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fion과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를 적용한 막 축전식 탈염 공정의 성능 연구
Performance Study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Cell Constructed with Nafion and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30 no.5, 2020년, pp.350 - 358  

김지수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탄소 전극의 음극과 양극 표면에 각각 양이온교환고분자(Nafion)와 음이온교환고분자(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를 코팅하여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공정에 적용하였다. 또한 위 공정의 성능을 탄소 전극만으로 구성한 축전식 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CDI) 공정과 비교 평가해 보고 염 제거 효율이 최대로 나타나는 MCDI 공정의 최적 운전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염 제거 효율은 MCDI 공정이 CDI 공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Nafion과 APPO를 적용한 MCDI 공정에서 흡착 조건이 1.2 V, 3 min이고 탈착 조건이 -1.0 V, 1 min 일 때의 염 제거 효율이 82.1%로 최댓값을 보임을 확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cell is constructed by applying thin layer of a cation exchange membrane (Nafion) on cathode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 on anode. Compared to CDI cell without CEM and AEM coating, MCDI exhibits enhanced salt removal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V의 흡착 전압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지만 이번에는 공정 운전의 경제성을 고려해 조금 더 낮은 전압으로 보다 경제적 운전이 가능한 조건을 탐색했다. 따라서 1.0 V, 3 min으로 흡착 조건을 고정한 뒤 1 min의 탈착 시간 하에 탈착 전압을 -1.0, -2.0, -3.0 V로 바꾸어 가며 탈착 전압이 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에 따른 배출수의 농도 그래프를 Fig.
  • 공정의 효율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전극의 불완전 재생을 방지하고 표면의 이온성 물질들을 탈착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며, 이는 흡착 및 탈착 조건에 영향을 받는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착 전압과 흡착 시간, 탈착 전압과 탈착 시간이라는 각각의 변수와 공정의 염 제거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해석하고 최적의 실험 조건을 제시하였다. 탄소 전극의 음극 표면에 양이온교환막을 결합한 MCDI 공정과 CDI 공정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K. Park, "Seawater desalination: Possibility as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KSCE J. Civ. Eng., 46, 28 (1998). 

  2. M. P. Shim, "Water for future-conditions for survival in the 21st century", Water for Future, 39, 61 (2006). 

  3. E. O. Ko, J. D. Moon, and J. M. Park, "Status-ofarts of desalination technology", Membr. J., 20, 185 (2010). 

  4. S. Porada, R. Zhao, A. van der Wal, V. Presser, and P. M. Biesheuvel, "Review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water desalin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Prog. Mater. Sci., 58, 1388 (2013). 

  5. J. W. Lee, H. I. Kim, H. J. Kim, H. S. Shin, J. S. Kim, B. I. Jeong, and S. G. Park, "Desalination effects of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using activated carbon composite electrodes", J. Korean Electrochem. Soc., 12, 287 (2009). 

  6. J. A. Lim, N. S. Park, J. S. Park, and J. H. Choi,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orous carbon electrode for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Desalination, 238, 37 (2009). 

  7. J. C. Farmer, D. V. Fix, G. V. Mack, R. W. Pekala, and J. F. Poco, "Capacitive deionization of NaCl and NaNO3 solutions with carbon aerogel eletrodes", J. Electrochem. Soc., 143, 159 (1996). 

  8. W. K. Son, T. I. Kim, H. J. Han, and K. S. Kang, "The study of capacitive deionization technology by the analysis of patents and papers", Korean Chem. Eng. Res., 49, 697 (2011) 

  9. M. A. Anderson, A. L. Cudero, and J. Palma, "Effective modified carbon nanofibers as electrode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Electrochim. Acta, 55, 3845 (2010). 

  10. Y. S. Jeon and J. W. Rhim, "Performance study on application of higher adsorption voltages than water dissociation voltage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process", Polymer(Korea), 42, 446 (2018). 

  11. J. S. Kim, C. S. Kim, H. S. Shin, and J. W. Rhim, "Application of synthesized anion and cation exchange polymers to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Macromol. Res., 23, 360 (2015). 

  12. D. D. Caudle, J. H. Tucker, J. L. Cooper, B. B. Arnold, and A. Papastamataki, "Electrochemical demineralization of water with carbon electrodes", Research Report, Oklahoma Univ. Research Institute (1966). 

  13. J. B. Lee, K. K. Park, H. M. Eum, and C. W. Lee, "Desalination of a thermal power plant wastewater by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Desalination, 196, 125 (2006). 

  14. Y. J. Kim and J. H. Choi,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by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combined with ion-exchange membrane", Appl. Chem. Eng., 21, 87 (2010). 

  15. P. M. Biesheuvel and A. van der Wal,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J. Membr. Sci., 346, 256 (2010). 

  16. W. S. Yun, S. I. Cheong, and J. W. Rhim, "Effect of ion exchange capacity on salt removal rate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Membr. J., 28, 332 (2018). 

  17. H. Li and L. Zou, "Ion-exchange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A new strategy for brackish water desalination", Desalination, 275, 62 (2011). 

  18. K. Y. Kim, "Study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applied by ion exchange membrane", Master's thesis, Hannam Univ., Daejeon, Korea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