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시 생태하천 예정지인 소현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ohyeoncheon in Gyeongju-si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5, 2018년, pp.61 - 79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ohyeoncheon which is plann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river maintenance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nd also to collect the ecological data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ecosystem of Sohyeoncheon.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지역이 포함된 경주 지역의 하천생태 중 식물관련 연구동향의 경우 형산강 하구유역의 식물상(Chun et al, 1999), 형산강의 환경현황(Kang, 2008), 형산강 도심구간의 식물상(You, 2010),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식물상(You and Jung, 2018) 등이 수행되었으나 주로 국가하천인 형산강에 집중되어 경주 지역의 소하천 식물상 연구는 현재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 복원과 하천정비가 예정된 소현천의 식물상을 상류부터 하류까지 전역을 조사함과 아울러 8년간의 식물상 정보를 구축함으로서 향후 소현천의 생태계가 변화되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생태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생태복원과 하천정비사업이 예정 된 경주시 지방하천인 소현천의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하천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기초 생태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물상은 82과 233속 298종 1아종 33변종 4품종 등 336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1분류군, 나자식물은 4분류군, 쌍자엽식물은 252분류군, 단자엽식물은 79분류군이고 출현식물상에서 벼과 44분류군, 국화과 4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법이 다루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하천은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되며, 하천관련 사업은 하천정비사업,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자연형하천사업이 있다. 또한 하천에 관련된 것은 하천법에 적용받는데 하천법은 하천의 지정․관리․사용 및 보전 등의 제반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하천의 이용 및 자연친화적 관리를 위해 10년 단위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는 하천의 물리특성, 생물서식성, 수환경에 대한 정보 구축을 포함한다(Choi, 2017)
우리나라 하천 관련 사업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하천은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되며, 하천관련 사업은 하천정비사업,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자연형하천사업이 있다. 또한 하천에 관련된 것은 하천법에 적용받는데 하천법은 하천의 지정․관리․사용 및 보전 등의 제반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하천의 이용 및 자연친화적 관리를 위해 10년 단위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는 하천의 물리특성, 생물서식성, 수환경에 대한 정보 구축을 포함한다(Choi, 2017)
왜 소현천이 생태적, 경관적 변화가 많이 발생될 것으로 보이는가? 최근 경상북도․경주시․포항시의 지역협력 전략과제인 형산강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생태하천 조성이 계획되어 있으며, 사업비는 200억원, 사업량은 하천정비 7.4 ㎞이고 기본 및 실시설계와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이 발주되었다(Gyeongju-si, 2018). 따라서 현재 소현천은 사업 후 생태적, 경관적인 변화가 많이 발생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 JH.Lee KJ and Han BH. 2008.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centering on the cases of Dorimcheon, Banghakcheon, Seongnaecheon and Yangjae- cheon in Seoul-. Kor. J. Env. Eco. 22(3) : 268-2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Beon MS.Oh HK.Kim YH and Kim Y. 2005.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in the Jeonju stream area. Kor. J. Env. Eco. 19(3) : 231-24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KJ.Kim MH.Kim MK.Na YE.Oh YJ and Choe LJ. 2014.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by habitat types of dry field in Jeolla-do,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3(2) : 86-10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Cho YH.Kim ES.Kang HK and Cheong YM.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river bank. J. Korean Env. Res. Tech. 15(2) : 103-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Choe IH.Han BH and Ki KS. 2010.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Kor. J. Env. Eco. 24(6) : 723-73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Choi MK. 2017. A study on the legal and policy improvement for ecological river management. The Korea Policy Journal 17 : 16-2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un JI.Lee DS and Lee DC. 1999. Study on ecosystem in the Hyungsan River estuary (I)-flora of the Hyungsan River valley-. J.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5(2) : 207-2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Gyeongsangbuk-do. 2016. The Establishment of River Master Plan in Mid and Down Stream of Hyeongsan River. Gyeongsangbuk-do, Andong. (in Korean) 

  9. Jo HK and Han GS. 2005. Seasonal changes in structure and landscape of urban stream corridor-in the case of Gongji stream in Chuncheon-. J. Environ. Sci. Int. 14(8) : 739-7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ang TH. 2008. The present condition and maintenance of Hyeongsan River. The Journal of Gyeongju Research 17(1) : 7-2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CG and Kil JH. 2017. Alien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Seoul: Econature. (in Korean) 

  12. Kim HB and Ahn KS. 2006. An assessment on vegetation and fish diversity in natural urban stream.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8(2) : 53-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HJ. 2008.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 small stream(Ian stream), South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17(6) : 367-372. 

  14. Kim HJ.Shin BK and Kim CW. 2008.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lant species spectrum of the streamsexample of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Kor. J. Env. Eco. 22(1) : 43-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Kim MH.Kang BH.Kong MJ.Jeong MC and Son JK. 2015.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vetment structure at rural small stream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4) : 359-36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0. Lee CS.Kim HE.Park HS.Kang SJ and Cho HJ. 1993. Structure maintenance mechanism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Korean J. Ecol. 16(4) : 377-3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Lee CW.Oh HS.Lee CH and Choi BK. 2017.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the Wisteria habitat(No. 176 natural monument) of Beomeosa Temple in Busan. KITLA 35(2) : 77-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Lee SW.Kim SC.Kim WW.Han SD and Yim KB. 1997.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Jour. Korean For. Soc. 86(2) :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Seoul: Hyangmunsa. (in Korean) 

  24. Lee YM.Park SH and Jung SS. 2002.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 J. Env. Eco. 16(3) : 271-2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Lee YM.Park SH.Jung SY.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Lim DO.Ryu YM and Hwang IC.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18(3) : 288-29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2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30. Oh HK and You JH. 2016. Flora distributed in the upper reach of Seomjin River(Imsil and Sunchang), Jeonbuk.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0(1): 45-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Oh HK.Han YH.Kim EO and Kim YH. 2016. Study on flora and comparative example of Gulup-do in Ongjin, Incheon. J. Environ. Impact Assess. 25(2): 103-12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2. Park IH.Cho KJ.Sagong JH and Kim HY. 2014.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Geumsan and Gisa stream located in Chungchengnam-do. J. Korean Env. Res. Tech. 17 (1) : 45-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3. Park KH.You JH and Yoon YC. 2010.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 located in Gyeongsangnam-do. J. Korean Env. Res. Tech. 13(5) : 12-2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in Korean) 

  35.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6. Ryu TB.Lim JC.Lee CH.Kim EJ and Choi BK. 2017. Distribution of invasive species in metropolitan Busan, South Korea. Journal of Life Science 27(4) : 408-4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7. Song HS and Cho W. 2007. Growth pattern and species composition by landform and seaside distribu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group in Korea. Kor. J. Env. Eco. 21(1) : 74-8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8.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9. Yim YJ.Park GH and Shim JK. 1982.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Inst. Tech. & Sci. 9 : 5-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0. You JH and Jung SG. 2018.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J. Korean Env. Res. Tech. 21(4) : 25-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1. You JH and Kwon SY. 2015.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28(4) : 511-5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2. You JH. 2010.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on downtown section distributed in Hyeongsan River, Gyeongju. The Journal of Gyeongju Research 19(2) : 79-9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3. You JH. 2013. Flora distributed in Mt. Geumgok,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n J. Plant Res. 26(2) : 248-27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4. Gyeongju-si, 2018.8.17. http://www.gyeongju.go.kr//upload/board/5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