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증상 자가평가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Use of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for Self-Assessment of Psychiatric Symptom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4 no.2, 2018년, pp.135 - 141  

우정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상준 (전주시 정신건강복지센터) ,  김은지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종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양종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태원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정상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evaluated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self-assessment of three psychiatric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 A total of 5,646 respondents were evaluated with three scales (Perceived Stress Scale, PS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인 마인드스캔을 이용하여 스트레스(Perceived Stress Scale, PSS), 우울(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 CES-D) , 자살 (Scale for Suicidal Ideation, SSI) 관련 척도를 수행한 사용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마인드스캔 어플리케이션의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 각 척도 간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저자들은 정신건강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인 '마인드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우울, 자살에 대한 척도를 수행한 사용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의 결과를 얻었다.

가설 설정

  • 지금까지 언급한 세 가지의 증상은 정신건강의 평가에서 중요한 영역들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에 대한 유용성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우울, 자살사고 등을 측정하는 척도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행하는 경우에도 임상에서의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HO. Strengthening mental health promo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7. 

  2. WHO.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olicy option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4. 

  3. Hong SC. Recent status of national expenditure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in Korea. NABO Economic Trends & Issues 2012;1:67-102. 

  4.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atlas 2014.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14. 

  5. Corrigan P.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 Psychol 2004;59:614-625. 

  6. Kim Y. Psychiatric reimbursement reform in Korea.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00;5:44-60. 

  7. Hosie A, Vogl G, Carden J, Hoddinott J, Lim S. A way forward:Equipping Australia's mental health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EY and ReachOut Australia;2015. 

  8.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ual report 2016. Gwacheon South Kore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2016. 

  9. Proudfoot J, Parker G, Hadzi PD, Manicavasagar V, Adler E, Whitton A. Community attitudes to the appropriation of mobile phone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J Med Internet Res 2010;12:64. 

  10. Youn SY, Lee JW, Jung KH, Kim JE, Lee JH, Lee G, et al. Pilot study of measuring daily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mobile application. Anxiety Mood 2013;9:128-134. 

  11. Lee HY, Ham BJ. Stress and mental illness. J Korean Med Assoc 2013;56:471-477. 

  12. Suarez K, Mayer C, Ehlert U, Nater UM. Psychological stress and self-reporte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J Nerv Ment Dis 2010;198:226-229. 

  13. Lombard JH. Depression, psychological stress, vascular dysfun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inking outside the barrel. J Appl Physiol 2010;108:1025-1026. 

  14. Suominen K, Haukka J, Valtonen HM, Lonnqvist J. Outcome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fter serious suicide attempt. J Clin Psychiatry 2009;70:1372-1378. 

  15.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1983;24:385-396. 

  16. Lee JH, Shin CM, Ko YH, Lim JH, Joe SH, Kim SH,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Korean J Psychosomatic Medicine 2012;20:127-134. 

  17. Cho MJ, Kim KH. Diagnosi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18.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0;9:1-19. 

  19. Kim SI, Kim EJ. Mental health and influencing social factors of par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living at an urban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422-429. 

  20. Joseph F, John T, jennifer N, Rebekah C, Abhishek P, Simon R, et al. The efficacy of smartphone-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depressive symptom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orld Psychiatry 2017;16:287-298. 

  21. Donker T, Petrie K, Proudfoot J, Clarke J, Birch MR, Christensen, H. Smartphones for Smarter Delivery of Mental Health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J Med Internet Res 2013;15:e247. 

  22. Gulliver A, Griffiths KM, Christensen H. Perceived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mental health help-seeking in young people: a systematic review. BMC Psychiatry 2010;10:113. 

  23. Pedersen ER, Paves AP. Comparing perceived public stigma and personal stigma of mental health treatment seeking in a young adult sample. Psychiatry Res 2014;219:143-150. 

  24. OECD. Focus on health: Making mental health count;2014. 

  25. Girgus JS, Yang K. Gender and depression.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2015;4:53-60. 

  26. MOHW.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6. 

  27. Jang Y, Chiriboga DA, Okazaki S.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services: Age-group differences in Korean American adults. Aging Ment Health 2009;13:127-134. 

  28. Kim DB, Ahn IK.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public and mental health specialists of Korea about needs for positive mental health and solution method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7;25: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