  13. C. Wang, H. Song, Q. Zhang, B. Wang, and A. Li, "Parameter optimization based on capacitive deionization for highly efficient desalination of domestic wastewater biotreated effluent and the fouled electrode regeneration", Desalination, 365, 407 (2015). 

  14. Y.-J. Kim, J. Hur, W. Bae, and J.-H. Choi,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containing oil compound by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Desalination, 253, 119 (2010). 

  15. P. M. Biesheuvel, R. Zhao, S. Porada, and A. van der Wal, "Theory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including the effect of the electrode pore space", J. Colloid Interface Sci., 350, 239 (2011). 

  16. H. Strathmann, "Ion-exchange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Elsevier, Amsterdam (2004). 

  17. D. H. Kim, J. S. Park, and M. S. Kang, "Controlling water splitting characteristics of anion-exchange membranes by coating imidazolium polymer", Membr. J., 25, 152 (2015). 

  18. J. H. Yeo and J. H. Choi, "Enhancement of selective removal of nitrate ions from a mixture of anions using a carbon electrode coated with ion-exchange resin powder", Appl. Chem. Eng., 24, 49 (2013). 

  19. S. W. Chen, J. H. Jun, J. W. Rhim, and S. Y. Nam,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the poly (vinyl alcohol) i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Membr. J., 13, 199 (2003). 

  20. H. Strathmann, "Electrodialysis, a mature technology with a multitude of new applications", Desalination, 264, 268 (2010). 

  21. C. W. Lin, Y. F. Huang, and A. M. Kannan,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and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nhydride)-based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as proton-conducting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J. Power Sourecs, 171, 340 (2007). 

  22. Y. S. Jeon and J. W. Rhim, "Performance study 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processes using the composite carbon electrodes coated by cation and anion exchange polymers based on PVA", Polym. Korea, 41, 35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