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면착색제의 자가 사용이 구강 관리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self-applied plaque disclosing solution in oral care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5, 2018년, pp.853 - 862  

이은영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민경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olv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measurement experime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stributing plaque disclosing agents to healthy adults living in South Korea and promoting its self-application. Methods: O'Leary index, PHP index, oral health be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치면 착색제를 배부하고 직접 도포하도록 하여 치면착색제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이란 무엇인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양대 구강병이라고 하며 예방치학에서 가장 중요한 관리대상으로 취급하고 있다.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 내의 세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해 법랑질을 비롯하여 치아 경조직의 무기질이 탈회 되어 발생하는 것[1]으로 구강 내 발병하는 질환 중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2]. 만 12세의 어린이 치아우식증의 발생은 설탕 소비 증가와 더불어 급증하여 2000년도 조사에서 3.
치주질환은 어떤 질환인가? 치주질환은 치아표면에 형성되는 치면세균막과 세균에 대한 숙주의 반응으로 치주조직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는 치아 상실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4]. 성인에서의 치주질환 발생은 2008년 조사에서 치조골 파괴와 연관된 치주낭 형성자율이 35~44세에 29.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제 1 원인의 특징은 무엇인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제 1원인이 치면세균막이며 교합면의 치면열구(fissure)와 치은열구(gingival sulcus)에 부착하여 발생하도록 한다. 치면세균막이란 치아나 치은 및 다른 구강 구조물 표면에 형성된 연한 침착물로 숙주 의존적 biofilm 인 동시에 주성분이 세균인 아교질의 미생물 집단이다[5]. 따라서 구강질환을 치료하기보다는 예방이 중시되어야 하므로,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면세균막 관리가 필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JE, Jung HM, Kim JY, Han JE, Jin BH, Woo KM. Fluoride-releasing chitosan nanoparticles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issue Eng Regen Med 2011;8:93-8. 

  2. Noh HJ. The study of cost-benefit analysis on fissure sealant and regular checkup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J Dent Hyg Sci 2002;2(2):53-6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The fourth round Health Plan 2016-2020. 1st ed. Seoul: Ministray of Health & Welfare 2015; 217-34. 

  4. Won JH, Ha MN.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J Dent Hyg Sci 2014;14:107-13. 

  5. Kim M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plaque index of patients and the periodontal disease or prognosi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13. 

  6. Jo MJ, Min KJ. Effect of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on plaque control. J Acad-Ind Technol 2000;6:93-100. 

  7. Jang KW.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 The use of Toothbrushing Bleeding index. Daily Dental 2004;1301:1. 

  8. Kang BW, Kang HK, Ku IY, Kwon HM, Kim KS, Kim SS, et al.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2013: 52-69. 

  9. Sheiham A.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eriodontal disease. Dent Health 1979;18:7-20. 

  10. Lee HR, Jung GU, Pang EK.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effect of air force personnel according to the use of disclosing solution. J Korean Dent 2016;54:57-66. 

  11. Jung MY. Effect of tooth-brushing education using disclosing solution[Master's thesis]. Gimhae: Univ. of Inje, 2012. 

  12. An HH, Lee MH, Seo HJ. Oral hygiene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oothbrushing instruction. J Korea Soc Health Inform Stat 2012;37:43-52. 

  13. O'Leary TJ, Drake RB, Naylor JE. The plaque control record. J Periodontol 1972;43:38. 

  14. Choi EJ, Song YS.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intention and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485-93. 

  15. Jang YJ, Jung JA, Jeon ES.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of junior college in jeollanamdo.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6;6:387-402. 

  16. Lee SS, Paik DI, Kim JB.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 methods in dental health education .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0;14:233-42. 

  17. Mun SJ, Chung WG, Kim NH. Changes in daily toothbrushing frequency among Korean adults from 2000 to 2006.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183-91. 

  18. Kim JY. Studies on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adult in some area. J Korean Acad Dent Hyg 2014;16:207-15. 

  19. Ju OJ.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estima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dental patients. J Dent Hyg Sci 2005;5:119-24. 

  20. Ryu EJ, Kwon YM, Lee KS. A study on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1;18:49-60. 

  21. Kim HK.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 Educ Res 2007;21:198-2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