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양재천 하천 숲 조성에 의한 야생조류 서식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 of Wild Bird Habita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iparian Forest Construction in Yangjae Stream, Seoul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5, 2018년, pp.97 - 110  

윤석환 (서울시청 공원녹지정책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윤호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evidence for the habitat improvement of wild birds in urban stream by analyzing changes in habitat characteristics of wild birds by riparian forest construction in Yangjae stream in Seoul. In Gangnam-gu, the multi layered riparian forest consis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2000년대 중반이후 양재천의 환경기능 증진과 경관 개선을 위해 역점적으로 추진된 하천 숲 조성사업의 생물서식처 기능에 대한 진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 양재천 하천 숲 조성에 의한 야생 조류 서식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처 향상을 위한 하천 숲 조성방안의 기초자료와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 양재천을 대상으로 하천 숲 조성에 의한 야생조류 서식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처 향상을 위한 하천 숲 조성방안의 기초자료와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강남구 구간에는 제방사면에 조경수 교목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역할은 무엇인가? , 1998). 하천은 물의 흐름, 하천부지 및 경관으로서 뿐만 아니라 물질순환 기능과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생태 이동통로의 역할을 한다(Lee et al., 2003).
하안식생은 무엇인가? 하안식생(Riparian vegetation)은 하천에서 수체와 인접한 곳에서 주기적 혹은 영속적인 범람에 영향을 받는 식물군집으로서 육상생태계와 수중생태계의 전이대에 위치한다(Naiman and Decamps, 1997). 하천생태계에서 식생은 생물 다양성 유지, 수문조절, 수질정화, 하안보호, 경관미 증대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Mitsch and Gosselink, 2000).
양재천 변 서초구 구간의 물새류의 서식환경이 안정화 되며 출현한 종들은 무엇이 있는가? 과거에 비해 산새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었는데, 이는 제방사면에 수림대가 형성되지 않아 수목의 수간과 수관에서 먹이를 구하고 나무구멍에서 둥지를 만들어 서식하는 산새류의 서식지 선택과 이동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초구 구간에는 물새류가 증가하였고 특히 삑삑도요, 깝작도요, 백할미새, 검은등할매새 등의 도요류, 할미새류가 강남구 구간 보다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이는 서초구 구간에 모래톱이 형성되어 있고 수변부에 일정한 폭으로 조성된 버드나무, 갯버들, 물억새 등이 수변 수림대로 성장하여 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의 시야를 차단하고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여 물새류의 서식환경을 안정적으로 변화 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erson BW.Ohmart RD and Rice J. 1983. Avian and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d their seasonal relationships in the lower Colorado River Valley. Condor 85: 392-405. 

  2. Cho HJ.Bae KH and Lee SW. 2002. Korea's traditional waterside groves. (in Korean) 

  3. Cho HJ.Woo HS.Lee JW and Cho KH. 2008.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0(3) : 111-12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Cho KH. 2000.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and function of riparian vegetation for stream restoration. Water and Future 33(6) : 29-40. (in Korean) 

  5. Choi JK. 1997. Application of close-to nature revetment techniques adapted to low flow channel & monitoring of vegetation restoration - case study for Hakyoul in the Yangjaech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2) : 201-21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Colin B.Burgess N.Hill D and Mustoe S. 2000. Bird census techniques 2nd editon. Academic Press. 

  7. Gangnam-gu. 2003. The master plan and design of network system establishment of park and green space in Gangnam-gu including Yangjae stream. Research report to Gangnam-gu. (in Korean) 

  8. Hoover JP.Brittinghan MC and Goodrich LJ. 1995. Effects of forest patch size on nesting success of wood thrushes. Ank 112(1) : 16-155. 

  9. Jung MC. 2007. A Study on re-interpretation to function & practice use programs of Village Grove.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ang TH.Yoo SH.Kim IK.Cho HJ and Shin YU. 2012. Change of avifauna following restoration and management in Cheonggye stream,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Nature 5(2) : 107-114. 

  11. Kim DW. 2005.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wild bird habitat by the land use type of Hangang riverside, Seoul.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IK. 2008.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ildbirds habitat-models in urban stream : a case study of three stream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Ph. 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IK.Lee HS.Paek WK and Lee JW. 2010. A study on the bird communities and similarity of three stream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2) : 147-15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Kim JS.Koo TH and Chae JH. 2003. Variation of bird community after implemen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in the Yangjae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 74-8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Kim JS and Koo TH. 2005.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betwee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and non-reservation area in the Yangjae stream,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8(4) : 1-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im KM. 2003. Green way establishment the wild bird corridor connection of urban center area in Gangnam-gu, Seoul.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0. Development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Research report to KICT. (in Korean) 

  18. Lee JH.Cho KY.Kim SD and Lee NJ. 1998. A comparativ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natural and artificial streamside in 3 main streams in Taejeon. Research Report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6 : 11-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Lee JW.Lee DH and Paik IH. 2003.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0(1): 41-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MacArthur R and MacArthur J. 1961. On bird species diversity. Ecology 42: 594-598.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Technical specification for restoration ecological stream. (in Korean) 

  22.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New York: John Wiley & Sons. 

  23. Naiman RJ and Decamps H. 1997. The ecology of interfaces: riparian zon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8: 621-658. 

  24. Park CY. 199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for the inhabitation of wild birds.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Park JW and Ma HS. 2003.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and vegetation of Yangje stream.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37(2) : 57-7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Pyo JH and You YH. 2011. Classification of avian habitats based on vegetation types in urban and natural stream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1) : 67-77. (in Korean with-English summary) 

  27. Root RB. 1967. The niche exploitation pattern of the blue-gray gnatcather, Ecol. monogr 37: 317-350. 

  28. Seocho-gu. 2007. The master plan of upgrade in Yangjae stream. Research report to Seochogu. (in Korean) 

  29.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9. A study on basic survey of ecological management in urban stream. Research report to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30. Sin JI. 1999. Analysis of vegetation variation aft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3) : 10-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Tacha TC and Braun CE. 1994. Migratory shore and upland game bird management in North America. Washington: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ish and Wildlife Agencies. 

  32. Winter MD.Johnson H and Shaffer JA. 2005. Variability in vegetation effects on density and nesting success of grassland birds. J. Wildlife Management. 69(1) : 185-197. 

  33. Woo HS and Park JR. 2000. A case study and understanding of stream restoration. Water and Future 33(6) : 15-28. (in Korean) 

  34. 半田眞理子(1989) 都の生態系の綠, 綠の讀本10: 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