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하천조성사업 예정지인 신당천(경상북도 경주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Gyeongju-si, Gyeongsangbuk-do)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6, 2019년, pp.41 - 61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조경식물 및 식재설계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From August 2017 to June 2019, a total of 7 surveys were conducte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당천은 과거부터 인근 축사 및 양계장에서 배출 되는 오폐수로 인해 수질문제가 거론되어 경주시의 하천 중 생태복원이 시급히 필요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하천 조성이 예정된 신당천의 생태환경 중 관속식물상을 조사 하고 이를 토대로 생태적 특성의 분석하여 성공적인 복원과 향후 복원 후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생태하천 조성사업 예정지인 신당 천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종류와 주요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성공적인 하천복원과 조성 후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복원은 무엇인가? 하천복원은 공학적 기능인 이수와 치수의 과도함으로 인해 훼손된 자연적 기능 즉, 서식처, 수질 자정, 경관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하도와 수변을 원 상태에 가깝게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Woo, 2017). 따라서 하천복원은 교란과 훼손된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과정으로, 대표적 사업이 생태하천 복원사업이다.
하천복원을 위해, 대상 하천의 환경정보가 필요한 이유는? , 2015). 따라서 다양한 구성요소의 상관관계, 지속적인 환경변화 및 복잡한 환경조건 등을 극복하여 복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상 하천의 환경정보가 필요하다. 이는 복원 대상 하천의 과거 자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Choi and Ahn, 2012)고 한 바, 복원전 충실한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신당천의 생태하천조성을 위해 해야하는 것은 무엇인가? 신당천의 생태하천조성을 위해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특산식물인 키버들은 버드나무, 갯버들과 혼생하여 하안림을 형성하였는데 생태하천 조성 시 다양한 버드나 무류를 혼식하여 건전한 하안림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중 왕버들은 생태적 특이성은 낮지만 생태하천 조성 시 왕버들숲 계획이 있기 때문에 현지에 분포하는 왕버들 개체를 적극 활용하여 고유경 관을 형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귀화 식물 중 앵무새깃물수세미는 3개 군락이 중류에서 출현하였는데 본래 관상용으로 도입되었으나 야생으로 탈출하여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분홍낮달맞이꽃과 설악초도 관상용 식물 이지만 현재 신당천에서 야생화된 개체가 발견 되어 하천으로 외래식물의 무분별한 유기를 금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도독미나리는 중류와 하류에서만 관찰되었는데 특이하게도 상류 쪽으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중류의 공단지역과 인접한 양계장과 축사에서 사용되는 가축사료에 혼입된 종자가 발아하여 급속히 확산된 것으로 추정되어 생태하천 조성 시 제거와 함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KH.Lim JC.Lee YK.Choi TB.Lee KS.Im MS.Go YH.Suh JH.Shin YK and Kim MJ. 2016.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ine wetland. J. Environ. Impact Assess. 25(2) : 89-10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Ahn YH.Yang YC and Chun SH. 200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caceae species at the An-sung stream-refered to Woldongcheon, Yokjungcheon, Joyoungcheon and Gisolcheon-. Korean J. Environ. Ecol. 15(3) : 213-22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YH.Kim JH and Park SH.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Seoul: GEOBOOK. (in Korean) 

  4. Choi JK.Choi MK and Choi CB. 2015. Follow-up monitoring & adaptive management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tream-focused the Hakui stream in Anyang City-. J. Korean Env. Res. Tech. 18(6) : 85-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Choi OH and Ahn TM. 2012. A study on priority of planning factors for stream restoration applied AHP. J. Korean Env. Res. Tech. 15(4) : 51-6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Chun SH. 2017. Review and discussion on policy and legal system for river environments management in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26(6) : 431-44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un SH.Kim CH.Kim WR.Park SG and Chae SK. 2015. Analysis of stream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n Korea: focus on the biological aspect.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2) : 108-1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Chung GY.Chang KS.Chung JM.Choi HJ.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 : 264-28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Guh JO.Lee DJ.Kuk YI and Chon SW. 2008. Water and Ruderal Plant Flora of Korea. Seoul: Haksuljungbocenter. (in Korean) 

  10. Gyeongsangbuk-do. 2003. The Master Plan of River Maintenance of Shindangcheon Stream(2nd Class River). Gyeongsangbuk-do, Daegu. (in Korean) 

  11. Gyeongsangbuk-do. 2017. The Establishment of River Master Plan in Mid and Down Stream(2) of Hyeongsan River. Gyeongsangbuk-do, Andong. (in Korean) 

  12. Kang MY.Kim TW and Moon HS. 2019. Vascular plants of the construct-reserved site for eco-forest of Mt. Daeun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J. Environ. Impact Assess. 28(3) : 231-24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l JH and Kim CG. 2014. Current status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in Korea. Weed Turf. Sci. 3(3) : 206-2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Kim CG and Kil JH. 2017. Alien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Seoul: Econature. (in Korean) 

  15. Kim DK.Ryu TB.Lee CW.Choi DH and Kim NY. 2017.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do. Korean J. Plant Res. 30(4) : 399-409. 

  16. Kim HJ.Shin BK and You YH.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of riparian forest in flood pla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2) : 189-2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im JS.Kim JH and Kim JH.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I-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Paju: Dolbegae. (in Korean) 

  18. Kim MH.Cho KJ.Oh YJ.Yang DW.Lee WJ.Park SK.Choi SK.Eo JU.Kim MK and Na YE. 2016. Life form and natu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upland fields of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4(2) : 63-7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Koo YM.Kang HS and Lee MS. 2014. An economic value for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Hong Cheon area,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8(1) : 71-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5. Lee CW.Cho HJ.Kang MJ.Huh MK.Hwang IC and Choi BK. 2015. Study of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Busan City, South Korea. Journal of Life Science 25(11) : 1244-125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Lee CW.Kim DK.Cho HS and Lee HHM. 2015. The riparian vegetation disturbed by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South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3) : 255-2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Lee KW.Yoon KS.Lim DO.Lee NK and Ryoo JH. 2005. A study on the resource of green tourism through stream restoration and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Hampyungchun.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6(2) : 144-14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Seoul: Hyangmunsa. (in Korean) 

  2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I. Seoul: Kyo-Hak Publishing Co., LTD. (in Korean)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A Study of Detailed Survey o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and Design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Foreign Countr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3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Invasive Alien Species a Threat to Biodiversit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33. Oh DG.Shim DB.Song SH.Oh JH.Hong SH and Shim SI. 2015. Effects of soil moisture condition and shading on growth of invasive plant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L.). Weed Turf. Sci. 4(4) : 315-3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in Korean) 

  35. Song HJ.Jeong MJ.Kim HG.Seo YR.Im HJ.Yang WH.Park DJ.Yun SL.Ma HS and Choi MS. 2015. Effect of bedsoil on cutting propagation of old growth and protected tree of Salix chaenomeloides Kimura. J. Korean For. Soc. 104(1) : 76-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Song JJ.Lee JE.Kim HG.Chang NI.Kim DH and Kim KS. 2008. Pollution occurrence according to cultivation in Yeong-san river waterfront.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9(4) : 222-2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7. Woo HS. 2017. Assessment of definitions and models of river restoration based on the functions, services, and values of river ecosystem. Ecol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 123-1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8.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9. You JH and Jung SG. 2018.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J. Korean Env. Res. Tech. 21(4) : 25-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0. You JH. 2018.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ohyeoncheon in Gyeongju-si. J. Korean Env. Res. Tech. 21(5) : 61-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1. You JH.Park KH and Choi JH. 2014. Management pla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by ecological restoration of Gaeumje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4) : 48-5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2. Yu ST.Yi MH.Lee YM.Chang KS.Kim BD.Shin HT and Yoon JW. 2013. Vascular flora of Namhan River. Korean J. Plant Res. 26(4) : 463-49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3. Gyeongju-si, 2019.7.22. http://www.gyeongju.go.kr/news/index.do 

  4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9.7.9. http://map.ngi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